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종용 (肉蓯蓉, Cistanche deserticola)은 열당과(列當科 : Orobanchaceae) 식물로 한의학에서는 전통적으로 補腎陽, 益精血, 潤腸通便하는 효능이 있어, 陽痿, 不孕, 腰膝酸軟, 筋骨無力, 腸燥便秘를 치료한다고 한다. 최근에는 신경세포보호, 항산화, 항염증 및 진통, 진정작용 등의 효과가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육종용의 항염증 기전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LPS로 자극한 RAW 264.7 세포 모델을 사용하여 육종용 열수추출물 (CDWE)의 항염증 기능을 연구하였다.
CDWE를 전처리한 RAW 264.7 세포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세포생존율은 MTT assay로 측정하였고, nitric oxide (NO) 생성은 Griess 시약으로 측정하였으며, Interleukin-6 (IL-6) 생성은 ELISA로 측정하였다. Nitric oxide synthase 2 (NOS2), cyclooxygenase-2 (COX-2), inhibitor of κB-α (IκB-α), p-IκB-α, nuclear factor-κB p65 (NF-κB p65) 단백질 발현은 Western blot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CDWE는 실험한 처리 농도 1000 ㎍/㎖까지 RAW 264.7 세포의 세포생존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CDWE는 NO 생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하게 억제하면서 IL-6의 발현 정도 또한 유의하게 억제하였다. 또한 CDWE는 NOS2, COX-2, NF-κB p65, p-IκB-α의 발현도 유의하게 억제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CDWE가 LPS로 생성된 염증 인자들의 발현을 NF-κB 활성을 억제하는 방법으로 감소시켜 항염증 효과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이 연구는 육종용이 항염증 치료 물질 개발에 응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