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국문요약 9
I. 서론 1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1
1.2. 연구의 흐름 13
II.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고찰 14
2.1. 이론적 배경 14
2.1.1. 스마트폰의 앱 활용의 기존 연구 14
2.1.2. 생활행위의 기존 연구 20
2.1.3. 주거(dwelling)와 생활과의 관계 26
2.1.4. 주택 유형과 가구원 수 30
III. 연구 방법 32
3.1. 연구의 범위 및 대상 32
3.2. 연구의 모형 및 연구 문제 34
3.3. 데이터 수집 및 추출 35
3.3.1. 스마트폰의 앱 활용 35
3.3.2. 생활행위 만족도 36
3.3.3. 설문지의 구성 37
3.4. 분석 방법 41
IV. 분석 결과 및 해석 48
4.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48
4.2. 앱 활용과 생활행위 만족도의 일반적 경향 53
4.3. 성별에 따른 앱 활용의 차이 검증 70
4.4. 연령에 따른 앱 활용의 차이 검증 71
4.5. 가구원 수에 따른 앱 활용의 차이 검증 73
4.6. 교육 수준에 따른 앱 활용의 차이 검증 75
4.7. 주택 유형에 따른 앱 활용의 차이 검증 77
4.8. 앱 활용과 생활행위와의 상관관계 79
4.9. 서로 다른 유형의 앱 활용이 생활행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86
V. 결론 90
5.1. 연구의 결론 및 기대효과 90
참고문헌 97
ABSTRACT 103
[표 2-1] 애플 앱 스토어의 앱 카테고리 분류 19
[표 2-2] 통계청 2019년 생활시간 조사 행동 분류 24
[표 2-3] 선행연구의 생활행위 분류 25
[표 2-4] 생활행위 분류 25
[표 2-5] 현상학적 주거의 정의 27
[표 3-1] 설문지 문항 40
[표 3-2] 측정 도구(독립변수)의 신뢰도 및 타당도 43
[표 3-3] 측정 도구(종속변수)의 신뢰도 및 타당도 44
[표 4-1]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분포 49
[표 4-2] 앱 활용과 생활행위 만족도의 일반적 경향 55
[표 4-3] 앱 활용과 생활행위에 따른 빈도 분석-1 58
[표 4-4] 앱 활용과 생활행위에 따른 빈도 분석-2 61
[표 4-5] 생활행위에 따른 앱 활용의 빈도 분석 67
[표 4-6] 생활행위에 따른 앱 활용의 빈도 순위 68
[표 4-7] 앱 순위별 앱 활용 현황 69
[표 4-8] 성별에 따른 앱 활용의 차이 분석 70
[표 4-9] 연령에 따른 앱 활용의 차이 분석 72
[표 4-10] 1~2인 가구와 3인 이상에 따른 앱 활용의 차이 분석 74
[표 4-11] 1인 가구와 2인 이상에 따른 앱 활용의 차이 분석 74
[표 4-12] 교육 수준에 따른 앱 활용의 차이 분석 76
[표 4-13] 주택 유형에 따른 앱 활용의 차이 분석 78
[표 4-14] 전체 앱 활용과 전체 생활행위 만족도 Pearson상관 79
[표 4-15] 앱 활용과 전체 생활행위 만족도와의 상관관계 82
[표 4-16] 전체 앱 활용에 따른 전체 생활행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82
[표 4-17] 앱 활용의 기술 통계량 83
[표 4-18] 앱 활용에 따른 전체 생활행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89
[그림 1-1] 연구의 흐름 13
[그림 2-1] 2017년 연간 총 앱 수익 16
[그림 2-2] 생활행위 분석 29
[그림 2-3] 생활내용의 3가지 분류 29
[그림 2-4] 평균 가구원 수 31
[그림 3-1] 연구의 모형 34
[그림 4-1] 성별에 따른 주택 유형과 가구 형태 51
[그림 4-2] 성별에 따른 주택 유형과 교육 수준 51
[그림 4-3] 성별에 따른 연령과 주택 유형 52
[그림 4-4] 가구형태에 따른 주택 유형과 교육 수준 52
[그림 4-5] 전체 앱 활용과 전체 생활행위 만족도(M) 80
[그림 4-6] 의사소통(Commucication)과 생활행위 만족도 84
[그림 4-7] 정보습득(Informativeness)과 생활행위 만족도 84
[그림 4-8] 생활 관리(Maintenance)와 생활행위 만족도 85
[그림 4-9] 엔터테인먼트(Entertainment)와 생활행위 만족도 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