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I. 서론 10
1. 연구의 배경 및 연구목적 10
1) 연구 배경 10
2) 연구 목적 13
2. 연구의 구성 및 방법 14
1) 연구 구성 14
2) 연구 방법 16
II. 이론적 배경 17
1. 관광산업 17
2. 장소이미지 18
1) 장소의 개념 18
2) 장소이미지의 개념 21
3. 사회적 장소애착 27
4. 구전효과 32
III. 가설설정 36
1. 장소이미지와 구전효과의 가설 설정 36
2. 장소이미지와 사회적 장소애착간의 가설 설정 39
3. 사회적 장소애착과 구전효과 간의 가설 설정 42
IV. 연구설계 47
1. 연구절차 47
2. 연구모형 48
3. 연구표본 및 자료수집 48
4. 변수의 조작적 정의 49
1) 장소이미지 49
2) 사회적 장소애착 49
3) 구전효과 50
5. 설문지 구성 50
V. 실증분석 54
1. 응답자의 인구통계학 특성 54
2. 구성개념에 대한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 58
1) 확인적 요인분석의 주요 적합도 58
2) 개념 확인적 요인별 지수 및 변수 간 상관관계 59
3. 가설검증 65
1) 모형의 적합도 분석 65
2) 가설 검증 65
3) 측정모델의 매개효과 검증 67
VI. 논의 및 결론 70
1. 연구결과의 요약 70
2. 논의 및 제언 72
3. 연구의 한계 75
참고문헌 76
Abstract 87
부록 89
〈표 II-1〉 장소(place)의 어의적 특성 20
〈표 II-2〉 장소(place)의 개념 20
〈표 II-3〉 장소이미지에 대한 선행연구 정리 26
〈표 II-4〉 사회적 장소애착에 대한 선행연구 정리 31
〈표 II-5〉 구전효과에 대한 선행연구 정리 35
〈표 III-1〉 연구가설 46
〈표 IV-1〉 설문지 구성 52
〈표 V-1〉 인구통계학적 특성 56
〈표 V-2〉 주요 적합도 지수 61
〈표 V-3〉 타당도 판단 지수 62
〈표 V-4〉 확정된 모델의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62
〈표 V-5〉 변수간 상관관계 64
〈표 V-6〉 연구가설의 검정 66
〈표 V-7〉 직접효과와 간접효과 검증결과 68
〈그림 I-1〉 연구 진행과정 15
〈그림 IV-1〉 연구의 모형 48
〈그림 V-1〉 수정전 측정모델 63
〈그림 V-2〉 확정된 측정모델 63
〈그림 V-3〉 최종 연구모형 경로분석 결과 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