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12
I. 서론 17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7
2. 연구문제 23
II. 이론적 논의 24
1. 장기요양서비스 개요 24
1) 서비스 대상과 급여유형 24
2) 서비스 이용과 본인부담 26
3) 장기요양과 의료서비스 29
2. 서비스 이용에 관한 이론 33
1) Andersen 행동모델 33
2) 서비스 이용 원칙 35
3) 이용차이와 불평등 37
3. 선행연구: 서비스 이용 영향요인 42
1) 소득요인에 관한 연구 43
2) 인구학적 요인에 관한 연구 49
3) 장기요양 수급자격요인에 관한 연구 52
4) 소결 56
III. 연구방법 59
1. 연구대상 59
1) 자료추출 59
2) 분석대상 61
2. 연구모형 62
1) 연구모형 62
2) 분석변수 64
3. 분석방법 70
IV. 연구결과 71
1. 기술통계 71
1) 소득분위 특성 71
2) 인구학적 특성 72
3) 장기요양 수급자격 특성 75
2. 서비스 형태별 이용여부 분석 81
1) 소득분위 특성에 따른 이용여부 81
2)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이용여부 88
3) 장기요양 수급자격 특성에 따른 이용여부 92
3. 서비스 이용차이 로지스틱 회귀분석 102
1) 장기요양서비스 이용차이 104
2) 시설서비스 이용차이 107
3) 재가서비스 이용차이 109
4) 입원자를 시설서비스로 포함한 이용차이 111
4. 재가서비스 한도액 소진율 회귀분석 121
1) 소득분위 특성 요인 121
2) 인구학적 특성 요인 122
3) 장기요양 수급자격 특성 요인 123
V. 결론 125
1. 연구결과 요약 125
1) 기술통계 분석결과 125
2) 서비스 형태별 이용여부 분석결과 129
3) 서비스 이용차이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139
4) 재가서비스 한도액 소진율 회귀분석 결과 144
2. 정책제언 148
3. 연구의 의의와 한계 154
참고문헌 157
부록(추출통계표) 171
Abstract 207
〈표 II-1〉 장기요양등급 구분 24
〈표 II-2〉 장기요양 등급별 한도액(2020년 기준) 26
〈표 II-3〉 장기요양서비스 이용률 29
〈표 II-4〉 장기요양서비스 미이용 사유 30
〈표 III-1〉 활용변수 및 측정방법 69
〈표 IV-1〉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78
〈표 IV-2〉 서비스 이용영향 요인별 분포 (총괄표) 79
〈표 IV-3〉 소득분위별 서비스 형태별 이용 및 미이용 분포(총괄표) 87
〈표 IV-3-1〉 소득분위별 서비스 형태별 이용 분포(전체) 83
〈표 IV-3-2〉 소득분위별 서비스 미이용 분포 85
〈표 IV-3-3〉 소득분위별 서비스 이용 분포(성별) 89
〈표 IV-3-4〉 소득분위별 서비스 이용 분포 (연령집단별) 90
〈표 IV-3-5〉 소득분위별 서비스 이용 분포 (거주지역별) 92
〈표 IV-3-6〉 소득분위별 서비스 이용 분포 (건강보험 가입유형별) 93
〈표 IV-3-7〉 소득분위별 서비스 이용 분포 (장기요양등급별) 95
〈표 IV-3-8〉 본인부담 감경유형별 서비스 이용 분포 97
〈표 IV-4〉 소득요인과 장기요양서비스 이용여부와의 관계 102
〈표 IV-4-1〉 인구학적·장기요양 수급자격요인과 서비스 이용여부와의 관계 103
〈표 IV-4-2〉 서비스 이용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전체) 106
〈표 IV-4-2-1〉 서비스 이용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시설) 108
〈표 IV-4-2-2〉 서비스 이용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재가) 110
〈표 IV-5〉 입원자를 시설서비스에 포함한 이용차이 변화 112
〈표 IV-5-1〉 입원자 포함한 시설서비스 오즈비(OR) 변화 114
〈표 IV-5-2〉 입원자 포함한 시설서비스 이용차이 변화 (성별, 연령별) 116
〈표 IV-5-3〉 입원자 포함한 시설서비스 이용차이 변화 (거주지역별) 117
〈표 IV-5-4〉 입원자 포함한 시설서비스 이용차이 변화 (건강보험 가입유형별) 117
〈표 IV-5-5〉 입원자 포함한 시설서비스 이용차이 변화 (본인부담 감경유형별 1) 118
〈표 IV-5-5-1〉 입원자 포함한 시설서비스 이용차이 변화 (본인부담 감경유형별 2) 119
〈표 IV-5-6〉 입원자 포함한 시설서비스 이용차이 변화 (장기요양등급별) 120
〈표 IV-6〉 재가서비스 월(月) 한도액 소진율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124
〈표 IV-2-1〉 소득분위별·특성별 분포 (거주지역-대도시) 173
〈표 IV-2-2〉 소득분위별·특성별 분포 (거주지역-중소도시) 174
〈표 IV-2-3〉 소득분위별·특성별 분포 (거주지역-농어촌) 175
〈표 IV-2-4〉 소득분위별·특성별 분포 (건강보험 가입-직장) 176
〈표 IV-2-5〉 소득분위별·특성별 분포 (건강보험 가입-지역) 177
〈표 IV-2-6〉 소득분위별·특성별 분포 (장기요양등급-1등급) 178
〈표 IV-2-7〉 소득분위별·특성별 분포 (장기요양등급-2등급) 179
〈표 IV-2-8〉 소득분위별·특성별 분포 (장기요양등급-3등급) 180
〈표 IV-2-9〉 소득분위별·특성별 분포 (장기요양등급-4등급) 181
〈표 IV-2-10〉 소득분위별·특성별 분포 (장기요양등급-5등급) 182
〈표 IV-2-11〉 소득분위별·특성별 분포 (장기요양등급-인지등급) 183
〈표 IV-3-9〉 소득분위별 서비스 이용 분포 (성별-남성) 184
〈표 IV-3-10〉 소득분위별 서비스 이용 분포 (성별-여성) 185
〈표 IV-3-11〉 소득분위별 서비스 이용 분포 (연령-65세 미만) 186
〈표 IV-3-12〉 소득분위별 서비스 이용 분포 (연령-65세~74세) 187
〈표 IV-3-13〉 소득분위별 서비스 이용 분포 (연령-75세~84세) 188
〈표 IV-3-14〉 소득분위별 서비스 이용 분포 (연령-85세~94세) 189
〈표 IV-3-15〉 소득분위별 서비스 이용 분포 (연령-95세 이상) 190
〈표 IV-3-16〉 소득분위별 서비스 이용 분포 (거주지역-대도시) 191
〈표 IV-3-17〉 소득분위별 서비스 이용 분포 (거주지역-중소도시) 192
〈표 IV-3-18〉 소득분위별 서비스 이용 분포 (거주지역-농어촌) 193
〈표 IV-3-19〉 소득분위별 서비스 이용 분포 (건강보험-직장) 194
〈표 IV-3-20〉 소득분위별 서비스 이용 분포 (건강보험-지역) 195
〈표 IV-3-21〉 소득분위별 서비스 이용 분포 (요양등급-1등급) 196
〈표 IV-3-22〉 소득분위별 서비스 이용 분포 (요양등급-2등급) 197
〈표 IV-3-23〉 소득분위별 서비스 이용 분포 (요양등급-3등급) 198
〈표 IV-3-24〉 소득분위별 서비스 이용 분포 (요양등급-4등급) 199
〈표 IV-3-25〉 소득분위별 서비스 이용 분포 (요양등급-5등급) 200
〈표 IV-3-26〉 소득분위별 서비스 이용 분포 (요양등급-인지등급) 201
〈표 IV-3-27〉 본인부담금 감경유형별 서비스 이용 분포 202
〈표 IV-4-3〉 거주지역에 따른 서비스 이용 여부의 차이 203
〈표 IV-4-4〉 건강보험 가입유형에 따른 서비스 이용 여부의 차이 204
〈표 IV-4-5〉 장기요양등급에 따른 서비스 이용 여부의 차이(1/2) 205
〈그림 II-1〉 장기요양서비스 이용 비용 28
〈그림 II-2〉 Andersen의 의료서비스 행동모델 34
〈그림 III-1〉 연구자료 추출 60
〈그림 III-2〉 연구대상자 선정 과정 61
〈그림 III-3〉 연구모형 63
〈그림 IV-1〉 소득분위별 분포 72
〈그림 IV-1-1〉 성별 소득분위별 분포 73
〈그림 IV-1-2〉 연령집단별 소득분위별 분포 74
〈그림 IV-1-3〉 거주지역별 소득분위별 분포 74
〈그림 IV-1-4〉 건강보험 가입유형별 소득분위별 분포 76
〈그림 IV-1-5〉 본인부담 감경유형별 소득분위별 분포 77
〈그림 IV-1-6〉 장기요양등급별 소득분위별 분포 77
〈그림 IV-2〉 소득분위별 서비스 형태별 이용률 분포 83
〈그림 IV-2-1〉 소득분위별 시설서비스 이용률 분포 84
〈그림 IV-2-2〉 소득분위별 요양병원 이용률 분포 84
〈그림 IV-3〉 소득분위별 서비스 미이용률 분포 86
〈그림 IV-3-1〉 소득분위별 일반병원 이용률 분포 86
〈그림 IV-4〉 본인부담 감경유형별 서비스 형태별 이용률 분포 97
〈그림 IV-4-1〉 본인부담 감경유형별 시설서비스 이용률 분포 98
〈그림 IV-4-2〉 본인부담 감경유형별 요양병원 이용률 분포 98
〈그림 IV-4-3〉 본인부담 감경유형별 일반병원 이용률 분포 98
〈그림 IV-5〉 소득분위별 오즈비(OR) 변화 추이 114
〈그림 IV-6〉 입원자 포함한 본인부담 감경유형별 오즈비(OR) 변화 추이 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