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복지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요소 중 자기이해요인 관점에서 복지수급경험이 복지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복지수급경험이 복지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에서는 연구결과가 혼재되어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응답자의 서로 다른 복지제도 수급경험으로부터 비롯된 결과일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이를 재검증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특정 복지제도인 연장보육지원제도 수급경험으로 한정하였다.
독립변수로 설정한 연장보육지원제도의 이해를 제도인식, 목표 및 목적인식, 자격기준인식, 이용시간 인식으로 구분하였으며 종속변수로서 복지인식의 구성범주를 보편적 복지인식과 복지제도의 사회적 효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부산광역시 내 어린이집에 협조를 구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중 유효한 263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자료 분석방법으로 독립집단 t-test, ANOVA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연장보육지원제도 수급경험과 보편적 복지인식 및 사회적 효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연장보육지원제도 이해의 하위요인인 제도인식, 목표 및 목적인식, 자격기준 인식, 이용시간 인식 모두 보편적 복지인식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이는 제도인식, 목표 및 목적인식, 자격기준인식, 이용시간 인식의 수준이 높으면 보편적 복지인식의 수준도 높아짐을 의미한다. 또한, 연장보육지원제도의 이해가 사회적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결과를 보면 목표 및 목적인식, 자격기준 인식, 이용시간 인식이 사회적 효과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목표 및 목적인식, 자격기준인식, 이용시간 인식의 수준이 높으면 사회적 효과도 높아짐을 의미한다. 즉, 복지제도의 이해가 높을수록 보편적 복지 확대에 긍정적이며, 복지제도의 사회적 효과에 대해서도 긍정적으로 생각하는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지역을 부산광역시로 한정하여 일반화하기 어렵다는 점과 본 연구의 대상을 연장보육지원제도 경험자에 한정하여 미경험자와 경험자 간 복지인식의 차이를 확인하지 못하였다는 점으로 후속 연구에서는 대상지역을 확대하여 연구의 대표성을 높이고 인식의 변화를 관찰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