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10

I. 서론 12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2

2. 연구문제 17

가. 연구문제 17

나. 연구가설 17

3. 용어 정의 18

가. 부부갈등 18

나. 온정적양육 18

다. 불안 19

라. 반항행동 19

II. 이론적 배경 20

1. 부부갈등 20

가. 부부갈등의 개념 및 관점 20

나. 부부갈등이 가족체계에 미치는 영향 연구 22

2. 온정적양육 24

가. 온정적양육의 개념 및 관점 24

나. 온정적양육이 가족체계에 미치는 영향 연구 26

3. 불안 28

가. 불안의 개념 및 관점 28

나. 불안이 아동·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 연구 30

4. 반항행동 31

가. 반항행동의 개념 및 관점 31

나. 반항행동이 아동·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 연구 33

5. 각 변인들의 관계 34

가. 부부갈등과 반항행동의 관계 34

나. 부부갈등과 온정적양육, 불안의 관계 35

다. 온정적양육과 불안의 관계 37

라. 온정적양육, 불안과 반항행동의 관계 38

마. 부부갈등, 온정적양육, 불안, 반항행동의 관계 40

III. 연구방법 42

1. 연구대상 42

2. 연구도구 44

가. 부부갈등 44

나. 온정적양육 45

다. 불안(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 K-CBCL, 6-18, DSM 진단방식) 46

라. 반항행동(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 K-CBCL 6-18, DSM 진단방식) 46

3. 연구 절차 47

4. 자료 분석 48

5. 연구모형 48

IV. 연구 결과 50

1. 측정 변인의 다변량 정상분포 및 상관행렬 50

2. 아동 전체 집단의 측정모형 검증 52

가. 아동 전체 집단의 적합도 지수를 통한 측정모형 검증 52

나. 아동 전체 집단의 수렴(집중)타당도를 통한 측정모형 검증 53

다. 아동 전체 집단의 판별타당도를 통한 측정모형 검증 56

3. 성별 분류 집단의 측정모형 검증 57

가. 성별 분류 집단의 적합도 지수를 통한 측정모형 검증 57

나. 성별 분류 집단의 수렴(집중)타당도를 통한 측정모형 검증 60

다. 성별 분류 집단의 판별타당도를 통한 측정모형 검증 62

4. 아동 전체 집단 및 성별 분류 집단의 구조모형 검증 64

가. 전체 아동 집단의 구조모형 검증 65

나. 남아 집단의 구조모형 검증 68

다. 여아 집단의 구조모형 검증 71

라. 집단별 최종 구조모형 75

V. 논의 77

참고문헌 86

부록 107

부록 1. 부부갈등 척도(어머니용) 108

부록 2. 온정적양육 척도(어머니용) 109

부록 3. K CBCL 1-16 불안(아동용) 110

부록 4. K CBCL 1-16 반항행동(아동용) 111

Abstract 112

〈표 1〉 한국아동패널 조사 지역별 참여 현황 42

〈표 2〉 한국아동패널 조사 참여 아동 특성 43

〈표 3〉 한국아동패널 조사 참여 어머니 및 가족 특성 44

〈표 4〉 부부갈등 척도 문항과 신뢰도 45

〈표 5〉 온정적양육 척도 문항과 신뢰도 45

〈표 6〉 K-CBCL 6-18, 불안 척도 문항과 신뢰도 46

〈표 7〉 K-CBCL 6-18, 반항행동 척도 문항과 신뢰도 47

〈표 8〉 측정 변인의 다변랑 정상분포 검증 50

〈표 9〉 측정 변인의 상관행렬 51

〈표 10〉 아동 전체 집단 측정모형의 적합도 지수 53

〈표 11〉 개념신뢰도, 평균분산추출지수 검증 방법 54

〈표 12〉 아동 전체 집단의 측정모형 수렴(집중)타당도 분석 결과 55

〈표 13〉 판별타당도 검증 방법 56

〈표 14〉 아동 전체 집단 측정모형 판별타당도 분석 결과(검증 1) 56

〈표 15〉 아동 전체 집단 측정모형 판별타당도 분석 결과(검증 2) 57

〈표 16〉 성별 분류 집단 측정모형의 적합도 지수 59

〈표 17〉 남아 집단의 측정모형 수렴(집중)타당도 분석 결과 60

〈표 18〉 여아 집단의 측정모형 수렴(집중)타당도 분석 결과 61

〈표 19〉 남아 집단 측정모형 판별타당도 분석 결과(검증 1) 62

〈표 20〉 남아 집단 측정모형 판별타당도 분석 결과(검증 2) 63

〈표 21〉 여아 집단 측정모형 판별타당도 분석 결과(검증 1) 63

〈표 22〉 여아 집단 측정모형 판별타당도 분석 결과(검증 2) 64

〈표 23〉 전체 아동 집단 구조모형 적합도 지수 65

〈표 24〉 전체 아동 집단 구조모형 요인 간의 경로 계수 66

〈표 25〉 전체 아동 집단 경로의 직접효과와 간접효과 유의성 검증 67

〈표 26〉 남아 집단 구조모형 적합도 지수 68

〈표 27〉 남아 집단 구조모형 요인 간의 경로 계수 69

〈표 28〉 남아 집단 경로의 직접효과와 간접효과 유의성 검증 70

〈표 29〉 여아 집단 구조 모형 적합도 지수(기본모형) 72

〈표 30〉 여아 집단 구조모형 요인 간의 경로 계수(기본모형) 72

〈표 31〉 여아 집단 구조모형 적합도 지수(수정모형) 73

〈표 32〉 여아 집단 구조모형 요인 간의 경로 계수(수정모형) 74

〈표 33〉 여아 집단 경로의 직접효과와 간접효과 유의성 검증 (수정모형) 74

[그림 1] 부부갈등, 온정적양육, 불안, 반항행동의 연구모형 49

[그림 2] 아동 전체 집단 변인들의 측정모형 검증 52

[그림 3] 남아 집단 변인들의 측정모형 검증 58

[그림 4] 여아 집단 변인들의 측정모형 검증 59

[그림 5] 아동 전체 집단 변인들의 구조모형 검증 65

[그림 6] 남아 집단 변인들의 구조모형 검증 68

[그림 7] 여아 집단 변인들의 구조모형 검증(기본모형) 71

[그림 8] 여아 집단 변인들의 구조모형 검증(수정모형) 73

[그림 9] 전체 아동 집단 구조모형 75

[그림 10] 남아 집단 구조모형 76

[그림 11] 여아 집단 구조모형 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