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초록 9
I. 서론 11
A. 문제 제기와 연구 목적 11
B. 연구범위와 방법 12
C. 학문적 기대와 예상되는 한계 15
II. 기독교 예배의 이해 17
A. 기독교 예배의 의미 17
1. 현상학적 접근을 통한 예배 정의 18
2. 예배신학자들의 예배 정의 21
3. 용어를 통한 예배 정의 25
B. 공동체 중심의 예배 정의 28
1. 아남네시스(anamnesis) 공동체로서의 예배 28
2. 프로렙시스(prolepsis) 공동체로서의 예배 29
3. 에피클레시스(epiclesis) 공동체로서의 예배 30
4. 렉스 비벤디(Lex Vivendi) 공동체로서의 예배 31
III. 팬데믹과 기독교 예배 33
A. 팬데믹 상황에서의 기독교 예배 33
1. 코로나19로 인한 예배의 변화 33
2. 코로나19로 인한 예배 인식의 변화 35
3. 코로나19로 인한 온라인 예배의 부정적 측면 39
B. 팬데믹 상황에서의 예배를 위한 제언 42
1. 온라인 예배의 가능성 43
2. 온라인 예배를 위한 제언 52
IV. 온라인 예배의 실제적 예시 - 감리교신학대학교 [나눔의 예전학회] 2020 홈커밍워십 "대면(對面)-향기로 잇다" 60
A. 예배의 기획 의도 60
B. 예배 예문 63
C. 공간 미술과 예배 사진 74
1. 공간 기획 의도 74
2. 예배 사진 75
D. 결과 및 평가 76
V. 결론 및 제언 79
A. 결론 79
B. 제언 80
VI. 참고문헌 84
A. 한글 단행본 84
B. 외국어 번역본 84
C. 외국어 단행본 85
D. 논문, 학술지 및 보고서 85
E. 전자문서 86
〈표 1〉 주일 성수에 대한 의견(전체 개신교인) 35
〈표 2〉 주일 성수에 대한 의견(중직자, 7월 조사) 36
〈표 3〉 지난 주일 예배 형태(교회 출석자) 37
〈표 4〉 지난 주일 예배별 만족도 38
〈표 5〉 코로나19 이후 신앙 수준 변화(지난 주일 드린 예배 형태별, 개신교인 전체) 40
〈표 6〉 온라인 예배 실태(지난 주일 온라인 예배자) 41
그림 1. 예배 예문 75
그림 2. 온라인 예배자 75
그림 3. 성찬상 75
그림 4. 성찬상 위에 놓인 초 75
그림 5. 평화의 인사를 나누는 집례자 75
그림 6. 분급하는 집례자 75
그림 7. 현장에서 분급받는 연구자 76
그림 8. 기도 인도하는 인도자 76
그림 9. 예배 후의 성찬상 76
그림 10. 현장 찬양팀 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