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9
I. 서론 12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2
2. 연구문제 18
3. 용어 정의 19
가. 정서인식 명확성 19
나. 공감능력 19
다. 인지적 유연성 20
라. 대인관계 문제 20
II. 이론적 배경 22
1. 정서인식 명확성 22
2. 공감능력 25
3. 인지적 유연성 28
4. 대인관계 문제 31
5. 각 변인들 간의 관계 34
가. 정서인식 명확성과 공감능력, 대인관계 문제의 관계 34
나. 정서인식 명확성과 인지적 유연성, 대인관계 문제의 관계 38
다. 공감능력과 인지적 유연성의 관계 40
III. 연구방법 43
1. 연구모형 43
2. 연구가설 47
3. 연구대상 48
4. 측정도구 49
가. 정서인식 명확성 49
나. 공감능력 50
다. 인지적 유연성 51
라. 대인관계 문제 52
5. 분석방법 54
IV. 연구결과 55
1. 주요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 55
2. 정서인식 명확성과 대인관계 문제의 관계에서 공감능력과 인지적 유연성의 이중매개효과 57
3. 정서인식 명확성과 대인관계 문제의 관계에서 인지적 유연성과 공감능력의 이중매개효과 61
V. 논의 및 제언 65
1. 요약 및 논의 65
2.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72
참고문헌 74
부록 91
1. 정서인식 명확성 설문지 93
2. 공감능력 설문지 94
3. 인지적 유연성 설문지 96
4. 대인관계 문제 설문지 97
Abstract 99
〈표 1〉 연구대상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48
〈표 2〉 정서인식 명확성의 문항 및 신뢰도 50
〈표 3〉 공감능력의 문항 및 신뢰도 51
〈표 4〉 인지적 유연성의 문항 및 신뢰도 52
〈표 5〉 대인관계 문제의 문항 및 신뢰도 53
〈표 6〉 주요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 (N=308) 55
〈표 7〉 정서인식 명확성과 대인관계 문제의 관계에서 공감능력과 인지적 유연성의 이중매개효과 57
〈표 8〉 이중매개효과 검증 60
〈표 9〉 정서인식 명확성과 대인관계 문제와의 관계에서 인지적 유연성과 공감능력의 이중매개효과 61
〈표 10〉 이중매개효과 검증 64
[그림 1] 연구모형(부분 매개모형) 46
[그림 2] 경쟁모형(부분 매개모형) 46
[그림 3] 연구모형 경로별 효과크기 58
[그림 4] 경쟁모형 경로별 효과크기 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