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표제지

목차

국문요약 8

I. 서론 10

1. 연구의 필요성 10

2. 연구의 목적 13

II. 문헌고찰 14

1. 중환자실 간호사와 임상 경험 14

2. 방법론적 배경: 근거이론방법 19

III. 연구방법 24

1. 연구설계 24

2. 연구참여자 선정 24

3. 자료수집 기간 및 방법 25

4. 자료분석 방법 27

5. 연구의 타당성 확보 30

1) 신뢰성(credibility) 30

2) 적합성(fittingness) 31

3) 감사가능성(auditability) 33

4) 확증성(confirmability) 33

6. 연구자의 민감성 확보 34

7. 윤리적 고려 34

IV. 연구결과 36

1. 연구참여자의 일반적 특성 36

2. 개방코딩 37

1) 몰아치는 중환자 간호현장에 압도됨 40

2) 홀로 감당해야하는 중압감 45

3) 환자 죽음에 대한 애도 49

4) 서열화된 관계에 대한 인식 53

5) 생사의 간호현장에서 마주한 혹독한 역경 57

6) 의지되는 사람들의 지지 65

7) 행·재정 지원의 인식 69

8) 현실 외면하기 72

9) 돌파구 만들기 74

10) 중환자간호의 실무역량 키워가기 78

11) 살아남기 위한 전략적 관계 만들기 81

12) 일의 가치와 의미 발견해가기 84

14) 인생의 관점을 긍정적으로 확장하기 88

15) 중환자 간호사로 자아실현하기 90

16) 타성화되어 머무르기 96

17) 직업전환을 고민함 98

3. 축코딩 102

1) 패러다임 모형에 의한 범주의 구조 분석 102

2) 중환자실 간호사의 임상적응 과정 분석 108

4. 선택코딩 114

1) 이야기 윤곽 114

2) 핵심범주 : 중환자 돌봄의 역경을 견디며 자아실현하기 116

3) 가설적 정형화 및 관계 진술 118

4) 중환자실 간호사의 임상적응 유형 122

5) 중환자실 간호사의 임상적응 경험의 조건/결과 매트릭스 126

6) 중환자실 간호사의 임상적응 경험에 관한 실체이론 129

V. 논의 133

1. 핵심범주: 중환자 돌봄의 역경을 견디며 자아실현하기 133

2. 중환자 돌봄의 역경을 견디며 자아실현하기의 과정 137

3. 중환자 돌봄의 역경을 견디며 자아실현하기의 유형 139

4. 간호학적 의의 140

1) 간호교육 140

2) 간호실무 141

3) 간호연구 141

4) 간호이론 141

VI. 결론 및 제언 142

참고문헌 144

Abstract 152

부록 153

부록 1. 연구동의서 153

부록 2. 면담 지침서 156

부록 3.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 심의 결과 통지서 157

〈표 1〉 연구자의 메모 예시 29

〈표 2〉 적합성 확보를 위한 연구 미참여 중환자실 간호사의 의견 32

〈표 3〉 연구참여자의 일반적 특성 36

〈표 4〉 근거자료의 범주화 37

〈표 5〉 범주에 따른 속성과 차원 104

〈표 6〉 가설적 정형화 119

〈표 7〉 중환자실 간호사의 임상적응 유형 122

〈그림 1〉 연구결과의 신뢰성 확보를 위한 연구참여자 의견 30

〈그림 2〉 패러다임 모형 103

〈그림 3〉 중환자실 간호사의 임상적응 과정 108

〈그림 4〉 중환자실 간호사의 임상적응 경험의 조건/결과 매트릭스 128

〈그림 5〉 중환자실 간호사의 임상적응에 관한 실체이론 1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