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조선시대(1392-1910)는 한반도 중국어 교육 역사상 가장 활발한 시기였다. 사료에 의하면 이 시기에 편찬된 중국어 교과서는 수십 종에 달했다. 예를 들어 전기에는 《老乞大》《朴通事》등이 있었고 후기에는 《華音啟蒙諺解》, 《你呢貴姓(學清)》, 《騎著一匹》, 《華音撮要》, 《關話略抄》등이 나왔다. 조선시대 후기에는 중국과 조선의 변경 무역을 주제로 한 회화체 서적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사용된 언어가 당시의 중국 동북지역 구어의 진실한 기록이라 근대 중국어를 연구하는 데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汪維輝가 편집한 《朝鮮時代漢語教科書叢刊》과 그의 《續編》에는 20 종의 가까운 조선시대의 중국어 교과서가 수록되었는데, 이를 상세하게 교정하고 설명하여 관련 연구에 비교적 완전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필자는 《朝鮮時代漢語教科書叢刊》과 《續編》에 수록된 자료 중 성질이 같고 언어가 비슷하며 모두 조선시대 후기에 편찬된 6 종의 중국어 교과서를 하나로 합쳐 《朝鮮後期漢語教科書》(약칭《教科書》)라고 부르고, 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였으며 어휘를 그 주요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본 논문은 모두 6 장으로 나뉜다. 제 1 장은 서론이다. 《教科書》는 조선시대 중국어 교육의 시대 배경에 대해 기술하였다. 먼저 한반도에서의 중국어 교육 상황을 역사적으로 간단하게 정리하고 조선시대 중국어 교과서의 집필 동인, 성질, 종류를 귀납하고 분석했다. 그 다음으로, 본고의 연구자료 출처와 연구 대상을 소개했다. 그리고 조선 전기와 조선 후기 중국어 교과서의 연구 상황을 총괄했다. 마지막으로 본고의 연구 방법과 연구 의의를 소개하였다.

제 2 장은 주로 사용 빈도와 의미 내용 두 가지 측면에서 《教科書》의 어휘 체계를 연구했다.사용 빈도에 있어, 먼저 어류와 음절 수량에 따라 《教科書》의 어휘를 분류한 다음 각 단어의 사용 빈도를 통계처리하여 《教科書》의 어휘를 고빈도 어휘와 비고빈도 어휘로 나누고, 특별히 고빈도 어휘의 특징을 분석했다. 의미 내용에 있어 《教科書》의 어휘를 商業活動, 日常生活, 身份稱謂, 行政典制, 宗教神話, 時令, 娛樂 등 7 개 부류로 나누고 그 중에서 이해하기 어려운 단어를 중심으로 분석했다.

제 3 장은 먼저 음절 수량에서 《教科書》의 어휘 체계를 고찰했는데, 이는 다시 두 부분으로 나뉜다. 첫째, 《教科書》에서 특수한 단음절어휘를 묘사한 것이고, 둘째, 구조 형식에서 이음절 어휘, 3 음절 어휘와 4 음절어휘로 나누어 특징을 분석했다. 그 다음으로 《教科書》에서 속담의 출현 방식, 구조 형식, 의미 내용에 대해 분석했다.

제 4 장은 《教科書》의 어휘 형식 연구인데, 이는 세 부분으로 나뉜다. 먼저 異形詞 연구인데, 주로 《教科書》에서 異形詞의 유형과 형성 원인을 분석했다.그 다음으로 逆序詞 연구인데, 《教科書》의 逆序詞의 사용 상황, 의미의 공통점, 현대 중국어에서의 존재 상황과 원인 등 내용을 분석했다. 마지막으로 同形異義詞 연구에서는 《教科書》에서 同形異義詞의 유형과 발생 원인을 귀납 분석했다.

제 5 장은 《教科書》의 신조어와 새로운 의미(新義)대한 연구이다. 먼저 사전과 문헌을 조사한 토대 위에서 《教科書》에서 나타난 신조어와 새로운 의미가 형성된 어휘들을 정리한 다음, 이들을 구체적으로 분석했다. 이 과정에서 《教科書》을 이용하여 《漢語大詞典》의 오류나 부족한 부분 등도 보충했다. 구체적으로는 증보사조, 조기예증, 증보의항, 지연예증 등 다섯 가지 측면으로 나누었다.

제 6 장은 《教科書》의 상용어 변천 연구이다. 먼저 《教科書》에 언급된"閉/關""覓、尋/找""面/臉""生受/辛苦""物事/東西""言語/話""與/饋/給" 등 7 가지 상용어의 변천 상황을 고찰했다. 그리고 "面/臉"과 관련된 몇 개의 쌍음어를 예로 들어 근대 중국어 복자음의 내부 교체 규칙을 분석하고 정리했다.

그리고 부록으로, 《教科書》고빈도 어휘 총표, 異形詞 총표, 逆序詞 총표, 俗語 총표 등을 제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