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오늘날의 국내 직장 전반에 걸쳐 새로운 세대의 직원들은 국내 직장의 주요 구성원이 되었고, 이들은 점차 각자 계층에서 중추로 자리를 잡았다. 최근 몇 년간 이들을 어떻게 과학적이고 합리적으로 관리할지 논의되어왔다. 이들은 왜 자주 이직하는가? 어떻게 이들의 이직 행위를 줄이고 조직적인 헌신을 높일 수 있도록 유도할 것인가? 어떠한 형태의 리더십이 이들에게 더 적합할 것인가? 이직과 관련된 이들 자신의 심리적 특징은 무엇인가? 이 같은 문제에 대해서는 아직 구체적인 심층 연구가 부족하다. 경영 실무나 학계는 특별한 존재로서 위와 같은 문제를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며 의미가 있는 것이다.

본 연구는 사회학습이론, 사회교환이론, 그리고 자기 차이 이론을 기초로 이들을 연구대상으로 하고, 심리적 자본의 매개 효과와 권력 거리의 조절 효과 아래에서 중국식 도덕적 리더십이 조직몰입과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중국적인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들의 조직적 헌신과 이직 의도에 대한 중국식 도덕적 리더십의 메커니즘을 찾고 조직적인 측면과 개인적인 측면에서 이들을 위한 과학적 관리 전략을 모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문헌검토를 기반으로 중국식 도덕적 리더십, 조직몰입, 이직 의도, 심리적 자본과 권력 거리 등 본 연구에 관련된 변수들을 설계하였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중국에서 21개 성에 있는 조직들에서 다양한 유형의 이들로부터 537개의 유효한 설문지 정보를 수집하였다. 이 연구는 샘플 데이터를 분석하고 연구하기 위해 SPSS 24..0과 AMOS24..0 소프트웨어를 사용한다. 탐색적 요인 분석, 확증적 요인 분석, 신뢰도 분석, 구조방정식 모델링 방법을 통해 측정 도구와 이론모형의 신뢰도와 타당성과 본 연구에서 제안한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이들의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관리를 위한 대책과 제안이 제시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국식 도덕적 리더십이 이들의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이직 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임을 보여준다. 심리적 자본은 이들의 조직적 몰입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이직 의도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임을 보여준다. 심리적 자본은 중국식 도덕 리더십과 이들의 조직몰입과 이직 의도 사이의 관계를 부분 매개한다.

이 논문의 연구 기여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적인 측면에서 이들에 대한 연구를 확장한다. 둘째, 이들의 조직몰입과 이직 의도에 대한 중국식 도덕적 리더십의 메커니즘을 밝히고 중국식 도덕 리더십과 관련된 정보를 풍부하게 한다. 셋째, 중국식 도덕적 리더십, 조직몰입, 이직 의도 사이에서 이들의 심리적 자본의 매개역할을 발견하였고, 심리적 자본과 관련된 이론을 심화시켰다. 다섯째, 이들의 심리적 자본 개발을 위한 새로운 아이디어와 방향을 제시한다.

본 논문의 연구 한계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과 조사 영역에 대한 한계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정량적인 방식으로 수행되었으며, 이 결론은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셋째, 본 논문은 제한된 시간과 자원으로 인해 리더십 관점(중국식 도덕적 리더십)과 개인적 관점(심리적 자본, 조직몰입, 이직 의도)의 변수만을 선정하였기에 통합모델 구축에 있어 한계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