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표제지

목차

제1장 서론 10

1.1. 문제제기와 목적 10

1.2. 기초 자료, 선행연구 및 그 한계점 14

1.3. 연구방법과 범위 17

제2장 김진호의 시대적 상황 21

2.1. 기독교 민족주의 21

2.2. 기독교 교육 37

제3장 애산 김진호의 생애와 목회 46

3.1. 김진호의 생애와 민족운동 46

3.1.1. 유년기, 제1청년기: 상주에서 서울로(1873-1905년) 46

3.1.2. 제2청년기: 기독교 개종과 민족운동 참여(1905-1919년) 54

3.2. 김진호의 목회 활동의 특징 71

3.2.1. 장년기: 교회 목회와 학원 목회(1920-1935년) 71

3.2.2. 제1노년기: 일제말기 서울 목회,(1937-1939년) 79

3.2.3. 제1노년기: 일제 말기 청진 목회(1940-1947년) 90

3.2.4. 제2노년기: 8·15 해방과 은퇴 95

제4장 김진호의 설교문에 나타난 영성 연구 99

4.1. 기독교 영성과 한국 기독교 영성 이해 99

4.1.1. 영성과 기독교 영성 이해 99

4.1.2. 한국 기독교 영성과 유교 영성 이해 110

4.2. 김진호의 기독교 영성 138

4.2.1. 김진호와 존 웨슬리 138

4.2.2. 김진호의 기독교(土着化입장에서) 149

4.3. 김진호의 설교문에 나타난 기독교 영성의 특징 159

4.3.1. 삶의 변화로의 기도의 영성 159

4.3.2. 유교적 덕(德)의 고양(高揚)의 영성(靈性) 167

4.3.3. 사회적 성화의 영성 181

제5장 결론 196

5.1. 연구의 요약 및 평가 196

5.2. 연구의 과제 및 전망 205

참고 문헌 208

Abstract 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