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I. 서론 10
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0
1) 문제의 제기 10
2) 연구의 목적 16
2. 연구의 방법 및 구성 17
1) 연구방법 17
2) 연구의 구성 18
II. 이론적 배경 20
1. 산업체 급식 20
1) 단체급식의 개념과 목적 20
2) 산업체 급식의 정의 22
3) 산업체 급식의 유형과 특징 23
4) 산업체 급식에 관한 선행연구 24
2. 조직적합 25
1) 조직적합의 개념 25
2) 조직적합에 관한 선행연구 28
3. 직무적합 30
1) 직무적합의 개념 30
2) 직무적합에 관한 선행연구 33
4. 직무열의 37
1) 직무열의의 개념 37
2) 직무열의에 관한 선행연구 40
5. 직무만족 43
1) 직무만족의 개념 43
2) 직무만족에 관한 선행연구 47
6. 조직몰입 51
1) 조직몰입의 개념 51
2) 조직몰입에 관한 선행연구 55
III. 연구방법 59
1. 연구모형 및 가설설정 59
1) 연구모형 59
2) 가설설정 60
3) 변수의 조작적 정의 65
2. 조사 설계 67
1) 표본 대상 및 자료의 수집 67
2) 설문지 구성 67
3) 자료의 분석방법 69
IV. 실증분석 결과 70
1. 기초통계 분석 70
1) 인구통계학적 특성 70
2.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분석 73
3. 확인적 요인분석 76
1) 확인적 요인분석 76
2) 상관관계 및 타당도 분석 82
4. 가설검정 84
1) 측정요인들 간의 영향관계 84
2) 매개효과 검증 88
5. T-test 검증 91
1) 성별에 따른 t-test 검증 91
6. 분산분석 93
1) 고용형태에 따른 분산분석 93
V. 결과 및 고찰 95
1. 연구결과의 요약 95
1) 기초통계에 관한 요약 96
2) 가설검증 요약 96
3) 매개효과 검증결과 요약 98
2. 시사점 100
1) 학문적 시사점 100
2) 실무적 시사점 102
3.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 104
1) 연구의 한계점 및 연구과제 104
참고문헌 106
Abstract 127
부록 129
〈표 II-1〉 급식산업의 분류 21
〈표 II-2〉 조직적합에 관한 선행연구 29
〈표 II-3〉 직무적합에 관한 선행연구 36
〈표 II-4〉 직무열의에 관한 선행연구 42
〈표 II-5〉 직무만족에 관한 선행연구 50
〈표 II-6〉 조직몰입에 관한 선행연구 58
〈표 III-1〉 가설 설정 64
〈표 III-2〉 설문지 구성의 세부항목 68
〈표 IV-1〉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72
〈표 IV-2〉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분석 75
〈표 IV-3〉 주요 적합도 지수의 기준치 78
〈표 IV-4〉 타당도 판단 지수의 기준치 78
〈표 IV-5〉 확인적 요인분석 80
〈표 IV-6〉 상관관계 및 타당도분석 83
〈표 IV-7〉 가설검정 결과 86
〈표 IV-8〉 조직적합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직무열의의 매개효과 검증 결과 89
〈표 IV-9〉 직무적합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직무열의의 매개효과 검증 결과 90
〈표 IV-10〉 성별에 따른 평균 비교 92
〈표 IV-11〉 고용형태에 따른 분산분석 93
〈그림 I-1〉 연구의 흐름도 19
〈그림 II-1〉 급식산업의 영역 21
〈그림 II-2〉 조직적합성의 모델 및 연구 분야 27
〈그림 II-3〉 직무적합성의 모델 및 연구 분야 30
〈그림 III-1〉 연구모형 59
〈그림 IV-1〉 확인적 요인분석 81
〈그림 IV-2〉 구조모형 87
〈그림 IV-3〉 가설검정 결과 87
〈그림 IV-4〉 T-test 결과 92
〈그림 IV-5〉 분산분석 결과 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