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제1장 서론 19

제1절 연구의 목적 19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23

1. 연구의 범위 23

2. 연구의 방법 25

제2장 이론적 배경 27

제1절 학교폭력과 군대폭력의 개념과 연관성 27

1. 학교폭력의 개념 27

2. 군대폭력의 개념 45

3. 학교폭력과 군대폭력 간 연관성 61

제2절 폭력의 개념과 군 장병의 폭력에 대한 태도 66

1. 폭력의 개념 66

2. 폭력에 대한 태도의 개념 69

3. 군 장병의 폭력에 대한 태도 72

제3절 군 생활 적응의 개념과 영향요인 77

1. 군 생활 적응의 개념 80

2. 군 생활 적응에 영향을 주는 요인 82

3. 병영문화혁신 추진활동 86

제4절 선행연구 검토 103

1. 학교폭력 경험 및 폭력에 대한 태도와 군대폭력과의 관계 104

2. 학교폭력 경험 및 폭력에 대한 태도와 군 생활 적응과의 관계 108

3. 병영문화혁신 추진활동과 군 생활 적응과의 관계 110

4. 소결 및 시사점 112

제3장 연구의 설계 114

제1절 연구의 대상 114

제2절 연구모형 및 가설 설정 115

1. 연구모형 115

2. 연구가설 116

제3절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도구 117

1. 독립변수 118

2. 종속변수 127

제4절 설문지 총괄 구성 128

제5절 측정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130

1. 측정도구의 타당도 130

2. 측정도구의 신뢰도 138

제6절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140

1. 자료수집 140

2. 분석방법 140

제4장 실증분석 결과 142

제1절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분석 142

제2절 주요변수의 기술적 통계분석 145

제3절 가설 검증 159

1.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 상관관계 159

2. 세부 가설검증 결과 163

제4절 병영문화혁신 성과 검증 177

제5절 실증분석 결과 논의 181

1. 주요변수의 기술적 통계분석 결과 논의 181

2. 가설 검증결과 논의 184

3. 병영문화혁신 성과 검증결과 논의 188

제5장 결론 191

제1절 연구결과의 요약 191

제2절 정책 제언 및 연구의 한계점 196

1. 정책적 제언 196

2. 연구의 한계 및 전망 204

참고문헌 206

Abstract 214

부록 220

〈표 2-1〉 일반폭력과 학교폭력의 차이점 28

〈표 2-2〉 학교폭력 유형(요약) 32

〈표 2-3〉 학교폭력 실태의 변화양상 37

〈표 2-4〉 전체 피해응답률과 학교급별 피해응답률 39

〈표 2-5〉 학생 천 명당 피해유형별 응답건수 39

〈표 2-6〉 피해유형별 응답률 40

〈표 2-7〉 학교급별 피해유형별 응답률 41

〈표 2-8〉 전체 가해응답률 및 학교급별 가해응답률 41

〈표 2-9〉 학교폭력 가해이유 42

〈표 2-10〉 전체 목격응답률 및 학교급별 목격응답률 43

〈표 2-11〉 연구대상자의 학교폭력 실태 비교 45

〈표 2-12〉 군대폭력 유형 48

〈표 2-13〉 군대폭력의 발생원인 52

〈표 2-14〉 군대폭력으로 인하여 처벌받은 현황 54

〈표 2-15〉 구타·가혹행위로 처벌받은 현황 55

〈표 2-16〉 구타·가혹행위 피해경험 시 조치현황 56

〈표 2-17〉 언어폭력(모욕죄)으로 처벌받은 현황 57

〈표 2-18〉 계급별 집단따돌림 피해경험 59

〈표 2-19〉 성폭력으로 처벌받은 현황 59

〈표 2-20〉 군 사망사고 현황 79

〈표 2-21〉 군 생활 적응의 개념 81

〈표 2-22〉 군 생활 적응의 영향요인 84

〈표 2-23〉 병영문화혁신 관련 주요 언론보도(요약) 87

〈표 3-1〉 측정하고자 하는 변수의 현황 117

〈표 3-2〉 학교폭력 경험의 하위변수 119

〈표 3-3〉 폭력에 대한 태도의 하위변수 120

〈표 3-4〉 '건강하고 안전한 병영' 세부과제 예비조사 결과 121

〈표 3-5〉 '사회와 소통하는 열린 병영' 세부과제 예비조사 결과 122

〈표 3-6〉 '인권이 보장되는 병영' 세부과제 예비조사 결과 123

〈표 3-7〉 '자율과 책임이 조화된 병영' 세부과제 예비조사 결과 124

〈표 3-8〉 '기강이 확립된 강한 병영' 세부과제 예비조사 결과 124

〈표 3-9〉 병영문화혁신의 하위변수 125

〈표 3-10〉 기타 변수(변화관리 및 변화평가) 126

〈표 3-11〉 군 생활 적응의 하위변수 127

〈표 3-12〉 군대폭력의 하위변수 128

〈표 3-13〉 설문지 총괄 구성 현황 129

〈표 3-14〉 학교폭력 경험 요인분석 131

〈표 3-15〉 폭력에 대한 태도 요인분석 132

〈표 3-16〉 병영문화혁신 요인분석 133

〈표 3-17〉 군 생활 적응 요인분석 135

〈표 3-18〉 군대폭력 요인분석 136

〈표 3-19〉 확증적 요인분석에 의해 분석된 변수그룹 138

〈표 3-20〉 변수별 신뢰도(Cronbach's Alpha) 결과 139

〈표 3-21〉 설문지 회수 현황 140

〈표 4-1〉 인구사회학적 특성 빈도분석 142

〈표 4-2〉 주요변수의 기술적 통계분석 145

〈표 4-3〉 학교폭력 경험에 대한 응답자 분포(학교폭력에 대한 태도) 146

〈표 4-4〉 학교폭력 경험에 대한 응답자 분포(학교폭력 피해·가해 경험) 147

〈표 4-5〉 폭력에 대한 태도의 응답자 분포 149

〈표 4-6〉 병영문화혁신에 대한 응답자 분포 151

〈표 4-7〉 군 생활 적응에 대한 응답자 분포 154

〈표 4-8〉 군대폭력에 대한 응답자 분포 156

〈표 4-9〉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 상관관계 160

〈표 4-10〉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하위변수들 간 상관관계 162

〈표 4-11〉 폭력에 대한 태도가 군대폭력에 미치는 영향과의 관계 163

〈표 4-12〉 학교폭력 경험이 폭력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과의 관계 164

〈표 4-13〉 학교폭력 경험에 따른 폭력에 대한 태도의 차이 165

〈표 4-14〉 학교폭력 경험이 폭력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166

〈표 4-15〉 매개효과 분석 변수모형 167

〈표 4-16〉 폭력에 대한 태도가 군대폭력에 미치는 영향과의 관계에서... 168

〈표 4-17〉 군 생활 적응이 군대폭력에 미치는 영향과의 관계 170

〈표 4-18〉 병영문화혁신이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과의 관계 170

〈표 4-19〉 군대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폭력에 대한 태도의 변화 172

〈표 4-20〉 주요변수에 대한 본 연구와 기존 연구의 차이 비교 174

〈표 4-21〉 주요문항에 대한 본 연구와 기존 연구의 차이 비교 174

〈표 4-22〉 가설 검증결과에 대한 요약 176

〈표 4-23〉 5대 중점분야별 추진과제 비교 분석결과 178

〈표 4-24〉 변화관리에 대한 실증분석 결과 179

〈표 4-25〉 병영문화혁신과 군 생활 적응이 군대폭력에 미치는 다중 회귀분석 180

〈그림 1-1〉 연구과정의 흐름도 25

〈그림 3-1〉 연구가설 모형 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