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Ⅰ. 머리말 8
1. 연구 대상과 연구 배경 9
2. 선행연구 검토 12
1) 북한학계 각형토기 관련 연구 12
2) 남한 및 일본학계 각형토기 관련 연구 18
3. 문제제기 및 연구 방향 21
Ⅱ. 각형토기 연구의 제반 요소 24
1. 편년 방법 24
1) 형식학적 방법 24
2) 층서법 25
2. 대동강유역 각형토기의 분류 26
1) 분류의 기준 27
2) 기종별 속성 분석 28
3) 각형토기의 속성 조합 32
3. 대동강유역 취락 검토 36
1) 황주 고연리 유적 37
2) 평양 표대 유적 41
3) 평양 남경 유적 47
4) 평양 리천리 유적 50
5) 덕천 남양리 유적 57
6) 북창 대평리 유적 59
4. 종합적 고찰 60
Ⅲ. 남한지역 각형토기의 분포와 특징 64
1. 남한지역의 각형토기와 취락 검토 64
1) 임진강유역 66
2) 강화지역 70
3) 기타 중부지역(경기 북서부 지역, 북한강유역, 남한강유역) 73
2. 남한지역 각형토기 분석 74
1) 각형토기의 기형 76
2) 각형토기 구연부 처리방식 78
3) 각형토기의 공반양상 82
Ⅳ. 한반도 각형토기의 변천과 전개 84
1. 각형토기의 시간적 위치 84
2. 각형토기의 등장과 확산 88
1) 각형토기의 기원과 계통 88
2) 각형토기의 분포와 확산 90
Ⅴ. 맺음말 94
참고문헌 96
ABSTRACT 100
표 1. 서국태(1996)의 편년안에 따른 시기별 속성과 특징 14
표 2. 김종혁·전영수(2003)의 편년안에 따른 시기별 속성과 특징 15
표 3. 지화산(2014)의 편년안에 따른 시기별 속성과 특징 16
표 4. 차달만(2014)의 편년안에 따른 시기별 속성과 특징 17
표 5. 각형토기문화 선행 연구 19
표 6. 연구자별 각형토기 형태 변화 20
표 7. 옹형각형토기 저부 형태 구분 29
표 8. 옹형각형토기 동하위 형태 구분 30
표 9. 옹형각형토기 속성 30
표 10. 호형각형토기 속성 32
표 11. 옹형각형토기 저부형·태동하위형태 속성조합(*I, IV식을 제외한 수량) 33
표 12. 호형각형토기 동체형·태경부형태 속성조합 33
표 13. 각형토기 형식 내용 34
표 14. 남한지역 출토 각형토기 속성별 수치 34
표 15. 각형토기 분류 시안 35
표 16. 대동강유역 청동기시대 주거지 일람 36
표 17. 고연리 유적 주거지 현황 (조롱박형단지 - 1유형 : 무문, 현문, 2유형 : 거치문) 38
표 18. 고연리 유적 중복관계 38
표 19. 표대 유적 시기별 주거지 배치 양상 41
표 20. 표대 유적 주거지 현황 (조롱박형단지 - 1유형 : 무문, 현문, 2유형 : 거치문) 42
표 21. 표대 유적 중복관계 44
표 22. 남경 유적 시기별 유구 배치 양상 47
표 23. 남경 유적 주거지 현황 (조롱박형단지 - 1유형 : 무문, 현문, 2유형 : 거치문) 48
표 24. 남경 유적 중복관계 49
표 25. 리천리 유적 주거지 현황 (조롱박형단지 - 1유형 : 무문, 현문, 2유형 : 거치문) 51
표 26. 리천리 유적 중복관계 52
표 27. 남양리 유적 주거지 현황 (조롱박형단지 - 1유형 : 무문, 현문, 2유형 : 거치문, 3유형 : 삼각문) 57
표 28. 남양리 유적 중복관계 58
표 29. 대평리 유적 주거지 현황 (조롱박형단지 - 1유형 : 무문, 현문, 2유형 : 거치문) 59
표 30. 대평리 유적 중복관계 59
표 31. 대동강유역 각형토기 공반관계에 따른 순서배열 62
표 32. 단계별 공반 미송리형토기(1. 고연리 3호 2. 남경 11호 3. 표대 58호 4, 5, 6. 표대 3호) 63
표 33. 남한지역 각형토기 출토 취락 유적 현황 65
표 34. 남한 출토 각형토기 현황 75
표 35. 남한 출토 각형토기 구연부 문양 80
표 36. 각형토기 공반토기의 문양과 각형토기 관련 석기 일람 82
표 37. 대동강유역 각형토기의 단계 구분 및 남한지역 병행관계 84
그림 1. 각형토기문화 유적 분포도 11
그림 2. 옹형각형토기의 계측 속성 및 계산식 28
그림 3. 호형각형토기의 계측 속성 및 계산식 28
그림 4. 옹형각형토기 굽높이비 분포 29
그림 5. 옹형각형토기 저부형태별 호형도 29
그림 6. 옹형각형토기 호형도 분포 30
그림 7. 옹형각형토기 동체내만도 분포 30
그림 8. 호형각형토기 동체팽만도 분포 31
그림 9. 호형각형토기 경부비 분포 31
그림 10. 호형각형토기 경부형태별 동체팽만도 31
그림 11. 고연리 유적 중복관계 ① 40
그림 12. 고연리 유적 중복관계 ② 40
그림 13. 표대 유적 중복관계 ①, ④, ⑪, ⑬ 46
그림 14. 리천리 유적 중복관계 ①(上), ②(下) 53
그림 15. 리천리 유적 중복관계 ③(左), ④(中), ⑤(右) 54
그림 16. 리천리 유적 중복관계 ⑥ 55
그림 17. 리천리 유적 중복관계 ⑦ 56
그림 18. 연천 삼거리 9호 주거지 및 출토 토기 67
그림 19. 연천 임진강 삼거리 1·3호 주거지 출토 토기 68
그림 20. 연천 강내리 6호 주거지 및 출토 토기 69
그림 21. 강화 삼거리유적 출토 유물(1. 주거지 內 2. 지석묘 內 3. 유구 외부) 70
그림 22. 강화 장정리유적 주거지 및 출토유물 71
그림 23. 강화 산단지점유적 주거지 출토 토기(1. 1호 2. 2호 3. 3호 4. 4호) 72
그림 24. 남한지역 완형 옹형각형토기(1. 광주 장지동 2호 2. 연천 삼거리 9호 3. 김포 운양동 II-10-8호 4. 김포 운양동 II-10-9호 5. 김포 운양동 II-10-10호 6. 김포 운양동 II-10-11호 7. 김포 학... 77
그림 25. 남한지역 완형 호형각형토기(1,2,3. 연천 삼거리 9호 4. 연천 임진강 삼거리 3호) 77
그림 26. 공열 및 구순각목문 결합 각형토기(1,2. 중화 진파리 3. 연천 삼거리 9호 4,5,6 인천 검단 원당동 Ⅳ-2-10호 7. 연천 강내리 지표수습 8. 강화 신봉리 3호 9. 강화 신봉리 1호 소성유구 10. 연천... 78
그림 27. 이중구연+음각선문 시문 각형토기(1. 김포 양촌 1-J-3호 수혈 2. 김포 양촌 1-D-13호 3,4,5. 김포 양곡 1-5호 6. 강화 삼거리 7. 강화 장정리 1호 8. 강화 장정리 3호 9. 인천... 79
그림 28. 금탄리 및 남경 출토 환저토기(1~4. 금탄리 2문화층 5,6. 남경 31호) 89
그림 29. 피엔푸문화 및 남경 출토 부가퇴문 장식 토기(1~4. 长兴岛三堂村 5~7. 沈阳肇⼯街 8. 남경 37호 9. 남경 31호) 90
그림 30. 남한지역 각형토기의 확산 91
그림 31. 강화 장정리 유적 각형토기 출토 주거지 배치도 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