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제1장 서론 18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8

제2절 연구범위 및 방법 20

제2장 이론적 배경 24

제1절 사기(士氣, morale)의 개념과 본질 24

1. 사기의 개념 24

2. 사기의 개념요소 26

3. 사기의 중요성 30

4. 사기 관련 요인과 이론 33

5. 사기 영향 요인 42

제2절 언론의 역할과 이론 43

1. 언론의 개념 및 특징 43

2. 언론의 역할 44

3. 언론의 사회적 영향과 이론 45

제3절 언론과 사기와의 관계 47

제4절 언론과 경찰 사기와의 관계 48

1. 경찰공무원의 업무 특성 48

2. 경찰 사기의 특성 53

3. 경찰 사기에 관한 연구 58

4. 언론과 사기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60

5. 언론과 경찰의 관계 61

6. 언론과 경찰 사기에 관한 연구 65

제3장 연구 설계 및 방법 67

제1절 연구 설계 67

1. 분석모형 67

2. 가설설정 69

제2절 변수 및 조작적 정의 70

1. 언론보도에 대한 내용별 인식 70

2. 사기 영향 요인 71

3. 경찰공무원의 사기 72

제3절 조사방법 76

1. 자극물의 설정 76

2. 설문조사 80

제4장 연구결과 82

제1절 일반현황분석 82

1. 조사대상자의 특성 82

2. 언론에 대한 인식 86

제2절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변수와의 차이비교 89

1. 성별에 따른 차이 90

2. 연령에 따른 차이 91

3. 계급에 따른 차이 92

4. 근속연수에 따른 차이 93

제3절 가설 검증 95

1. 언론보도 내용별 응답자 수 95

2. 경찰공무원의 사기요인의 수준 96

3. 가설 1의 검증 101

4. 가설 2의 검증 108

5. 가설 3의 검증 111

제4절 분석결과의 요약 128

1. 언론에 대한 인식 128

2.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사기 수준의 차이 129

3. 언론보도 내용별 사기 수준의 차이 131

4. 언론보도 내용과 인구통계학적 특성에서 사기 수준의 차이 131

제5장 결론 133

제1절 요약 133

제2절 정책 제언 136

참고문헌 141

ABSTRACT 147

부록 152

부록 1. 설문지 152

부록 2. 언론보도 내용 153

〈표 1〉 Maslow의 욕구5단계 39

〈표 2〉 경찰조직의 변화추이 49

〈표 3〉 경찰인력 변화추이 50

〈표 4〉 경찰계급 체계 및 정원 현황(2019년 기준) 51

〈표 5〉 측정문항 75

〈표 6〉 경찰관련 언론보도 기사 내용별 비율 78

〈표 7〉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83

〈표 8〉 조사대상자의 직업관련 특성 85

〈표 9〉 언론에 대한 인식 설문문항별 평균 및 표준편차 87

〈표 10〉 경찰공무원의 언론 인식에 대한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 결과 88

〈표 11〉 성별에 따른 언론 인식에 대한 차이비교 90

〈표 12〉 언론 인식에 대한 연령별 차이 비교 91

〈표 13〉 언론인식에 대한 계급별 차이비교 93

〈표 14〉 언론인식에 대한 근속연수별 차이비교 94

〈표 15〉 언론보도 내용별 응답자 수 95

〈표 16〉 주요 측정 변수에 대한 평균 및 표준편차 97

〈표 17〉 사기요인의 신뢰도 및 타당도 분석결과 99

〈표 18〉 성별에 따른 사기요인에 대한 차이비교 102

〈표 19〉 연령에 따른 사기요인에 대한 차이비교 103

〈표 20〉 계급에 따른 사기요인에 대한 차이비교 105

〈표 21〉 근속연수에 따른 사기요인에 대한 차이비교 107

〈표 22〉 언론보도 내용에 따른 사기요인에 대한 변량분석 109

〈표 23〉 언론보도 내용에 따른 사기요인에 대한 사후검정 110

〈표 24〉 언론보도 내용에 따른 성별의 상호작용 효과 113

〈표 25〉 언론보도 내용과 성별에 따른 평균 비교 114

〈표 26〉 언론보도 내용에 따른 연령의 상호작용 효과 116

〈표 27〉 언론보도 내용과 연령에 따른 평균 비교 118

〈표 28〉 언론보도 내용에 따른 계급의 상호작용 효과 119

〈표 29〉 언론보도 내용과 계급에 따른 평균 비교 121

〈표 30〉 언론보도 내용에 따른 근속연수의 상호작용 효과 123

〈표 31〉 언론보도 내용과 근속연수에 따른 평균 비교 126

〈부표 1〉 설문지 152

〈부표 2-1〉 정책 관련 보도내용 153

〈부표 2-2〉 사건사고관련 보도내용 154

〈부표 2-3〉 국민안전강화 관련 보도내용 155

〈부표 2-4〉 부정·부패 관련 보도내용 156

〈부표 2-5〉 선행·미담 관련 보도내용 157

[그림 1] 연구의 흐름도 23

[그림 2] 사기와 생산성과의 관계 32

[그림 3] 경찰관련 보도의 게이트 키핑 과정 64

[그림 4] 연구 모형 1 68

[그림 5] 연구모형 2 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