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11
제I장 서론 14
제1절 연구배경 및 필요성 14
제2절 연구 목적 19
제II장 이론적 배경 20
제1절 노인장기요양보험과 가족인 요양보호사 제도 20
1. 노인장기요양보험 개요 20
2. 가족인 요양보호사 제도 23
3. 가족인 요양보호사 이용 현황 31
제2절 가족인 요양보호사 제도 관련 연구 고찰 35
제3절 수급자의 기능 상태변화 관련 요인 38
1. 관련 요인 38
2. 분석 방법 45
제III장 연구방법 51
제1절 연구 설계 51
제2절 연구대상 및 분석자료 52
1. 자료수집 52
2. 실험군과 대조군 54
제3절 분석변수 58
1. 종속변수 58
2. 독립변수 63
3. 통제변수 63
제4절 분석 방법 66
제IV장 연구결과 67
제1절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67
제2절 장기요양 인정조사결과 기능 상태변화 70
1. 요양필요도 점수 변화분석 70
2. 신체기능 점수 변화분석 72
3. 인지기능 점수 변화분석 74
4. 행동변화 점수 변화분석 76
5. 재활 점수 변화분석 78
제V장 고찰 80
제1절 연구방법에 대한 고찰 80
제2절 연구결과 고찰 83
1. 요양필요도 점수 변화분석 83
2. 기능 영역별 변화분석 85
제VI장 결론 및 제언 88
참고문헌 91
Abstract 101
부록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질병별 조합 추가) 105
〈표 II-1〉 등급판정기준 22
〈표 II-2〉 가족인 요양보호사 관련 고시 변화 30
〈표 II-3〉 가족인 요양보호사 연도별 현황(2008~2019) 31
〈표 II-4〉 가족인 요양보호사 수급자의 타 급여 이용 현황 32
〈표 II-5〉 수급자와 가족인 요양보호사 관계 현황 33
〈표 II-6〉 가족인 요양보호사 연령별 현황 33
〈표 II-7〉 가족인 요양보호사 급여서비스 제공시간 현황 34
〈표 III-1〉 분석대상 데이터 추출 흐름 53
〈표 III-2〉 성향점수매칭(PSM) 결과 57
〈표 III-3〉 영역별 심신 상태를 나타내는 52개 항목 60
〈표 III-4〉 영역별 조사항목 점수표 61
〈표 III-5〉 영역별 100점 득점 환산표 62
〈표 III-6〉 각 변수의 측정과 부호화 65
〈표 IV-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68
〈표 IV-2〉 요양필요도 점수에 대한 이중차이분석 71
〈표 IV-3〉 신체기능 점수에 대한 이중차이분석 73
〈표 IV-4〉 인지기능 점수에 대한 이중차이분석 75
〈표 IV-5〉 행동변화 점수에 대한 이중차이분석 77
〈표 IV-6〉 재활 점수에 대한 이중차이분석 79
〈그림 II-1〉 이중차이분석의 인과 효과 47
〈그림 II-2〉 성향점수매칭과 이중차이 결합모형(The DID Method Combined with PSM) 50
〈그림 III-1〉 연구의 틀 51
〈그림 IV-1〉 요양필요도 점수에 대한 이중차이분석 71
〈그림 IV-2〉 신체기능 점수에 대한 이중차이분석 73
〈그림 IV-3〉 인지기능 점수에 대한 이중차이분석 75
〈그림 IV-4〉 행동변화 점수에 대한 이중차이분석 77
〈그림 IV-5〉 재활 점수에 대한 이중차이분석 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