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국문 초록 10
I. 서론 11
1. 연구의 필요성 11
2. 연구 문제 14
3. 용어 정의 14
1) 아동 14
2) 양육자 15
3) 자기돌봄 요인들 15
II. 이론적 배경 16
1. 아동 양육자 16
1) 아동 양육자의 특성 16
2. 자기돌봄(Self-care) 21
1) 자기돌봄의 정의 22
2) 자기돌봄 관련 요인들 23
3) 자기돌봄의 방법 28
3. 음악치료 30
1) 심리적 지원을 위한 음악치료 방법 30
2) 음악치료와 자기돌봄 37
III. 연구방법 45
1. 연구 대상 45
2. 연구 설계 및 절차 46
1) 연구 설계 46
2) 연구 기간 및 절차 47
3. 그룹음악치료 프로그램의 구성 48
1) 그룹음악치료 프로그램 48
2) 음악치료 프로그램 내용 및 치료적 근거 49
4. 측정 도구 55
1) 부모소진척도 55
2) 마음챙김척도 56
3) 심리적 안녕감 척도 58
IV. 연구결과 60
1. 관찰 대상 두 집단의 동질성 검증 60
1) 두 집단의 부모소진척도 동질성 검증 60
2) 두 집단의 마음챙김 척도 동질성 검증 61
3) 두 집단의 심리적 안녕감 척도 동질성 검증 62
2. 부모소진의 사전-사후 차이 검증 63
1) 부모소진 집단 간 비교 63
2) 부모소진 집단 내 사전-사후검사 차이 64
3. 마음챙김의 사전-사후 차이 검증 66
1) 마음챙김 집단 간 비교 66
2) 마음챙김 집단 내 사전-사후검사 차이 68
4. 심리적 안녕감의 사전-사후 차이 검증 71
1) 심리적 안녕감 집단 간 비교 71
2) 심리적 안녕감 집단 내 사전-사후검사 차이 74
5. 실험집단의 척도 간 상관관계 검증 76
6. 음악치료 경험에서 나타난 참여자들 언어 반응 분석 79
V. 결론 94
1. 결론 및 논의 94
2. 제언 99
참고문헌 101
ABSTRACT 121
부록 123
〈부록 1〉 그룹음악치료 프로그램의 회기별 주요 활동 내용 123
〈부록 2〉 노래만들기 가사 128
〈표 1〉 실험집단/통제집단 연구 대상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45
〈표 2〉 연구 설계 모델 47
〈표 3〉 음악치료활동의 프로그램 내용 49
〈표 4〉 음악치료 활동 내용 및 진행순서와 사용된 곡목 51
〈표 5〉 음악치료 활동 제목과 치료적 근거 52
〈표 6〉 부모소진척도 하위영역별 문항구성 및 신뢰도 55
〈표 7〉 수정된 부모소진척도 하위영역별 문항구성 및 신뢰도 56
〈표 8〉 마음챙김 척도 하위영역별 문항구성 및 신뢰도 57
〈표 9〉 수정된 마음챙김 척도 하위영역별 문항구성 및 신뢰도 58
〈표 10〉 심리적 안녕감 척도 하위영역별 문항구성 및 신뢰도 59
〈표 11〉 부모소진척도 동질성 검증 60
〈표 12〉 마음챙김척도 동질성 검증 61
〈표 13〉 심리적 안녕감 척도 동질성 검증 62
〈표 14〉 부모소진 집단 간 사전-사후 차이 비교 63
〈표 15〉 부모소진 집단 내 사전-사후검사 차이 65
〈표 16〉 마음챙김 집단 간 사전-사후 차이 비교 67
〈표 17〉 마음챙김 집단 내 사전-사후검사 차이 70
〈표 18〉 심리적 안녕감 집단 간 사전-사후 차이 비교 72
〈표 19〉 심리적 안녕감 집단 내 사전-사후검사 차이 75
〈표 20〉 실험집단의 부모소진 척도와 마음챙김 척도 간의 상관관계 77
〈표 21〉 실험집단의 부모소진 척도와 심리적 안녕감 척도 간의 상관관계 78
〈그림 1〉 냉소 사전-사후 점수 비교 64
〈그림 2〉 비판단적 수용 사전-사후 점수 비교 68
〈그림 3〉 자존감, 사회성 사전-사후 점수 비교 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