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8

제1장 서론 9

1. 문제제기와 연구목적 9

2. 연구의 범위와 방법 15

3. 선행 연구 19

제2장 성화에 대한 해석학적 모델 27

1. 성화론적 해석을 위한 4가지 유형 27

1) 성화에 대한 인간론적 유형 27

2) 성화에 대한 죄론적 유형 28

3) 성화에 대한 연합적 유형 29

4) 성화에 대한 성령론적 유형 30

2. 성화에 대한 "현실태-가능태"의 해석 31

3. 성화에 대한 시간론적 해석 34

4. 성화에 대한 총체적 해석 38

제3장 칼빈, 웨슬리, 에드워즈의 성화론적 이해 41

1. 칭의와 성화의 변증론적 이해 42

1) 칭의의 개념적 의미 42

2) 성화의 개념적 의미 43

3) 칭의와 성화의 관계적 이해 46

4) 뫼비우스(Möbius) 관점에서 본 "칭의-성화"의 이해 48

5) 칭의와 성화의 페리코레시스적 이해 50

2. 칼빈의 성화론 52

1) 인간론적 유형에서의 성화 54

2) 죄론적 유형에서의 성화 59

3) 연합적 유형에서의 성화 61

4) 성령론적 유형에서의 성화 64

5) 요약 65

3. 웨슬리의 성화론 68

1) 인간론적 유형에서의 성화 68

2) 죄론적 유형에서의 성화 72

3) 연합적 유형에서의 성화 75

4) 성령론적 유형에서의 성화 77

5) 요약 83

4. 에드워즈의 성화론 86

1) 인간론적 유형에서의 성화 87

2) 죄론적 유형에서의 성화 93

3) 연합적 유형에서의 성화 97

4) 성령론적 유형에서의 성화 101

5) 요약 109

5. 칼빈, 웨슬리, 에드워즈의 성화론에 대한 총체적 평가 112

6. 요약 114

1) 인간론적 유형에서의 성화 115

2) 죄론적 유형에서의 성화 115

3) 연합적 유형에서의 성화 116

4) 성령론적 유형에서의 성화 116

제4장 성화에 대한 현대적 의미 118

1. 새관점주의와 성화 118

1) 새관점주의자들이 정초한 칭의의 이해 119

2) 샌더스(E. P. Sanders)의 칭의개념 121

3) 제임스 던(James Dunn)의 칭의개념 125

4) 톰 라이트(N. T. Wright)의 칭의개념 127

5) 새관점주의자들의 칭의에 대한 쿤(Kuhn)의 이해 129

6) 새관점주의의 칭의에 대한 성화론적 이해 133

7) 요약 137

2. 주재권 구원과 성화 139

1) 주재권 구원의 개념 140

2) 성화관점에서 본 주재권 구원의 의미 146

3) 주재권 구원의 비평적 이해 154

4) 요약 160

3. 결정적 성화의 의미 161

1) 결정적 성화의 개념적 이해 163

2) 결정적 성화와 칭의의 상관성 166

3) 결정적 성화론에 대한 오순절 관점 171

4) 존 머레이(John Murray)의 성화론 방정식 173

5) 요약 178

4. 현대적 성화론의 해석학적 이해 179

5. 요약 180

제5장 영산의 성화에 대한 삼위일체적 관점 183

1. 성부 하나님의 언약신학과 성화 183

1) 언약과 성화의 상관성 184

2) 행위언약과 은혜언약의 성화적 이해 186

3) 새언약과 성화의 상관성 189

2. 예수 그리스도의 완전대속과 성화 194

1) 그리스도 피의 능력과 성화 195

2) 믿음의 능력과 성화 197

3. 성령 하나님의 사역과 성화 198

1) 성화의 주체자로서의 성령 199

2) 성화의 협력자로서의 신자 202

4. 요약 204

제6장 영산의 십자가 신학과 성화 206

1. 십자가 신학의 성화론적 이해 206

1) 십자가의 복음과 성화 208

2) 삼중대속과 성화 211

3) 삼중구원과 성화 213

2. "좋으신 하나님"과 성화 217

1) 소극적 측면에서 "좋으신 하나님"의 성화론적 이해 221

2) 적극적 측면에서 "좋으신 하나님"의 성화론적 이해 225

3) 좋으신 하나님과 성화의 관계성 230

3. 전인구원과 성화 232

1) 영혼육의 타락과 성화 232

2) 성화에 대한 인간의 실존적 이해 235

3) 전인구원적 성화와 부버의 "나-너" 구조 237

4. 요약 239

제7장 영산의 "4차원 영성"에 대한 성화론적 이해 241

1. 4차원 영성의 해석학적 이해 241

2. 3차원과 4차원의 변증론적 이해 243

3. "생각, 꿈, 믿음, 말"의 성화론적 해석 252

1) 생각의 성화론적 이해 252

2) 꿈의 성화론적 이해 264

3) 믿음의 성화론적 이해 273

4) "말"의 성화론적 이해 279

4. "5중복음, 3중구원, 4차원의 영성"의 성화론적 평가 292

5. 요약 295

제8장 영산의 성령론적 성화 298

1. 인간의 자유에 대한 성화론적 접근 298

1) 선과 악의 성화론적 이해 300

2) 하나님의 주권과 자유의지에 대한 성화론적 이해 306

2. 성령과 율법의 성화론적 접근 310

1) 성령의 성화론적 이해 311

2) 율법의 성화론적 이해 317

3. 성령충만의 성화론적 접근 329

1) 성령충만의 성화 메카니즘(mechanism) 331

2) 성령님과의 인격적 교제를 통한 성화 333

3) 성화의 가능태와 현실태 336

4) 성화의 구심력과 원심력 338

4. 성령과 공동체의 성화론적 접근 342

1) 공동체의 현존재로서의 성화 343

2) 공동체의 성령론적 성화 351

3) 영산의 공동체적 성화메카니즘 355

4) 은사의 성화론적 이해 365

5. 요약 367

제9장 결론 369

1. 영산의 성화론의 해석학적 평가 369

2. 영산, 칼빈, 웨슬리, 에드워즈의 성화론의 총체적 평가 372

3. 영산, 칼빈, 웨슬리, 에드워즈의 성화론의 매트릭스적 해석 376

4. 영산의 성화론과 현대적 성화론의 비평적 평가 379

5. 제언 381

참고문헌 383

ABSTRACT 3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