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17

제1장 서론 20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0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2

제2장 한국 전통소재 단청 25

제1절 단청의 역사 25

1. 삼국시대 26

2. 고려시대 28

3. 조선시대 29

제2절 전통소재 단청 32

1. 전통소재 단청 안료 명칭 32

2. 전통소재 단청 안료 37

3. 전통소재 단청 교착제 및 유제 명칭 54

4. 전통소재 단청 교착제 및 유제 56

제3절 선행연구 62

제3장 전통 단청 제작기법 69

제1절 전통소재 단청 제작기법 69

1. 하도(下塗) 71

2. 중도(中塗) 76

3. 상도(上塗) 78

4. 전통소재 단청 제작 분석사례 81

제2절 전통소재 단청 보완기법 84

1. 1차 면닦기 84

2. 1차 아교포수 85

3. 2차 면닦기 86

4. 2차 아교포수 87

5. 면고르기 87

6. 1차 뇌록가칠 87

7. 2차 뇌록가칠 88

8. 1차 상부채색 89

9. 2차 상부채색 93

10. 시분 및 먹기화 93

11. 마감칠 93

제4장 전통 단청 재현 95

제1절 전통 단청 재현 대상 95

제2절 예비조사 97

1. 재료선정 97

2. 농도 및 배합비율 테스트 98

3. 채색 도막 평가 102

제3절 전통 단청 재현 104

1. 기본계획 104

2. 가설장비 설치 106

3. 재현 문양 모사도 및 견본도 제작 106

4. 바탕면 만들기 107

5. 아교포수 및 바탕칠(교반수 칠) 108

6. 면닦기 및 2차 아교포수 109

7. 뇌록·석간주 가칠 110

8. 초내기 및 타초 111

9. 상부채색 112

10. 먹선 긋기 및 분점찍기 115

11. 마감칠 117

제5장 재현 단청 사후조사 119

제1절 조사 및 평가 120

1. 현미경 관찰 120

2. 색도 측정 120

3. 밀착력 평가 121

4. 조사 위치 122

제2절 조사 결과 128

1. 현미경 관찰 결과 128

2. 색도 측정 결과 145

3. 밀착력 평가 결과 159

제3절 고찰 160

제6장 전통 단청의 활용 167

제1절 단청을 활용한 전시 168

1. 건물 밖으로 나온 단청 168

2. 전시 주요 작품설명 168

3. 전통악기에 단청을 활용한 작품 180

제2절 생활 속에 단청 185

1. 의류 브랜드 'Romantic Crown' 과의 협업 185

2. 개량 한복 '단하주단' 과의 협업 189

3. 한국문화재재단 공예진흥사업 디자인 개발 193

제7장 결론 195

참고문헌 197

ABSTRACT 203

표 2-1. 의궤에 기록된 안료 종류 1 34

표 2-2. 의궤에 기록된 안료 종류 2 34

표 2-3. 전통소재 단청 색명 및 안료명 35

표 2-4. 의궤에 기록된 교착제의 사용 실례 54

표 2-5. 의궤에 기록된 유제의 사용 실례 55

표 2-6. 조선 후기 의궤에 나타난 교착제 사용 사례 57

표 2-7. 단청 관련 국내 서적 현황 63

표 2-8. 단청 관련 국내 학위논문 현황 64

표 2-9. 단청 관련 조사·연구 보고서 현황 66

표 3-1. 단청의 구성 및 사용재료 70

표 3-2. 단청 가칠 종류 75

표 3-3. 전통소재 단청 제작기법 79

표 3-4. 안료와 아교수 배합방법 91

표 3-5. 안료와 아교수 배합방법에 따른 아교 소요량 및 시공도막 특성 91

표 4-1. 서울 장충동 관성묘 96

표 4-2. 전통 단청 재현 안료목록 97

표 4-3. 전통 단청 재현 실험 교착제, 첨가제, 마감제 98

표 4-4. 전통 단청 재현 실험 바탕재 조건 98

표 4-5. 교반수 및 아교수 농도 테스트 : 뇌록 100

표 4-6. 교반수 및 아교수 농도 테스트 : 석간주 100

표 4-7. 배합비율 테스트 제작조건 101

표 4-8. 채색별 안료와 아교수 배합비율 선정 101

표 4-9. 발림성, 은폐력, 밀착력 평가 범위 102

표 4-10. 전통 단청 재현 실험 안료별 평가 결과 103

표 4-11. 단청 재현 과정 105

표 5-1. 관성묘 외부 단청 사후조사 대상 부재 119

표 5-2. 색차 평가 기준 120

표 5-3. 밀착력 평가 등급 121

표 5-4. 동쪽 연목단청 색도변화 결과 146

표 5-5. 동쪽 주심도리 계풍별화 색도변화 결과 147

표 5-6. 동쪽 주심도리 머리초 좌측 색도변화 결과 148

표 5-7. 동쪽 궁창초 색도변화 결과 149

표 5-8. 서쪽 연목단청 색도변화 결과 150

표 5-9. 서쪽 주심도리 머리초 우측 색도변화 결과 151

표 5-10. 남쪽 대량 머리초 우측 색도변화 결과 152

표 5-11. 남쪽 대량 계풍별화 색도변화 결과 153

표 5-12. 북쪽 대량 머리초 좌측 색도변화 결과 154

표 5-13. 북쪽 대량 계풍별화 색도변화 결과 155

표 5-14. 북쪽 창호단청 색도변화 결과 156

표 5-15. 기둥단청 색도변화 결과 158

표 5-16. 전통 단청 채색 재현 안료 문지름 테스트 결과 159

그림 2-1. 국내 단청 연구 현황 63

그림 3-1. 단청의 층위구조 및 공정 70

그림 3-2. 평방머리초 뇌록가칠 하부 바탕칠층(내소사 대웅보전) 81

그림 3-3. 평방머리초 상부채색 하부 가칠층, 바탕칠층(내소사 대웅보전) 81

그림 3-4. 뜬창방머리초 가칠층 하부 바탕칠층(선운사 대웅보전) 82

그림 3-5. 운각 가칠층 하부 바탕칠층(선운사 대웅보전) 82

그림 3-6. 반자 채색층위 순서(선운사 영산전) 83

그림 3-7. 대량 채색층위 순서(선운사 영산전) 83

그림 3-8. 단청 단면 층위 현미경 이미지(선운사 영산전) 83

그림 4-1. 서울 장충동 관성묘 96

그림 4-2. 교반수 및 아교수 농도테스트 1 100

그림 4-3. 교반수 및 아교수 농도테스트 2 100

그림 4-4. 교반수 및 아교수 농도테스트 3 100

그림 4-5. 교반수 및 아교수 농도테스트 4 100

그림 4-6. 관성묘 동쪽 정면 104

그림 4-7. 관성묘 북쪽 104

그림 4-8. 관성묘 남쪽 104

그림 4-9. 관성묘 횡단면도 104

그림 4-10. 가설장비 설치 1 106

그림 4-11. 가설장비 설치 2 106

그림 4-12. 재현 모사작업 소도구 106

그림 4-13. 재현 전사 작업 106

그림 4-14. 재현 전사 초작업 1 107

그림 4-15. 재현 전사 초작업 2 107

그림 4-16. 기존 채색층 제거 1 107

그림 4-17. 기존 채색층 제거 2 107

그림 4-18. 기존 채색층 제거 3 108

그림 4-19. 기존 채색층 제거 4 108

그림 4-20. 1차 아교포수 1 109

그림 4-21. 1차 아교포수 2 109

그림 4-22. 2차 면닦기 1 109

그림 4-23. 2차 면닦기 2 109

그림 4-24. 아교포수 2차 1 109

그림 4-25. 아교포수 2차 2 109

그림 4-26. 뇌록가칠 1 110

그림 4-27. 뇌록가칠 2 110

그림 4-28. 석간주 가칠 1 110

그림 4-29. 석간주 가칠 2 110

그림 4-30. 문양제작 111

그림 4-31. 천초 111

그림 4-32. 타초 1 111

그림 4-33. 타초 2 111

그림 4-34. 타초 3 111

그림 4-35. 타초완료 111

그림 4-36. 상부채색(곱뱅이 초빛초칠) 1 112

그림 4-37. 상부채색(곱뱅이 초빛) 2 112

그림 4-38. 상부채색(연단초빛) 3 112

그림 4-39. 상부채색(둘레주화 초빛) 4 112

그림 4-40. 상부채색(둘레주화 초빛) 5 113

그림 4-41. 상부채색(초빛 초칠완료) 6 113

그림 4-42. 상부채색(진사 이빛초칠) 7 113

그림 4-43. 상부채색(석청 이빛초칠) 8 113

그림 4-44. 상부채색(곱뱅이 이빛초칠) 9 113

그림 4-45. 상부채색(초빛 및 이빛초칠완료) 10 113

그림 4-46. 상부채색(도리 초빛초칠) 11 113

그림 4-47. 상부채색(도리 초빛초칠) 12 113

그림 4-48. 상부채색(도리 석황 초빛초칠) 13 114

그림 4-49. 상부채색(도리 석류동 초빛초칠) 14 114

그림 4-50. 상부채색(도리 곱뱅이 초빛초칠) 15 114

그림 4-51. 상부채색(도리 초빛초칠) 16 114

그림 4-52. 상부채색(도리 석간주 초빛초칠) 17 114

그림 4-53. 상부채색(도리 연화 진사 이빛초칠) 18 114

그림 4-54. 상부채색(도리 석청 이빛초칠) 19 114

그림 4-55. 상부채색(도리 항아리 다자초칠) 20 114

그림 4-56. 상부채색(계풍 별지화) 21 115

그림 4-57. 상부채색(계풍 별지화) 22 115

그림 4-58. 시분 1 116

그림 4-59. 시분 2 116

그림 4-60. 시분 3 116

그림 4-61. 시분 4 116

그림 4-62. 매화점 찍기 116

그림 4-63. 장획 분긋기 116

그림 4-64. 귀면채색 116

그림 4-65. 먹 긋기 116

그림 4-66. 궁창 채색 및 마무리 117

그림 4-67. 궁창 시분 후 채색 완료 117

그림 4-68. 기둥 마감칠 117

그림 4-69. 하방부 마감칠 117

그림 4-70. 기둥부 마감칠 완료 117

그림 4-71. 기둥 및 하방부 마감칠 완료 117

그림 4-72. 관성묘 단청 전(동쪽 정면) 118

그림 4-73. 관성묘 단청 후(동쪽 정면) 118

그림 4-74. 관성묘 단청 전(북쪽 정면) 118

그림 4-75. 관성묘 단청 후(북쪽 정면) 118

그림 4-76. 관성묘 단청 전(북쪽 측면) 118

그림 4-77. 관성묘 단청 후(동쪽 측면) 118

그림 4-78. 관성묘 단청 전(창호단청 태극문양) 118

그림 4-79. 관성묘 단청 후(창호단청 태극문양) 118

그림 5-1. 동쪽 정면 122

그림 5-2. 동쪽 연목단청 측정위치 122

그림 5-3. 동쪽 주심도리 계풍별화 측정위치 123

그림 5-4. 동쪽 주심도리 머리초 좌측 측정위치 123

그림 5-5. 동쪽 궁창초 측정위치 123

그림 5-6. 서쪽 정면 124

그림 5-7. 서쪽 연목단청 측정위치 124

그림 5-8. 서쪽 주심도리 머리초 우측 측정위치 124

그림 5-9. 남쪽 정면 125

그림 5-10. 남쪽 대량 머리초 우측 측정위치 125

그림 5-11. 남쪽 대량 계풍별화 측정위치 125

그림 5-12. 북쪽 정면 126

그림 5-13. 북쪽 대량 머리초 좌측 측정위치 126

그림 5-14. 북쪽 대량 계풍별화 측정위치 126

그림 5-15. 북쪽 창호단청 측정위치 127

그림 5-16. 기둥단청 측정위치(A: 동남쪽 / B: 동북쪽 / C: 서북쪽 / D: 서남쪽) 127

그림 5-17. 동쪽 연목단청(X50) 1 128

그림 5-18. 동쪽 연목단청(X50) 2 129

그림 5-19. 동쪽 주심도리 계풍별화(X50) 129

그림 5-20. 동쪽 주심도리 머리초 좌측(X50) 1 130

그림 5-21. 동쪽 주심도리 머리초 좌측(X50) 2 131

그림 5-22. 동쪽 궁창초(X50) 1 132

그림 5-23. 동쪽 궁창초(X50) 2 132

그림 5-24. 서쪽 연목단청(X50) 133

그림 5-25. 서쪽 주심도리 머리초 우측(X50) 1 134

그림 5-26. 서쪽 주심도리 머리초 우측(X50) 2 135

그림 5-27. 남쪽 대량 머리초 우측(X50) 1 137

그림 5-28. 남쪽 대량 머리초 우측(X50) 2 137

그림 5-29. 남쪽 대량 계풍별화(X50) 138

그림 5-30. 북쪽 대량 머리초 좌측(X50) 1 140

그림 5-31. 북쪽 대량 머리초 좌측(X50) 2 140

그림 5-32. 북쪽 대량 계풍별화(X50) 141

그림 5-33. 북쪽 창호단청(X50) 141

그림 5-34. 동북쪽 기둥단청(X50) 142

그림 5-35. 동남쪽 기둥단청(X50) 143

그림 5-36. 서북쪽 기둥단청(X50) 143

그림 5-37. 서남쪽 기둥단청(X50) 144

그림 5-38. 동쪽 연목단청 색도변화 결과 145

그림 5-39. 동쪽 주심도리 계풍별화 색도변화 결과 146

그림 5-40. 동쪽 주심도리 머리초 좌측 색도변화 결과 147

그림 5-41. 동쪽 궁창초 색도변화 결과 148

그림 5-42. 서쪽 연목단청 색도변화 결과 150

그림 5-43. 서쪽 주심도리 머리초 우측 색도변화 결과 151

그림 5-44. 남쪽 대량 머리초 우측 색도변화 결과 152

그림 5-45. 남쪽 대량 계풍별화 색도변화 결과 153

그림 5-46. 북쪽 대량 머리초 좌측 색도변화 결과 154

그림 5-47. 북쪽 대량 계풍별화 색도변화 결과 155

그림 5-48. 북쪽 창호단청 색도변화 결과 156

그림 5-49. 기둥단청 색도변화 결과(2019년도 색차값) 158

그림 5-50. 동쪽 연목단청(A: 2016년 / B: 2018년 / C: 2019년) 163

그림 5-51. 동쪽 주심도리 계풍별화(A: 2016년 / B: 2018년 / C: 2019년) 163

그림 5-52. 동쪽 주심도리 머리초 좌측(A: 2016년 / B: 2018년 / C: 2019년) 163

그림 5-53. 동쪽 궁창초(A: 2016년 / B: 2018년 / C: 2019년) 163

그림 5-54. 서쪽 연목단청(A: 2016년 / B: 2018년 / C: 2019년) 164

그림 5-55. 서쪽 주심도리 머리초 우측(A: 2016년 / B: 2018년 / C: 2019년) 164

그림 5-56. 남쪽 대량 머리초 우측(A: 2016년 / B: 2018년 / C: 2019년) 164

그림 5-57. 남쪽 대량 계풍별화(A: 2016년 / B: 2018년 / C: 2019년) 164

그림 5-58. 북쪽 대량 머리초 좌측(A: 2016년 / B: 2018년 / C: 2019년) 165

그림 5-59. 북쪽 대량 계풍별화(A: 2016년 / B: 2018년 / C: 2019년) 165

그림 5-60. 북쪽 창호단청(A: 2016년 / B: 2018년 / C: 2019년) 165

그림 5-61. 동남쪽 기둥단청(A: 2016년 / B: 2019년 / C, D: 오염 및 변색) 165

그림 5-62. 동북쪽 기둥단청(A: 2016년 / B: 2019년 / C, D: 오염 및 변색) 166

그림 5-63. 서북쪽 기둥단청(A: 2016년 / B: 2019년 / C, D: 오염 및 변색) 166

그림 5-64. 서남쪽 기둥단청(A: 2016년 / B: 2019년 / C, D: 오염 및 변색) 166

그림 6-1. 연화장구머리초 1, 121x29x2.5cm, 육송 판재, 석채 169

그림 6-2. 연화장구머리초 2, 121x29x2.5cm, 육송 판재, 석채 169

그림 6-3. 숭례문 창방초 1, 121x29x2.5cm, 육송 판재, 석채 170

그림 6-4. 숭례문 창방초 2, 121x29x2.5cm, 육송 판재, 석채 171

그림 6-5. 숭례문 창방초 3, 121x29x2.5cm, 육송 판재, 석채 171

그림 6-6. 무위사 극락전 대량초, 121x29x2.5cm, 육송 판재, 석채 172

그림 6-7. 장구머리초, 121x29x3.5cm, 육송 판재, 석채 174

그림 6-8. 병머리초, 121x29x3.5cm, 육송 판재, 석채 175

그림 6-9. 뜬 장여 천인비천도 모사, 121x29x3.5cm, 육송 판재, 석채 176

그림 6-10. 천장 반자 모사, 41x40x2.5cm, 육송 판재, 석채 177

그림 6-11. 현무, 주작도 병풍, 152x120cm, 한옥 부재, 석채 178

그림 6-12. 법고 180

그림 6-13. 가야금 182

그림 6-14. 거문고 183

그림 6-15. 주화단청 스웻셔츠 블랙 전면 185

그림 6-16. 주화단청 스웻셔츠 블랙 후면 185

그림 6-17. 모란단청 후드 블랙 전면 186

그림 6-18. 모란단청 후드 블랙 후면 186

그림 6-19. 주화단청 가디건 전면 186

그림 6-20. 주화단청 가디건 후면 186

그림 6-21. 해치로고 스웻셔츠 187

그림 6-22. 연화머리초 보드데크 187

그림 6-23. 연화주화십자금 치마 190

그림 6-24. 모닷금 치마 190

그림 6-25. 물레단청단 치마 190

그림 6-26. 쌍고리줏대금 치마 190

그림 6-27. 물레금 3단 무지기 플리츠 스커트 191

그림 6-28. 쌀미고리금 갈래치마 191

그림 6-29. 물레금 배자 191

그림 6-30. 쌀미고리금 방령깃 저고리 191

그림 6-31. 쌀미고리금 패딩 192

그림 6-32. 모닷금 에코 퍼 볼끼 192

그림 6-33. 금문 보자기 192

그림 6-34. 고리금 에코 퍼 볼끼 192

그림 6-35. 칠보 화반 193

그림 6-36. 웅련 화반 193

그림 6-37. 파련 화반 193

그림 6-38. 흑단 화반 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