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사의 안전분위기, 사건보고태도 및 지식, 비판적 사고성향이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G광역시 소재한 200병상 이상의 종합병원 3곳에서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 163명을 임의 표출하였다. 자료 수집은 2021년 8월 15일부터 8월 30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안전분위기는 Singer 등(2009)이 개발한 PSCHO 도구를 황미숙(2014)이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사건보고태도 및 지식은 김기경 등(2006)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비판적 사고성향은 권인수 등(2006)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환자안전간호활동은 의료기관평가인증원이 2014년에 개발한 상급종합병원용/종합병원용 병원인증평가 내용을 바탕으로 한미영, 정면숙(2017)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 Version 24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t-test와 ANOVA, Scheffé test, 피어슨의 상관관계분석(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종합병원 간호사의 안전분위기 평균 3.36±0.41점, 사건보고태도 및 지식 평균 3.36±0.35점, 비판적 사고성향 평균 3.30±0.37점, 환자안전간호활동 평균 4.15±0.53점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요인은 현부서 근무경력(F=3.571, p=.030)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환자안전간호활동은 안전분위기(r=.413, p<.001), 사건보고태도 및 지식(r=.442, p<.001), 비판적 사고성향(r=.465, p<.001)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으며, 현부서 근무경력(r=-.206, p=.008)과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대상자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사건보고태도 및 지식(β=.273, p<.001), 비판적 사고성향(β=.263, p=.001), 현부서 근무경력(β=-.167, p=.010), 특수부서에 근무하는 경우(β=.210, p=.044) 순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34.4%였다.

본 연구 연구결과를 토대로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을 증진시키기 위해 긍정적인 안전분위기 형성, 사건보고태도 및 지식 수준의 향상을 위한 교육 및 보고 절차 확립, 높은 비판적 사고성향을 위한 전략 마련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와 더불어 대상자의 근무경력 및 부서 특성을 고려한 환자안전간호활동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시스템 확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