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및 주제어 12
Abstract 13
I. 서론 14
A. 문제제기와 연구 목적 14
B. 연구 내용 17
1. 선행연구 17
2. 연구 방법과 범위 26
C. 용어 정의 28
II. '우리' 개념에 대한 사회문화적 성찰 32
A. 한국의 '우리' 개념에 대한 사회문화적 성찰 32
1. 단일민족국가 개념으로써의 '우리' 33
2. 운명공동체적 가족 개념으로써의 '우리' 35
3. 개인 희생적 관계 개념으로써의 '우리' 38
4. 배타적 관계 개념으로써의 '우리' 41
B. 한국 기독교의 '우리' 개념에 대한 사회문화적 성찰 44
1. 인격적 사랑공동체 개념으로써의 '우리' 45
2. 가부장적 범 가족 공동체 개념으로써의 '우리' 47
3. 성장을 위한 도구적 관계 개념으로써의 '우리' 50
4. 경쟁을 위한 배타적 관계 개념으로써의 '우리' 52
C. 한국 기독교인의 '우리' 개념으로 인한 신앙양태 53
1. 삶의 고통을 잊으려는 내세중심의 신앙양태 54
2. 죄의 심판을 면하려는 자기희생의 신앙양태 57
3. 현세적인 복을 얻으려는 강박적 신앙양태 60
4. 신앙고백과 행동이 불일치하는 이원론적 신앙양태 63
D. 한국 기독교인의 '우리' 개념에 대한 종합적 논의 65
III. '우리' 개념에 대한 가족치료 관점에서의 비판적 성찰 69
A. 머레이 보웬(Murray Bowen)의 관점에서 본 '우리' 개념 70
1. 연합하게 하는 관계적 특성의 '우리' 71
2. 정서적으로 동조하게 하는 관계적 특성의 '우리' 74
3. 삼각관계를 만드는 관계적 특성의 '우리' 76
4. 보웬 관점에서의 비판적 성찰 78
B. 이반 보스조르메니-나지(Ivan Boszormenyi-Nagy)의 관점에서 본 '우리' 개념: 보웬의 가족치료를 넘어서 80
1. 상호주관적으로 융합하게 하는 관계적 특성의 '우리' 82
2. 자녀의 부모화를 유도하는 관계적 특성의 '우리' 85
3. 충성 교착되게 하는 관계적 특성의 '우리' 88
4. 보스조르메니-나지 관점에서의 비판적 성찰 90
C. 레이첼 T. 하레-무스틴(Rachel T. Hare-Mustin)의 관점에서 본 '우리' 개념: 가부장적 한계를 넘어서 92
1. 가부장적 고정관념을 지닌 관계적 특성의 '우리' 95
2. 불평등한 힘을 바탕으로 한 관계적 특성의 '우리' 97
3. 돌봄을 여성에게 집중시키는 관계적 특성의 '우리' 100
4. 하레-무스틴 관점에서의 비판적 성찰 103
D. '우리' 개념의 가족치료적 성찰에 대한 종합적 논의 104
IV. '우리' 개념에 대한 여성주의 목회신학적 성찰 108
A. 1900년대 초반 한국 기독교인 여성 '이경희'의 '우리' 개념 110
1. '우리'의 가부장적 특성으로 인한 자기 부정 112
2. '우리'의 정서 융합적 특성으로 인한 불안 115
3. '우리'의 부모화적 특성으로 인한 자기희생 117
4. '우리'의 돌봄 부재의 특성으로 인한 자기 돌봄의 한계 120
B. 1900년대 후반 한국인 여성 '김지영'의 '우리' 개념 122
1. '우리'의 젠더 불평등적 특성으로 인한 침묵 124
2. '우리'의 연합적 특성으로 인한 억압된 감정표현 127
3. '우리'의 불균형한 관계 윤리로 인한 정서적 결핍 130
4. '우리'의 여성 집중적 돌봄 특성으로 인한 무력감 132
C. 이경희와 김지영 사례에 나타난 '우리' 개념에 대한 여성주의 목회신학적 성찰 134
1. '우리'의 가부장적 특성으로 인한 존재 가치 상실 135
2. '우리'의 정서 융합적 특성으로 인한 자율성 상실 138
3. '우리'의 일방적 충의 특성으로 인한 정서적 소진 141
4. '우리'의 편향적 돌봄 특성으로 인한 자기 돌봄의 실패 143
D. '우리' 개념의 여성주의 목회신학적 성찰에 대한 종합적 논의: 왜곡된 '우리'로서의 '융합적 우리'의 계발을 위하여 145
V. '융합적 우리'를 넘어 '분화적 우리'를 향한 목회상담과 목회적 돌봄 152
A. '융합적 우리'를 넘어 '분화적 우리'를 위한 목회상담 원리: '분화적 우리'의 의의와 목회상담의 원리 153
1. '융합적 우리'의 자기희생적 관계: '분화적 우리'를 통한 평등한 관계 154
2. '융합적 우리'의 내세중심적 관계: '분화적 우리'를 통한 정서분화적 관계 157
3. '융합적 우리'의 강박적 관계: '분화적 우리'를 통한 상호적 충의의 관계 159
4. '융합적 우리'의 배타적 관계: '분화적 우리'를 통한 상호 돌봄의 관계 162
B. '분화적 우리'의 원리를 적용한 목회상담 사례 164
1. 정서적 분화를 위해 관계 성찰을 시도하는 목회상담 165
2. 자기 존중감 회복을 위해 힘을 부여하는 목회상담사 169
3. 상호 사랑을 위해 자기수용을 시도하는 내담자 174
4. 상호 존중을 위해 관계망을 수정하는 내담자 177
C. '융합적 우리'의 공동체를 넘어 '분화적 우리'의 공동체를 위한 목회적 돌봄 179
1. 진정한 인간성 회복을 위한 하나님 나라로써의 교회 180
2. 자율성 회복을 위한 내재적 하나님을 향한 기도 183
3. 우정의 상호성을 위한 자율적 헌신을 전하는 성서이야기 185
4. 사랑의 관계망을 통해 하나님 사랑을 실천하는 선교 188
D. 종합: '융합적 우리'를 넘어서 '분화적 우리'를 향하여 190
VI. 결론 및 제언 195
참고문헌 201
〈표 1〉 한국 기독교인의 '우리' 개념에 대한 사회문화적 성찰 66
〈표 2〉 '우리' 개념에 대한 가족치료 관점에서의 성찰 105
〈표 3〉 1918년 소설 『경희』 주인공 이경희의 가계도 116
〈표 4〉 2016년 소설 『82년생 김지영』 주인공 김지영의 가계도 128
〈표 5〉 이경희와 김지영의 '우리' 개념에 대한 여성주의 목회신학적 성찰 149
〈표 6〉 A 내담자 가계도: 보웬의 가족도를 중심으로 165
〈표 7〉 A 내담자 가계도: '융합적 우리'의 분석을 위한 가계도 166
〈표 8〉 A 내담자의 SCT 작성내용-1 170
〈표 9〉 A 내담자의 SCT 작성내용-2 174
〈표 10〉 A 내담자의 SCT 작성내용-3 177
〈표 11〉 '융합적 우리'를 넘어 '분화적 우리'를 향한 목회상담과 목회적 돌봄 191
〈표 12〉 '융합적 우리'와 '분화적 우리' 1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