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Ⅰ. 머리말 10
1. 선행연구검토 18
2. 연구목적 및 방법 22
Ⅱ. 삼국시대 용봉문 환두대도의 형식설정 및 편년 26
1. 용봉문 환두대도의 세부명칭 및 속성 26
1) 명목적 속성(환내 중앙장식 有無·도상 문양 및 형태·제작방식) 27
2) 계측적 속성 36
2. 용봉문 환두대도의 형식설정 40
3. 용봉문 환두대도의 편년설정 44
1) I형식 44
2) II형식 46
3) III형식 48
4) IV형식 48
Ⅲ. 삼국시대 용봉문 환두대도의 지역별 변천양상 51
1. 출현기 52
1) 백제지역 52
2) 가야지역 53
3) 지역성 및 변천양상 55
2. 확립기 59
1) 백제지역 59
2) 가야지역 59
3) 영산강유역 63
4) 신라지역 63
5) 왜(倭)지역 64
6) 지역성 및 변천양상 68
Ⅳ. 백제 용봉문의 전개양상 및 지역별 상관성 79
1. 백제 용봉문의 출현과 전개 80
2. 백제와 가야·왜 용봉문의 상관성 88
Ⅴ. 맺음말 98
참고문헌 101
ABSTRACT 110
〈표 1〉 백제지역 용봉문 환두대도 출토 유적 및 수량 12
〈표 2〉 가야지역·영산강 유역·신라지역 용봉문 환두대도 출토 유적 및 수량 13
〈표 3〉 한반도 중부 및 남부지역 용봉문 환두대도 계측 속성 일괄(1) 36
〈표 4〉 한반도 중부 및 남부지역 용봉문 환두대도 계측 속성 일괄(2) 36
〈표 5〉 한반도 중부 및 남부지역 용봉문 환두대도 계측 속성 일괄(3) 37
〈표 6〉 한반도 중부 및 남부지역 용봉문 환두대도 계측 속성 일괄(4) 37
〈표 7〉 한반도 중부 및 남부지역 용봉문 환두대도 계측 속성 일괄(5) 37
〈표 8〉 한반도 중부 및 남부지역 용봉문 환두대도 계측 속성 일괄(6) 38
〈표 9〉 삼국시대 한반도 중부 및 남부지역 용봉문 환두대도 속성 및 형식 43
〈표 10〉 한반도 중부·남부지역 용봉문 환두대도의 각 형식 편년 및 단계 49
〈그림 1〉 백제지역 용봉문 환두대도 출토 유적(괄호 안 유적 수 표시) 12
〈그림 2〉 가야지역·영산강 유역·신라지역 용봉문 환두대도 출토 유적(괄호 안 유적 수 표시) 13
〈그림 3〉 한반도 중부 및 남부지역 출토 용봉문 환두대도 일괄(1) 14
〈그림 4〉 한반도 중부 및 남부지역 출토 용봉문 환두대도 일괄(2) 15
〈그림 5〉 한반도 중부 및 남부지역 출토 용봉문 환두대도 일괄(3) 16
〈그림 6〉 한반도 중부 및 남부지역 출토 용봉문 환두대도 일괄(4) 17
〈그림 7〉 용봉문 환두대도 세부 명칭 26
〈그림 8〉 천안 용원리 1호분 출토 환내 중앙장식 있는 것 27
〈그림 9〉 공주 수촌리 II-1호분 출토 환내 중앙장식 없는 것 27
〈그림 10〉 공주 무령왕릉 출토 환내 중앙장식 단룡문 28
〈그림 11〉 천안 용원리 12호분 출토 환내 중앙장식 단봉문 28
〈그림 12〉 합천 옥전 M3호분 출토 환내 중앙장식 용두봉수문 28
〈그림 13〉 공주 무령왕릉 출토 외환 주룡문 식합형(喰合型) 29
〈그림 14〉 천안 용원리 1호분 출토 외환 주룡문 근교형(筋交型) 29
〈그림 15〉 용봉문 환두대도 파(把)에 장식된 문양 종류 30
〈그림 16〉 공주 수촌리 II-1호분 출토 파상문 30
〈그림 17〉 천안 용원리 1호분 출토 선문 30
〈그림 18〉 공주 무령왕릉 출토 봉문+귀갑문 31
〈그림 19〉 합천 옥전 M3호분 출토 쌍용문 31
〈그림 20〉 천안 용원리 1호분 출토 일주식 31
〈그림 21〉 경주 호우총 출토 별주식 31
〈그림 22〉 천안 용원리 12호분 출토 철 주조 32
〈그림 23〉 고령 지산동 I-3호분 출토 동 주조 32
〈그림 24〉 천안 용원리 12호분 출토 금판 도금 33
〈그림 25〉 나주 신촌리 9호 을관 출토 은판 도금 33
〈그림 26〉 합천 옥전 35호분 출토 상감 기법 33
〈그림 27〉 공주 무령왕릉 출토 아말감도금 33
〈그림 28〉 공주 수촌리 II-1호분 출토 철 주조 + 금판 도금 + 상감기법 33
〈그림 29〉 함안 도항리 54호분 출토 은판 도금 33
〈그림 30〉 산청 중촌리 3호분 출토 동 주조 + 아말감도금 34
〈그림 31〉 공주 무령왕릉 출토 금속선을 감아올린 기법 혹은 제상연주문기법 34
〈그림 32〉 합천 옥전 M3호분 출토 금판 도금 35
〈그림 33〉 산청 중촌리 3호분 북토광 출토 은판을 두른 것 35
〈그림 34〉 합천 옥전 35호분 출토 상감기법 35
〈그림 35〉 용봉문 환두대도 잔존길이 막대그래프 38
〈그림 36〉 외환 외측 길이(A)-너비(B) 및 내측 길이(C)-너비(D) 39
〈그림 37〉 환두부 장식 제작 재료와 장식기법의 대응관계 모식도 40
〈그림 38〉 천안 용원리 9호 석곽묘 출토 흑유 계수호 45
〈그림 39〉 I형식 환내 중앙장식 형식학적 연속성 도상 모식도 46
〈그림 40〉 공주 수촌리 II-1호분 출토 청자유개사이호 46
〈그림 41〉 옥전 35호분 출토 외환 주룡문 모식도 47
〈그림 42〉 수촌리 II-1호 토광묘→옥전35호분→용원리 12호 석곽묘 출토 외환 주룡문 모식도 비교 47
〈그림 43〉 한반도 중부·남부지역 용봉문 환두대도 출현기 유적 분포 49
〈그림 44〉 한반도 중부·남부지역 용봉문 환두대도 확립기 유적 분포 49
〈그림 45〉 한반도 중부·남부 및 왜 지역 용봉문 환두대도 편년 및 공반 유물과 유구 50
〈그림 46〉 백제지역 출현기 용봉문 환두대도 52
〈그림 47〉 백제지역 출현기 용봉문 환두대도 외환 주룡문 모식도 52
〈그림 48〉 백제지역 출현기 용봉문 환두대도 환두부 금박붙임 53
〈그림 49〉 가야지역 출현기 용봉문 환두대도 중 환두부를 동으로 만든 출토품 54
〈그림 50〉 가야지역 출현기 용봉문 환두대도 중 환두부를 철로 만든 출토품 54
〈그림 51〉 가야지역 출현기 합천 옥전 M35호분 출토 단봉문 환두대도 55
〈그림 52〉 출현기 단봉 환두대도(동제품) 환내 중앙장식 도상 모식도 비교 56
〈그림 53〉 단봉 환두대도 외환 내측 주조선 비교 (좌: 천안 용원리 1호 출토, 우: 고령 지산동 I-3호분 출토) 56
〈그림 54〉 출현기 단봉 환두대도(철제품) 환내 중앙장식 도상 모식도 비교 (1: 천안 용원리 12호 출토품, 2: 고령 지산동 32NE-1호분 출토품) 57
〈그림 55〉 옥전 35호 출토 단봉 환두대도 문양표현기법 58
〈그림 56〉 확립기 백제지역 무령왕릉 출토 단룡 환두대도 59
〈그림 57〉 고령 지산동 구39호분(5호분) 출토 단룡 환두대도 60
〈그림 58〉 합천 옥전 M3호분 출토 용봉문 환두대도 61
〈그림 59〉 합천 옥전 M4호·M6호 출토 용봉문 환두대도 62
〈그림 60〉 산청 생초 M13호분·함안 도항리 54호분 출토 용봉문 환두대도 62
〈그림 61〉 나주 신촌리 9호 을관 출토 단봉문 환두대도 63
〈그림 62〉 신라지역 확립기 용봉문 환두대도 64
〈그림 63〉 왜 지역 단룡 환두대도 환내 중앙장식 모식도 65
〈그림 64〉 왜 지역 단봉 환두대도 중앙장식 모식도 66
〈그림 65〉 왜 지역 외환 주룡문 및 쌍용문 66
〈그림 66〉 왜 지역 식합형 주룡문 모식도 67
〈그림 67〉 쇼군야마(將軍山) 고분 출토품 68
〈그림 68〉 합천 옥전 M3호 용문장 환두대도 문양표현기법 69
〈그림 69〉 무령왕릉과 지산동 구39호분(5호분) 출토품 문양 비교 70
〈그림 70〉 백제와 가야지역 병부 파(把) 장식 비교 71
〈그림 71〉 가야지역 용봉문 환두대도 외환 중공(中空) 양상 72
〈그림 72〉 합천 옥전 M3호분 출토 외환 투공 장식 72
〈그림 73〉 가야지역 출토 외환에 부착된 판(板) 73
〈그림 74〉 합천 옥전 M3호분·산청 생초 M13호분·나주 신촌리 9호 을관 출토 도상 모식도 비교 74
〈그림 75〉 나주 신촌리 9호 을관 출토 추정 백제 양식 단봉 환두대도 74
〈그림 76〉 경주 천마총 출토 단봉 모자(母子) 환두대도 75
〈그림 77〉 무령왕릉 → 카이호우츠카(海北塚) → 이치스카(一須賀) WA1호분 도상 모식도 비교 76
〈그림 78〉 백제와 왜 단봉 환두대도 도상 모식도 비교 (상: 여의주 有, 천안 용원리 1 호 → 엔코지(円光寺) 고분... 76
〈그림 79〉 외환 주룡문 모식도 변화 양상 수촌리 1호 → 에타후나야마(江田船山) → 옥전 35호 → 용원리 12호 77
〈그림 80〉 고령 지산동 73호분 출토품의 어린문 및 ㄷ자형 고정못 79
〈그림 81〉 한(漢) 대 용문 도상 80
〈그림 82〉 용봉문 머리 부분 세부 명칭 81
〈그림 83〉 평양 석암리 9호 출토 금제 교구(상) 및 대성동 88호 진식대금구(하) 82
〈그림 84〉 고구려 고분벽화에 보이는 조(鳥)문과 백제지역 천안 용원리 1호 단봉 환두대도... 83
〈그림 85〉 백제지역에서 용봉문이 보이는 금동관 83
〈그림 86〉 백제지역에서 용봉문이 보이는 금동관 세부 모습(상: 용문, 하: 봉문) 84
〈그림 87〉 백제 금동식리 용봉문 85
〈그림 88〉 무령왕릉 출토 다리작(多利作)명 은제 팔찌 용문 85
〈그림 89〉 무령왕릉 출토 다리작(多利作)명 은제 팔찌 용문 확대 86
〈그림 90〉 무령왕릉 출토 동탁은잔에 보이는 봉문(右上) 및 용문(右下) 86
〈그림 91〉 사비기 부여 능산리고분 출토 금동대향로 용봉문 87
〈그림 92〉 사비기 부여 능산리고분 출토 용도미상 철제품 용문 87
〈그림 93〉 출현기 백제·가야·왜 외환 주룡문(용문) 모식도 비교 90
〈그림 94〉 출현기 백제·가야 봉문 모식도 비교 91
〈그림 95〉 확립기 백제·가야·왜 용문 모식도 비교 92
〈그림 96〉 확립기 백제·가야·왜 봉문 모식도 비교 93
〈그림 97〉 백제와 가야의 쌍용문 상관관계 94
〈그림 98〉 백제와 가야 용문 비교 95
〈그림 99〉 백제와 왜 용문 모식도 비교 (1. 나성동 4호분, 2. 니이자와센즈카((新澤千塚) 126호분) 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