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Ⅰ. 머리말 7
1. 연구 배경 및 목적 8
2. 연구사 검토 9
1) 편년 9
2) 유구 및 유물 12
3. 연구 내용 20
Ⅱ. 분석 대상과 방법론 22
1. 분석 대상과 범위 22
2. 편년 수립을 위한 방법론 검토 26
1) 형식학적 방법 26
2) 취락고고학적 접근 29
3) 종합 적용 31
3. 주거지의 사용수명과 폐기 34
1) 주거지의 사용수명(Use-life) 34
2) 주거지의 폐기 38
3) 주거지의 재점유 41
Ⅲ. 경기지역 청동기시대 주거지 분석 43
1. 속성 설정 43
2. 대상 지역과 사례 유적 분석 51
1) 경기 북부지역 51
2) 경기 중부지역 62
3) 경기 남부지역 83
3. 소결 100
Ⅳ. 경기지역 취락의 점유기간과 생계경제 103
1. 점유기간과 생계경제의 변화 103
1) 대상 유적 석기 조성비 105
2. 농경의 발달과 취락의 계획 축조 113
Ⅴ. 맺음말 120
참고문헌 123
부록 129
[부록 1] 경기 북부지역 취락 내 평균 주거 시설의 스코어 129
[부록 2] 경기 중부지역 취락 내 평균 주거 시설의 스코어 129
[부록 3] 경기 남부지역 취락 내 평균 주거 시설의 스코어 132
ABSTRACT 136
[표 1] 연구자 별 주거지 장단비에 따른 평면 형태 분류안 14
[표 2] 연구자 별 주거지 면적에 따른 규모 분류안 14
[표 3] 경기지역 청동기시대 편년안 33
[표 4] 제임스 강 계곡의 시기별 점유 방식 변화 36
[표 5] 한반도 중부지역 취락의 시기별 점유 방식 변화 37
[표 6] 주거지 폐기 행위 39
[표 7] 각 주거 시설의 밀도 계산 공식 45
[표 8] 주혈, 저장공 평균 체적 당 점수 47
[표 9] 바닥다짐 시설 범위 당 점수 48
[표 10] 이색점토다짐구역 평균 면적 당 점수 49
[표 11] 전체 스코어에 따른 점유 지속도 설정 50
[표 12] 경기 북부지역 분석 주거지 수 52
[표 13] 경기 북부지역 유적의 점유 시기 55
[표 14] 문산 당동리유적의 시기별 스코어 변화(n=51) 58
[표 15] 연천 강내리유적의 시기별 스코어 변화(n=9) 60
[표 16] 경기 중부지역 분석 주거지 수 63
[표 17] 경기 중부지역 유적의 점유 시기 73
[표 18] 김포 양촌유적의 시기별 스코어 변화(n=126) 76
[표 19] 광주 역동유적의 시기별 스코어 변화(n=31) 78
[표 20] 인천 구월동유적의 시기별 스코어 변화(n=43) 80
[표 21] 인천 중산동유적의 시기별 스코어 변화 82
[표 22] 경기 남부지역 분석 주거지 수 84
[표 23] 경기 남부지역 유적의 점유 시기 93
[표 24] 평택 소사동유적의 시기별 스코어 변화(n=101) 96
[표 25] 안성 만정리유적의 시기별 스코어 변화(n=53) 97
[표 26] 경기지역 점유기간 및 취락 내 분포 변화 100
[표 27] 석기 분류안 105
[표 28] 경기 북부지역 주거지 출토 석기 조성비 106
[표 29] 경기 중부지역 주거지 출토 석기 조성비 108
[표 30] 경기 남부지역 주거지 출토 석기 조성비 110
[표 31] 중기 단계 장기 점유 취락과 대형 하천과의 거리 115
[그림 1] 마제석검의 형식 분류 17
[그림 2] 경기지역 대상 유적 분포도 24
[그림 3] 주거지 장단비 분포 28
[그림 4] 주거지 면적 히스토그램 29
[그림 5] 경기지역 방사성탄소연대 분포 33
[그림 6] 제임스 강 계곡의 주거 안정성과 점유기간 산점도 35
[그림 7] 주거시설의 면적 측정 방법 44
[그림 8] 사각형, (타)원형 면적 측정 방법 46
[그림 9] 경기지역 총 점유 스코어 분포 50
[그림 10] 경기지역 전체 취락의 시기별 점유 스코어 분포 51
[그림 11] 경기 북부지역 탄소연대 분포(아웃라이어 제거 기준) 53
[그림 12] 경기 북부지역 시기 변화에 따른 취락 점유 지속도의 변화 56
[그림 13] 당동리유적 시기별 주거지 배치 변화 59
[그림 14] 강내리유적 시기별 주거지 배치 변화 61
[그림 15] 경기 중부지역 탄소연대 분포(아웃라이어 제거 기준) 66
[그림 16] 경기 중부지역 시기 변화에 따른 취락 점유 지속도의 변화 74
[그림 17] 양촌유적 시기별 주거지 배치 변화 77
[그림 18] 역동유적 시기별 주거지 배치 변화 79
[그림 19] 구월동유적 시기별 주거지 배치 변화 81
[그림 20] 중산동유적 시기별 주거지 배치 변화 82
[그림 21] 경기 남부지역 탄소연대 분포(아웃라이어 제거 기준) 87
[그림 22] 경기 남부지역 시기 변화에 따른 취락 점유 지속도의 변화 94
[그림 23] 소사동유적 시기별 주거지 배치 변화 97
[그림 24] 만정리유적 시기별 주거지 배치 변화 99
[그림 25] 경기 북부지역 석기 조성비 107
[그림 26] 경기 중부지역 석기 조성비 109
[그림 27] 경기 남부지역 석기 조성비 111
[그림 28] 화성 반송리유적 중기 단계 유구배치도 및 주거 시설 117
[그림 29] 경기지역 중기 단계 주거지 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