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비대면 환경에서 생활하는 우리의 삶의 방식이 일상생활의 자동화와 비대면 생활로 바뀌어 컴퓨터와 인터넷 통신망으로 연결된 우리의 매일의 동작과 생활을 공간의 절대적 의존도를 벗어나 일상의 삶을 담아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의 앱 활용을 인구 사회학적 변인과 주거 환경적인 변인에 따른 앱 활용 간의 차이를 분석하고 앱 활용과 앱 활용을 통한 생활행위 만족도와의 관계를 검증하여 스마트폰의 앱 활용이 생활행위 만족도의 미치는 영향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10대~50대이며, 스마트폰의 사용자들을 대상하고 총 330명의 표본을 분석 자료로 활용했다. 자료 분석은 IBM SPSS Staitistics 26.0을 이용하여 빈도 분석,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 회귀분석, T-검증, Welch'ANOVA, ANOVA를 실시하였다.
스마트폰의 전체 앱 활용은 성별, 연령, 교육 수준, 주택 유형에 따른 앱 활용의 차이가 나타났다. 즉, 성별에 따른 의사소통, 생활 관리, 엔터테인먼트의 앱 활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001, p〈.05), 연령에 따른 엔터테인먼트, 의사소통, 정보습득 앱 활용에서 유의수준 0.001을 기준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교육 수준에 따른 정보습득 앱 활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주택 유형에 따른 엔터테인먼트의 앱 활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하지만, 가구원 수에 따른 앱 활용은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앱 활용은 1인 가구, 2인 가구, 3인 가구~4인 가구, 5인 가구 이상에 따른 차이가 없다고 할 수가 있겠다. 앱 활용은 전체 생활행위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p〈0.001), 스마트폰의 앱 활용인 의사소통, 생활 관리, 정보습득, 엔터테인먼트는 전체 생활행위 만족도와 양적 선형관계로 생활 관리가 가장 높은 관계로 나타났으며, 의사소통, 생활 관리, 엔터테인먼트, 정보습득 앱 활용은 생활행위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 정보습득 앱 활용이 생활행위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p〈0.001, p〈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