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국문요약 7
I. 서론 10
1. 연구의 필요성 10
2. 연구의 목적 13
II. 문헌고찰 14
1. 경도인지장애 노인 14
2. 성공적 노화 18
3. 방법론적 배경: Charmaz의 근거이론 방법 22
III. 연구방법 27
1. 연구설계 27
2. 연구 참여자 선정 27
3. 자료수집 기간 및 방법 29
4. 자료분석 방법 31
1) 원자료화(raw materialization) 31
2) 초기코딩(initial coding) 32
3) 초점코딩(focused coding) 32
4) 메모(memo)의 작성 및 정렬(sort) 33
5) 이론적 코딩(Theoretical Coding) 36
5. 연구의 타당성 확보 36
1) 신빙성(credibility) 37
2) 독창성(originality) 37
3) 반향성(resonance) 38
4) 유용성(usefulness) 38
6. 연구자의 민감성 확보 39
7. 윤리적 고려 40
IV. 연구결과 41
1. 연구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 41
2. 근거자료의 범주화 결과 43
3.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성공적 노화 경험 46
1) 불길한 증상과 진단의 이상신호 46
2) 예상치 못한 노후의 위기에 번민함 49
3) 기억의 쇠퇴로 심신이 동요함 51
4) 질병에 대한 자기 수용성 60
5) 삶에 대한 평가 64
6) 힘이 되는 지지자원 67
7) 개인의 상황 대처 성향 72
8) 인지회복 가능성 타진하기 76
9) 두뇌건강 습관 기르기 80
10) 낙천적으로 조망하기 86
11) 삶의 통제감 갖기 90
12) 주어진 현실을 살아감 95
13) 희망적 삶의 재구성 98
14) 노년기 삶의 균형과 조화 102
4.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성공적 노화 경험에 대한 실체이론 108
V. 논의 114
1.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성공적 노화 경험 : 흔들리는 노후의 위기 속에서 자신을 일으켜 세우기 114
2. 간호학적 의의 121
1) 간호이론 121
2) 간호실무 122
3) 간호연구 122
4) 간호정책 123
VI. 결론 및 제언 124
참고문헌 126
Abstract 141
부록 144
부록 1. 면담 지침서 144
부록 2. 연구 설명문 및 연구 참여 동의서 145
부록 3.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 심의결과 통지서 149
〈표 1〉 연구자의 메모 예시 34
〈표 2〉 연구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 42
〈표 3〉 근거자료의 범주화 결과 43
〈그림 1〉 집락법으로 도출된 초기 이론 모형 35
〈그림 2〉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성공적 노화 경험 실체이론 모형 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