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12

제1장 서론 14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4

제2절 연구 방법 16

제3절 선행 연구 18

3.1. 장황 문화에 관한 연구 18

3.2. 서화 유물 보존에 관한 연구 21

제2장 이론적 배경 28

제1절 장황의 정의 28

1.1. 장황의 어원 및 의미 28

1.2. 장황의 기능 30

1.3. 장황인 30

1.4. 장황의 전통 기술적 의의 31

제2절 장황의 역사 33

2.1. 삼국 시대 33

2.2. 통일 신라·고려 시대 34

2.3. 조선 시대 36

2.4. 근·현대 37

제3절 장황의 형식 및 형태 39

3.1. 축장(軸) 40

3.2. 정장(幀) 46

3.3. 연구용어 정의 51

제3장 장황 재료 및 도구 52

제1절 장황 재료 52

1.1. 소맥전분풀 52

제2절 장황 도구 57

2.1. 작업공간 57

2.2. 건조판 57

2.3. 솔 58

2.4. 마미체 59

2.5. 풀 그릇 60

2.6. 압축 분무기 60

2.7. 들대 60

2.8. 대나무칼 61

2.9. 자 61

2.10. 송곳 62

2.11. 대패 62

2.12. 가위 및 마름칼 63

2.13. 톱 63

2.14. 망치 63

2.15. 염주 및 문진 64

제4장 장황 제작기법 65

제1절 족자 67

1.1. 본지 배접 및 재단 67

1.2. 장황직물 배접 70

1.3. 직물 장황 71

1.4. 날개·축주머니 제작 및 부착 75

1.5. 온배접 및 건조 76

1.6. 초칠·염주질 79

1.7. 날개·축주머니 마름질 80

1.8. 상·하축횡목 제작 및 부착 81

1.9. 장식 장황 85

1.10. 마무리 및 보관 87

제2절 병풍 89

2.1. 본지 배접 및 재단 89

2.2. 틀 골조 제작 90

2.3. 틀 보강 및 연결 92

2.4. 장황직물 배접 102

2.5. 외면(外面) 장황 103

2.6. 본지 부착 108

2.7. 내면(內面) 장황 109

2.8. 마무리 및 보관 111

제5장 결과 및 고찰 114

5.1. 족자 114

5.1.1. 본지 제작 114

5.1.2. 직물 장황 115

5.1.3. 온배접 116

5.1.4. 상·하축 연결 116

5.1.5. 장식 장황 117

5.2. 병풍 120

5.2.1. 틀 보강 및 연결 120

5.2.2. 외면 장황 121

5.2.3. 내면 장황 121

제6장 결론 125

참고문헌 127

ABSTRACT 131

〈표 1-1〉 자료 수집 및 자료 형태 16

〈표 2-1〉 족자 각부 명칭 43

〈표 2-2〉 병풍 각부 명칭 49

〈표 5-1〉 족자 제작기술 연구 결과 117

〈표 5-2〉 병풍 제작기술 연구 결과 122

〈그림 2-1〉 좌측부터 마왕퇴 1호분 묘주 백화 후난성 박물관(西漢, B.C 202년~A.D 9년)· 『進宴儀軌』 卷1 몽금척 도설(光武 8, 1904) 41

〈그림 2-2〉 족자 도설 ; 좌측부터 전면, 후면 43

〈그림 2-3〉 좌측부터 마왕퇴 1호분 칠병풍 후난성 박물관(西漢, B.C 202년 ~ A.D 9년)·『國朝五禮儀序例』 卷1 부의병풍 도설(成宗 5, 1474) 47

〈그림 2-4〉 병풍 도설 49

〈그림 3-1〉 밀가루 수침·단백질 제거 과정 54

〈그림 3-2〉 전분 분말화 과정 54

〈그림 3-3〉 풀 제조 과정 55

〈그림 3-4〉 작업공간·건조판 예시 57

〈그림 3-5〉 솔 ; ㉠ 풀솔, ㉡ 물풀솔, ㉢ 문지름솔, ㉣ 타격솔 59

〈그림 3-6〉 마미체·풀 그릇 60

〈그림 3-7〉 압축 분무기 60

〈그림 3-8〉 들대·대나무칼 61

〈그림 3-9〉 자 ; ㉠ 곡자, ㉡ 전반 62

〈그림 3-10〉 송곳·대패·톱·가위·마름칼·망치 ; ㉠ 각종 송곳, ㉡ 대패 ㉢ 좌측부터 톱, 가위, 마름칼, 구두칼,... 64

〈그림 3-11〉 염주·문진 64

〈그림 4-1〉 3차원 직교좌표계 66

〈그림 4-2〉 본지 연접 과정 69

〈그림 4-3〉 송곳점 마름질 과정 ; ㉠ 종단면 재단, ㉡ 종단면 일치 후 송곳점, ㉢ 횡단면 재단 69

〈그림 4-4〉 직물 배접 과정 ; ㉠ 변아직물 배접, ㉡ 회장직물 배접, ㉢ 타격솔질, ㉣ 건조판 건조 70

〈그림 4-5〉 변아 부착 선 작업 과정 ; ㉠ 늘림, ㉡ 풀칠 71

〈그림 4-6〉 좌·우변아 부착 과정 72

〈그림 4-7〉 상·하변아 부착 과정 72

〈그림 4-8〉 상·하회장 부착 과정 ; ㉠ 재단, ㉡ 부착, ㉢ 밀착 73

〈그림 4-9〉 귀접이 송곳점 도설 73

〈그림 4-10〉 귀접이 도설 74

〈그림 4-11〉 귀접이 선 작업 과정 ; ㉠ 귀접이선 및 재단선 표시, ㉡ 송곳금 표시, ㉢ 귀접이 끝선 마름질 74

〈그림 4-12〉 귀접이 과정 ; ㉠ 풀칠, ㉡ 부착, ㉢ 밀착 75

〈그림 4-13〉 섬유 살리기 76

〈그림 4-14〉 날개 부착 과정 ; ㉠ 풀칠, ㉡ 부착, ㉢ 밀착 및 마무리 76

〈그림 4-15〉 상·하축주머니 도설 77

〈그림 4-16〉 축주머니 부착 과정 77

〈그림 4-17〉 온배접 과정 ; ㉠ 온배접, ㉡ 타격솔질, ㉢ 자연건조 78

〈그림 4-18〉 축보호대 제작 및 부착 78

〈그림 4-19〉 자연건조·건조판 건조·족자 분리 79

〈그림 4-20〉 염주질 과정 80

〈그림 4-21〉 귀접이 마름질 과정 80

〈그림 4-22〉 축주머니 여분 마름질 81

〈그림 4-23〉 상축·하축 81

〈그림 4-24〉 상횡목 제작 과정 ; ㉠ 재단, ㉡ 각 완화, ㉢ 측면 노출부 마감 82

〈그림 4-25〉 상횡목 부착 도설 82

〈그림 4-26〉 반달 상횡목 부착 과정 83

〈그림 4-27〉 부등변 상횡목 부착 과정 83

〈그림 4-28〉 하횡목 제작 과정 ; ㉠ 축두 측정, ㉡ 재단, ㉢ 요철 제작 84

〈그림 4-29〉 하횡목 부착 도설 84

〈그림 4-30〉 하횡목 부착 과정 84

〈그림 4-31〉 원환 고정 과정 ; ㉠ 고정 위치 설정, ㉡ 원환 삽입, ㉢ 원환 85

〈그림 4-32〉 걸끈 매듭 과정 ; ㉠ 끈 교차, ㉡ 좌측 고리 통과, ㉢ 고리 빼기 85

〈그림 4-33〉 우측 고리 매듭 과정 86

〈그림 4-34〉 좌측 고리 매듭 과정 86

〈그림 4-35〉 맬끈 제작 과정 87

〈그림 4-36〉 족자 완료 ; ㉠ 전면 ㉡ 후면 87

〈그림 4-37〉 족자 매는 과정 88

〈그림 4-38〉 굵게말이축·보관상자 88

〈그림 4-39〉 본지 배접 과정 ; ㉠ 배접, ㉡ 연접, ㉢ 배접 완료 후 자연건조 89

〈그림 4-40〉 건조판 건조 90

〈그림 4-41〉 틀 결구방식 도설 90

〈그림 4-42〉 틀 제작 과정 ; ㉠ 각재 소분, ㉡ 각재 대패질, ㉢ 가로·세로살대 조립, ㉣ 기둥·중간살대 조립,... 91

〈그림 4-43〉 틀 보강 후 건조 과정 ; ㉠ 상단 수평건조, ㉡ 하단 수평건조 92

〈그림 4-44〉 틀 보강 과정 ; ㉠ 틀 풀 먹임, ㉡ 1차 보강, ㉢ 부착 93

〈그림 4-45〉 틀 보강 과정 ; ㉣ 2차 보강, ㉤ 3차 보강, ㉥ 4차 보강 93

〈그림 4-46〉 4차 틀 보강 후 수평·수직 맞춤 과정 ; ㉠ 사위 측면 맞춤, ㉡ 틀 임시고정, ㉢ 병풍 발 마무리, ㉣ 틀 측면 대패질,... 94

〈그림 4-47〉 5차 틀 보강 과정 ; ㉠ 띄워 바르기 종이 풀칠, ㉡ 머리·꼬리틀 외면 띄워 바르기, ㉢ 1~6폭 내면... 95

〈그림 4-48〉 톱금선 등분 도설 97

〈그림 4-49〉 돌쩌귀 구역 설정 및 이은 번호 표시 과정 ; ㉠ 표식 및 톱금선 표시, ㉡ 톱금선 내기, ㉢ 톱금선 완료, ㉣ 각 개 분리,... 97

〈그림 4-50〉 돌쩌귀 부착 시 이은 번호 ; ㉠ 틀 우측의 이은 번호, ㉡ x축 180° 회전 후 좌측의 이은 번호 98

〈그림 4-51〉 돌쩌귀 부착 과정 ; ㉠ 부착면 풀먹임, ㉡ 부착 완료 98

〈그림 4-52〉 돌쩌귀 부착 도설 99

〈그림 4-53〉 돌쩌귀 연결 과정 ; ㉠ 1번-2번 틀 연결 시 x축 180° 회전 전(좌)·후(우), ㉡ 3번-4번 틀 연결 시... 99

〈그림 4-54〉 돌쩌귀 연결 도설 100

〈그림 4-55〉 틀 연결 과정 ; ㉠ 원위치 정렬, ㉡ 간지 삽입, ㉢ 돌쩌귀 부분연결, ㉣ 병풍 사방·사위 단차... 101

〈그림 4-56〉 좌측부터 병풍 개폐 반대방향·개폐 방향 돌쩌귀 부착 도설 101

〈그림 4-57〉 장황직물 배접 과정 ; ㉠ 재단, ㉡ 올 풀기, ㉢ 올의 수직·수평 맞춤, ㉣ 올 맞춤 완료, ㉤ 배접,... 102

〈그림 4-58〉 기둥 제작 및 부착 ; ㉠ 재단, ㉡ 풀칠, ㉢ 부착, ㉣ 가습 104

〈그림 4-59〉 머리·발싸개 제작 및 부착 ; ㉠ 제작, ㉡ 부착, ㉢ 머리(상)·발싸개 (하) 부착 완료 105

〈그림 4-60〉 머리·꼬리틀 5차 보강 띄워 바르기 105

〈그림 4-61〉 좌측부터 병풍 개폐 방향·개폐 반대방향 거죽천 부착 도설 106

〈그림 4-62〉 거죽천 부착 과정 ; ㉠ 가접, ㉡ 풀칠 및 가습, ㉢ 부착, ㉣ 배면 모서리 재단, ㉤ 전면 모서리 마무리,... 107

〈그림 4-63〉 겉기둥 제작 및 부착 과정 ; ㉠ 배면 톱금선 마름질, ㉡ 부착 완료 전면(상) 및 배면(하) 107

〈그림 4-64〉 본지 부착 과정 ; ㉠ 위치 설정, ㉡ 풀칠, ㉢ 중앙부 가습, ㉣ 부착 및 위치 확인, ㉤ 밀착,... 108

〈그림 4-65〉 상·하회장 제작 및 부착 과정; ㉠ 직물 재단, ㉡ 감아말이 제작, ㉢ 계선 완료, ㉣ 상회장 부착, ㉤ 하회장 부착,... 109

〈그림 4-66〉 둘레띠 제작 과정 ; ㉠ 직물 재단, ㉡ 백지 및 색지 부착, ㉢ 제작 완료 110

〈그림 4-67〉 둘레띠 장황 과정 ; ㉠ 세로 방향 부착, ㉡ 가로 방향 부착, ㉢ 45° 재단, ㉣ 밀착, ㉤ 연귀 이음... 111

〈그림 4-68〉 병풍 완료 ; ㉠ 전면, ㉡ 후면, ㉢ 기둥살 전면(상) 및 배면(하) 112

〈그림 4-69〉 병풍 마무리 과정 ; ㉠ 병풍발 옻칠, ㉡ 표제 부착 112

〈그림 4-70〉 병풍 마무리·병풍보 보관 113

〈그림 5-1〉 우측형 재단 117

〈그림 5-2〉 좌측형 재단 117

〈그림 5-3〉 얽혀 이음법 118

〈그림 5-4〉 겹쳐 이음법 118

〈그림 5-5〉 직물 늘림 118

〈그림 5-6〉 시접 풀칠 118

〈그림 5-7〉 안쪽 풀칠 118

〈그림 5-8〉 하축주머니 부착 119

〈그림 5-9〉 당겨 부착법 119

〈그림 5-10〉 말아 부착법 119

〈그림 5-11〉 비례법 122

〈그림 5-12〉 반비례법 122

〈그림 5-13〉 맞물려 이음법 123

〈그림 5-14〉 겹쳐 이음법 123

〈그림 5-15〉 맞물려 이음법 123

〈그림 5-16〉 겹쳐 이음법 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