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11

제1장 서론 13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3

제2절 연구의 방법 및 범위 16

제3절 선행연구 분석 20

1. 주요 선행연구 20

2. 주요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22

제2장 아동 완구의 유래와 발전 25

제1절 아동 완구의 출현 및 발전 25

제2절 아동 완구의 특징 30

1. 완구의 종류 및 기능 30

2. 아동 완구별 주요 기능 및 역할 38

3. 완구의 발전 트렌드 39

제3절 아동 완구 시장의 현황 43

제3장 아동놀이와 심리행위 분석 47

제1절 아동의 심리행위 및 특징 47

1. 아동의 심리적 특징 47

2. 아동의 심리 및 행동 분석 48

제2절 아동 심신 발달 특징 51

1. 신체발달 특징 51

2. 대뇌발달 특징 55

3. 인지발달 특징 57

4. 정서발달 특징 62

5. 사회성 발달 특징 64

제3절 아동 놀이의 특징 67

1. 아동의 놀이 행위와 발전 67

2. 아동의 연령별 놀이 특징 68

3. 아동 놀이의 본질적 특징 70

제4절 완구가 아동에게 미치는 심리적 영향 71

1. 색채가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 71

2. 형태가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 73

3. 재료가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 75

4. 기능이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 76

제5절 디자인과 아동발달 심리학 77

1. 디자인과 아동발달 심리학의 상관성 77

2. 디자인과 아동 발달 심리학 측면에서 완구 분석 78

제6절 소결 79

제4장 EQ(감성지능) 이론적 배경과 EQ 향상 완구 사례 83

제1절 EQ의 개념 및 중요성 83

1. EQ의 개념 및 IQ와의 상관성 84

2. 높은 EQ와 낮은 EQ의 표현 대비 91

3. EQ의 조절 작용 92

제2절 아동EQ의 향상 방법 94

1. 아동의 EQ 향상 의미와 중요성 94

2. 아동의 EQ 교육과 향상 방법 99

제3절 아동의 EQ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102

1. 아동의 EQ에 영향을 주는 요인 102

제4절 EQ(감성지능)의 완구 사례 108

1. EQ완구의 정의 및 분류 108

2. EQ 완구의 특성 분석 110

3. 아동의 EQ를 향상시키는 완구 사례 113

제5절 소결 117

제5장 3-6세 아동의 EQ 능력 향상을 위한 완구 디자인 개발 120

제1절 3-6세 아동의 EQ놀이 특징 및 개발원칙 120

1. 3-6세 아동의 EQ 향상 놀이의 특징 120

2. 3-6세 아동의 EQ 향상 놀이 완구 개발 원칙 121

제2절 3-6세 아동의 완구 디자인 요소(CMF) 125

1. 완구의 색채 요소 125

2. 완구의 재질 요소 127

3. 완구의 기능 요소 129

제3절 Design concept 130

1. 아동의 EQ 능력 향상을 위한 완구 디자인 방향 130

2. 완구 디자인 컨셉 133

제4절 Design process 136

1. 완구 디자인 Sketch 136

2. 도면 139

3. 렌더링 145

4. Modeling 149

5. 잠재 사용자 인터뷰 154

제6장 결론 159

제1절 총론 159

제2절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 165

참고문헌 166

ABSTRACT 172

〈표 1-1〉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23

〈표 2-1〉 재료에 따른 완구의 분류 31

〈표 2-2〉 완구 종류별 기능 및 역할 38

〈표 3-1〉 아동의 심리 및 행동 특성 분석 51

〈표 3-2〉 3-6세 아동의 연령대별 신체 발달 특징 52

〈표 3-3〉 3-6세 아동의 연령대별 감각 기관 발달 특징 54

〈표 3-4〉 3-6세 아동의 연령대별 언어능력 발달 특징 57

〈표 3-5〉 3-6세 아동의 연령대별 정서 발달 특징 63

〈표 3-6〉 3-6세 아동의 연령대별 사회성 발달 특징 66

〈표 3-7〉 3-6세 아동의 연령대별 욕구와 동기 특징 68

〈표 3-8〉 아동놀이와 심리행위 분석 소결 80

〈표 4-1〉 EQ에 대한 학자들의 개념 정리 85

〈표 4-2〉 낮은 EQ와 높은 EQ의 특징 비교 91

〈표 4-3〉 다니엘 골드먼이 제시한 EQ의 5가지 요소 95

〈표 4-4〉 부모의 교육 수준에 따른 자녀의 정서 지능 차이 103

〈표 4-5〉 4가지 양육 방식의 특징 107

〈표 5-1〉 EQ 향상 놀이의 특징 120

〈표 5-2〉 주요 재료 비교 분석 129

〈표 5-3〉 3-6세 주요 신체 부위 치수 132

〈표 5-4〉 3-6세 아동의 손바닥 부분 치수 132

〈표 5-5〉 인터뷰 대상자 정보 154

〈표 5-6〉 인터뷰 응답 내용 154

〈그림 1-1〉 연구 흐름도 19

〈그림 2-1〉 고대 이집트에서 출토된 도구 26

〈그림 2-2〉 시안 반파마을에서 출토된 석구 26

〈그림 2-3〉 프뢰벨 블록 28

〈그림 2-4〉 바우하우스의 블록과 체스 29

〈그림 2-5〉 바비인형 32

〈그림 2-6〉 리모트 컨트롤 비행기 32

〈그림 2-7〉 소꿉놀이 세트 32

〈그림 2-8〉 구기류 32

〈그림 2-9〉 목제 블록 33

〈그림 2-10〉 목제 블록게임 33

〈그림 2-11〉 천 소재 말 인형 33

〈그림 2-12〉 털 소재 테디베어 33

〈그림 2-13〉 금속 소재 로켓 모형 34

〈그림 2-14〉 도자기 소재 알파카 34

〈그림 2-15〉 글로벌 완구 및 놀이 시장 규모 44

〈그림 2-16〉 교육용 완구 시장 비중 46

〈그림 3-1〉 감각 정보 처리 과정 54

〈그림 3-2〉 각 연령대별로 시냅스와 신경 섬유의 발달 수준 56

〈그림 3-3〉 3-6세 아동의 사회성 놀이 선호도 65

〈그림 4-1〉 정서 작용 기제 88

〈그림 4-2〉 정서 반응 기제 89

〈그림 4-3〉 아동의 EQ 발달에 영향을 주는 요인 102

〈그림 4-4〉 EQ 완구의 특성 분석 110

〈그림 4-5〉 빌더후스(Bilderhoos)의 목조 장난감 114

〈그림 4-6〉 아동용 미니 축구 테이블 115

〈그림 4-7〉 이부(eeBoo) 카드 예시 116

〈그림 5-1〉 자연에서 도출한 색채 126

〈그림 5-2〉 자연에서 도출한 주요 보조색 127

〈그림 5-3〉 완구 디자인 sketch 136

〈그림 5-4〉 완구 디자인 sketch 137

〈그림 5-5〉 완구 디자인 sketch 138

〈그림 5-6〉 도면 1 139

〈그림 5-7〉 도면 2 140

〈그림 5-8〉 도면 3 141

〈그림 5-9〉 도면 4 142

〈그림 5-10〉 도면 5 143

〈그림 5-11〉 도면 6 144

〈그림 5-12〉 렌더링1 145

〈그림 5-13〉 렌더링2 146

〈그림 5-14〉 렌더링3 147

〈그림 5-15〉 렌더링4 148

〈그림 5-16〉 Modeling1 149

〈그림 5-17〉 Modeling2 150

〈그림 5-18〉 Modeling3 151

〈그림 5-19〉 Modeing4 152

〈그림 5-20〉 Modeling5 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