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요약 6
Ⅰ. 서론 8
1. 연구의 필요성 8
2. 연구목적 및 연구문제 11
Ⅱ. 이론적 배경 13
1. 보육 및 보육지원제도의 개념 13
1) 보육의 개념 13
2) 보육지원제도의 개념 13
2. 보육지원제도의 종류 및 추진방향 14
1) 보육지원제도의 종류 14
2) 보육지원제도의 추진방향 14
3. 보육지원제도의 발달과정 및 현황 15
1) 보육지원제도의 발달과정 15
2) 보육지원제도의 현황 19
3) 연장보육지원제도의 개요 23
4. 사회복지인식 26
1) 복지인식의 개념과 필요성 26
2) 복지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7
3) 복지인식의 구성 31
5. 선행연구 고찰 37
1) 복지인식 측정 관련 고찰 37
2) 복지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련된 고찰 39
3) 복지수급경험이 복지인식에 미치는 영향 관련 고찰 42
4) 보편적 복지인식 및 사회적 효과 관련 고찰 43
Ⅲ. 연구방법 46
1.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 46
1) 연구모형 46
2) 연구가설 46
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방법 48
3. 주요변수 및 측정도구 49
1) 독립변수의 설정과 측정 49
2) 종속변수의 설정과 측정 50
3) 측정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성 52
4. 자료 분석방법 54
Ⅳ. 연구결과 55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55
2. 주요변수의 표본특성 57
3. 응답자의 특성에 따른 연장보육지원제도의 이해, 보편적 복지인식, 사회적 효과의 차이 58
1) 응답자의 특성에 따른 연장보육지원제도 이해의 차이 58
2) 응답자의 특성에 따른 보편적 복지인식의 차이 60
3) 응답자의 특성에 따른 사회적 효과의 차이 62
4. 주요변수 간 상관관계 64
5. 가설검정 65
1) 연장보육지원제도의 이해가 보편적 복지인식에 미치는 영향 65
2) 연장보육지원제도의 이해가 사회적 효과에 미치는 영향 66
Ⅴ. 결론 67
1. 연구결과 요약 및 논의 67
2. 연구의 의의 및 한계 69
참고문헌 72
부록(설문지) 78
Abstract 83
〈표 1〉 영유아보육료 예산 추이(2013~2020) 20
〈표 2〉 시·도 별 어린이집 현황 21
〈표 3〉 어린이집 보육료 지원 단가 22
〈표 4〉 보육시설 이용률 23
〈표 5〉 연장보육료 지원 단가 25
〈표 6〉 복지인식(태도) 측정도구와 관련된 선행연구 38
〈표 7〉 복지수급경험이 복지인식에 미치는 영향 관련 선행연구 42
〈표 8〉 연장보육지원제도의 이해 설문문항 구성 50
〈표 9〉 보편적 복지, 사회적 효과, 응답자의 특성 설문문항 구성 51
〈표 10〉 요인분석 신뢰성 53
〈표 11〉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56
〈표 12〉 주요변수의 표본특성 57
〈표 13〉 응답자의 특성에 따른 연장보육지원제도 이해의 차이 59
〈표 14〉 응답자의 특성에 따른 보편적 복지인식의 차이 61
〈표 15〉 응답자의 특성에 따른 사회적 효과의 차이 63
〈표 16〉 주요변수 간 상관계수 64
〈표 17〉 연장보육지원제도의 이해가 보편적 복지인식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65
〈표 18〉 연장보육지원제도의 이해가 사회적 효과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66
〈그림 1〉 연구모형 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