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국문요약 9
I. 서론 12
1. 연구의 필요성 12
2. 연구의 목적 15
3. 용어의 정의 16
1) 세대(Generation) 16
2) 사회적지지 16
3) 감성지능 17
4) 감정노동 17
5) 직무갈등 17
6) 소진 18
7) 직무열의 18
8) 조직몰입 19
II. 문헌고찰 20
1. 병원간호사와 세대 20
2. 병원간호사의 조직몰입 23
3. 병원간호사의 조직몰입 관련요인 26
1) 사회적지지 26
2) 감성지능 28
3) 감정노동 29
4) 직무갈등 31
5) 소진 33
6) 직무열의 34
III. 이론적 배경 37
1. 이론적 기틀 37
2. 개념적 기틀 40
3. 가설적 모델 42
4. 연구 가설 43
1) 조직몰입을 내생변수로 하는 가설 43
2) 직무열의를 내생변수로 하는 가설 43
3) 소진을 내생변수로 하는 가설 43
4) 병원간호사의 세대별 집단을 조절변수로 하는 조절효과 관련 가설 44
IV. 연구방법 45
1. 연구 설계 45
2. 연구 대상 45
3. 연구 도구 46
1) 조직몰입 46
2) 사회적지지 46
3) 감성지능 46
4) 감정노동 47
5) 직무갈등 47
6) 소진 48
7) 직무열의 48
4. 자료수집 기간 및 방법 49
5. 자료분석 방법 49
6. 연구의 윤리적 고려 50
1) 대상자의 윤리적 측면 50
2) 수집된 자료 관리 51
7. 연구의 제한점 51
V. 연구 결과 52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52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조직몰입 정도의 차이 58
3. 측정변인의 기술적 통계 및 다중 공선성 분석 60
4. 측정모형의 검증 63
1) 확인적 요인분석 63
2) 구성개념 타당성 검증 65
5. 구조모형 검증 68
1) 가설적 모형의 적합도 검증 68
2) 가설적 모형의 모수 추정치 69
3) 가설적 모형의 모수치 추정 결과 70
4) 가설적 모형의 직접효과, 간접효과, 총 효과 및 특정 간접효과 검증 73
6. 다중집단분석을 통한 조절효과 검증 75
1) 세대 별 다중집단분석 75
7. 연구가설의 검증 83
1) 조직몰입을 내생변수로 하는 가설 83
2) 직무열의를 내생변수로 하는 가설 83
3) 소진을 내생변수로 하는 가설 84
4) 병원간호사의 세대별 집단을 조절변수로 하는 조절효과 관련 가설 84
VI. 논의 86
1. 고찰 86
2. 연구의 의의 95
1) 간호이론 측면 95
2) 간호실무 측면 95
3) 간호교육 측면 96
4) 간호연구 측면 96
VII. 결론 및 제언 97
참고문헌 100
Abstract 117
부록 121
부록 1. 임상연구심의위원회 심의 결과 통보서 121
부록 2. 측정도구의 신뢰도 122
부록 3. 설문지 123
부록 4. 도구 승인 134
표 1. 조직몰입 관련요인 36
표 2-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인구사회학적 특성) 55
표 2-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직장생활 관련 특성) 56
표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조직몰입 정도의 차이 59
표 4. 측정변인의 기술적 통계 및 다중 공선성 분석 62
표 5. 확인적 요인분석 측정모형의 적합도 지수 65
표 6. 확인적 요인분석과 집중 타당성 분석 66
표 7. 상관 행렬표 67
표 8. 가설적 모형의 적합도 지수 68
표 9. 가설적 모형의 모수 추정치 69
표 10. 가설적 모형의 모수치 추정 결과 71
표 11. 가설적 모형의 직접효과, 간접효과, 총 효과 검증 74
표 12. 특정간접효과 분석결과 74
표 13. 세대별(X, Y, Z세대) 자유모델과 제약모델의 측정 동일성 비교 76
표 14. X, Y, Z세대로 나눈 모형의 적합도 77
표 15. 세대별(X, Y, Z세대) 경로계수 비교 및 차이 78
그림 1. Bakker 등(2017)의 Job demands-Job resources 확장모델 39
그림 2. 본 연구의 개념적 기틀 41
그림 3. 가설적 모형 42
그림 4. 본 연구의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64
그림 5. 본 연구의 가설적 모형 경로 72
그림 6. X세대 집단 모형 80
그림 7. Y세대 집단 모형 81
그림 8. Z세대 집단 모형 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