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8

제1장 서론 9

제2장 연구방법 11

제1절 연구방법 11

제2절 일러두기 11

제3장 원문번역 13

제1절 御纂醫宗金鑑 卷四 13

제4장 고찰 262

제1절 『醫宗金鑑』 편집, [注]에 대한 내용고찰 262

제1항 『醫宗金鑑』 편집상의 특징 262

제2항 『醫宗金鑑』 [注]의 특징 283

제2절 『注解傷寒論』과의 비교 고찰 288

제1항 『注解傷寒論』과의 차이점 288

제2항 『注解傷寒論』의 영향을 받은 부분 294

제5장 결론 297

참고문헌 299

Abstract 301

표 1. 「陽明病篇」 서문에 대한 요약 15

표 2. 太陽陽明, 正陽陽明, 少陽陽明의 素因과 전변기전 37

표 3. 陽明傷寒과 陽明中風의 구분 40

표 4. [원문] 4-11 [按]과 [注]에 제시된 脈遲, 汗出多의 세 가지 변증 43

표 5. [注]에 따른 [원문] 4-10, 4-11, 4-12의 요약 46

표 6. 張璐가 제시한 邪氣에 따른 太陽病과 陽明病의 脈과 證 46

표 7. 본 조문의 증상에 대한 각 의가의 해설 69

표 8. [원문] 4-20, 31, 32의 비교 107

표 9. [원문] 4-34, 35에서 燥屎를 알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설명 121

표 10. [원문] 4-39에 대한 吳謙과 程知의 설명 130

표 11. [원문] 4-39의 맥에 대한 『注解傷寒論』, 『醫宗金鑑』의 설명 131

표 12. [원문] 4-42, 43의 비교 147

표 13. [원문] 4-46, 47의 공통점 158

표 14. [원문] 4-53, 54의 공통점과 차이점 173

표 15. "傷寒瘀熱在裏" 中 "裏"에 대한 관점 176

표 16. [원문] 4-57, 58의 陽明 濕熱黃疸에 대한 각 주가의 의견 189

표 17. 心中懊憹에 대한 吳謙의 변증 189

표 18. 각 조문에서 언급된 "燥化"와 "濕化" 개념 199

표 19. 煩熱에 대한 변증과 처방을 제시함 202

표 20. 본 조문에 대한 吳謙과 成無已의 주 비교 206

표 21. [원문] 4-66과 [원문] 4-67에 대한 [注] 비교 213

표 22. [원문] 4-69 [注]에 따른 딸꾹질의 세 가지 변증 221

표 23. [원문] 4-73~75의 공통 증상과 섬어의 원인 및 처방 232

표 24. 본 證에 대한 각 醫家들의 관점 242

표 25. [원문] 4-81의 陰陽錯雜, 表裏混淆證에 대한 六經病 배속 247

표 26. 陰陽에 따른 邪氣와 증상의 구분 253

표 27. 『醫宗金鑑』 「陽明病篇」의 조문 순서와 각 서적의 陽明病篇 조문 순서 비교 262

표 28. 病과 證 등의 특정 주제로 묶여 배치된 『醫宗金鑑』 「陽明病篇」의 조문 266

표 29. [注]에서 "此承上條"라 하여 前後조문을 연계한 조문 267

표 30. 『醫宗金鑑』 「陽明病篇」과 『傷寒論條辨』의 조문 배치 비교 269

표 31. 『醫宗金鑑』 「陽明病篇」과 『傷寒後條辨』의 조문 배치 비교 271

표 32. 『醫宗金鑑』 「陽明病篇」과 『注解傷寒論』의 조문 배치 비교 273

표 33. 『醫宗金鑑』 「陽明病篇」과 『尙論篇』의 조문 배치 비교 275

표 34. 『醫宗金鑑』 「陽明病篇」과 『傷寒纘論』의 조문 배치 비교 278

표 35. 각 조문에서 언급된 "燥化"와 "濕化" 개념 286

표 36. 『醫宗金鑑』 「陽明病篇」에서 인용한 錯簡重訂派 醫家 및 주요저작 287

표 37. 『注解傷寒論』의 조문을 『醫宗金鑑』 「陽明病篇」에서 하나의 조문으로 병합한 조문 288

표 38. 『注解傷寒論』 「陽明病篇」 중 『醫宗金鑑』 「陽明病篇」에서 제외된 조문 292

표 39. 『注解傷寒論』 「陽明病篇」에는 없으나 『醫宗金鑑』 「陽明病篇」에 위치한 조문 2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