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최근 코로나 19 팬데믹으로 인한 교육환경의 주된 변화로서 초등학생들은 또래 활동을 통해 신체활동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가 줄어들어 사회성 향상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한편, 지적장애 초등학생 수가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기 때문에, 그들이 학교생활 전반에서 겪는 어려움을 해결해야 할 필요가 더욱 강조되고 있다.

이때 심리운동 프로그램은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일상적인 신체활동을 지속하게 하여 학습과 적응행동의 효율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이 연구는 일선 학교 현장에서 편성 운영의 자율성과 융통성이 주어지는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에 심리운동을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과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특수학교와 특수학급 교육과정안에서 창의적 체험활동에 대한 검토를 통해 지적장애 초등학생을 위한 심리운동 프로그램의 적용 방안을 살펴본다.

둘째, 심리운동이 국내 지적장애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학교현장에서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에 활용될 수 있도록 심리운동 프로그램 과정안을 제시한다.

이 논문은 연구 결과를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첫째, 특수교육 담당 교사는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에 지적장애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심리운동 프로그램을 적용할 수 있다.

둘째, 1회기 40분으로 총 21회기로 구성된 심리운동 프로그램 과정 안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이 논문은 후속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심리운동이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심리상태를 전향적으로 개선 및 치료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본 연구에서 제시된 프로그램을 실제로 적용한 후속 연구를 기대한다.

둘째, 교육청과 초등학교 등 행정 및 교육기관은 심리운동의 효율성에 대한 인식을 확대하여 관련 분야 지식과 기술을 도입하고, 프로그램 연수 등에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