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요약문 9
I. 서론 11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1
1.2. 연구의 범위와 방법 13
II. 이론적 고찰 및 선행연구 검토 15
2.1. 고령화사회와 노인문제 15
2.1.1. 고령화사회 15
2.1.2. 노인의 정의와 정년 19
2.1.3. 노인문제와 노인취업실태조사 24
2.2. 도시농업 현황과 노인일자리창출 가능성 29
2.2.1. 도시농업의 정의와 기능 29
2.2.2. 국내 도시농업 현황 32
2.2.3. 해외 도시농업 사례분석 37
2.2.4. 도시농업을 통한 노인 일자리창출 가능성 51
2.3. 공동체 텃밭 디자인을 위한 연구 54
2.3.1. 친환경 트렌드에 관한 연구 54
2.3.2. 가치소비 트렌드에 관한 연구 58
2.3.3. 자연친화적 공간 트렌드에 관한 연구 60
2.4. 선행연구 검토 63
2.4.1. 노인들의 원예활동으로 인한 치료효과 63
2.4.2. 노인들의 도시농업을 통한 일자리 창출사례 66
2.4.3. 커피박 활용방안 연구 68
III. 도시농업 공동체 '시니어 팜' 76
3.1. '시니어 팜'의 개념 76
3.2. 기존 노인텃밭과 '시니어 팜'의 차별점 79
3.3. 기대효과 80
3.4. '시니어팜'의 유사사례 82
IV. '시니어팜'의 운영 제안 86
4.1. '시니어팜'의 브랜드디자인 86
4.1.1. 시니어팜 브랜드 아이덴티티 (BI: Brand Identity) 86
4.2. '시니어팜'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제언 88
4.2.1. 대상지 선정과 대상지현황 88
4.2.2. 커피박 수거와 활용 98
4.2.3. '시니어팜' 내 재배작물선정 98
4.2.4. 시니어팜 내 노인인력 배치 105
V. 결론 106
참고문헌 110
ABSTRACT 115
〈표 2-1〉 고령화지수 18
〈표 2-2〉 2017년 6월말 전국 시도별 도시농업 및 도시농업인 현황 36
〈표 2-3〉 독일의 도시농업 현황 42
〈표 4-1〉 군포시 노인복지시설현황 1 90
〈표 4-2〉 군포시 노인복지시설현황 2 91
〈표 4-3〉 노인 사회 활동 지원 사업 및 노인 일자리 공익활동 91
〈표 4-4〉 노인 사회 활동 지원 사업 및 노인 일자리 시장형 93
〈표 4-5〉 노인 사회 활동 지원 사업 및 노인 일자리 사회 서비스형 94
〈표 4-6〉 시니어팜 내 노인인력 배치 105
[그림 1-1] 연구의 흐름도 14
[그림 2-1] 연령계층별 인구구성비 16
[그림 2-2] 출생아 수 및 합계 출산율 17
[그림 2-3] 고령화지수 그래프 18
[그림 2-4] 노인 취업율 추이 26
[그림 2-5] 취업노인의 종사직업 27
[그림 2-6] 한국 도시농업 면적과 참여자수 33
[그림 2-7] 더 현대서울 (자연친화형 백화점) 60
[그림 2-8] 의왕 타임빌라스 (프리미엄 아울렛) 61
[그림 2-9] 국내 1인당커피소비량 69
[그림 2-10] 서울시 커피퇴비 활용방안 1 72
[그림 2-11] 서울시 커피퇴비 활용방안 2 73
[그림 3-1] 도시농업의 통합적 기능과 역할 77
[그림 3-2] '시니어팜' 개념도 78
[그림 3-3] 이케아의 식물 컨테이너 82
[그림 3-4] 서울 지하철 상도역 내의 스마트팜 83
[그림 3-5] 전경련 빌딩 51층 더 스카이팜 파빌리온 84
[그림 3-6] 전경련 빌딩 더 스카이팜의 텃밭 85
[그림 4-1] '시니어팜' BI 시안 87
[그림 4-2] '시니어팜' 유니폼 디자인 87
[그림 4-3] 군포시 연령대별 인구현황 89
[그림 4-4] 군포시 연령계층별 인구현황 89
[그림 4-5] 초막골 생태공원 지도 95
[그림 4-6] 초막골 생태공원 위치와 주변 96
[그림 4-7] 초막골 생태공원 다랭이논 97
[그림 4-8] 초막골 생태공원 반디뜨락 97
[그림 4-9] 초막골 생태공원 초록마당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