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지원사업 공익형과 사회서비스형에 참여중인 노인들을 대상으로 근로환경, 참여소득의 경제적 도움 정도, 사회참여에 대한 만족과 역할인식과 같이 사업 참여에 대한 경제적·사회적 요소들을 살펴보고 참여지속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 해운대구에서 사업을 수행하는 종합사회복지관, 시니어클럽에서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지원사업 공익형·사회서비스형 참여자 각 130명, 총 26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하여 서베이 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 모형은 참여지속의사를 종속변수로 두고 인구·사회학적 특성(성별, 나이, 교육수준, 건강상태, 배우자 유무, 주관적 경제상태, 현재 주 소득원)을 통제변수로, 경제적 요인(경제적 도움정도, 참여소득에 대한 만족, 경제적 안정 보장), 사회적 요인(근로환경, 긍정적 사회관계, 사회참여에 대한 만족, 사회적 역할 인식)을 독립변수로 선정하였다. 영향정도를 분석·파악하기 위해 SPSS 26.0 통계프로그램이 활용되었으며 자료 분석을 위한 방법으로는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유형의 참여노인들은 주관적 경제형편에 대해 '보통' 또는 '어렵다'라고 인지하고 있고 응답자 중 공익형 참여노인은 참여소득에 다소 불만족스러움을 나타냈으나 90% 이상이 현재의 사업 참여 소득이 가계에 도움이 되며 사업에 참여하는 이유로써 경제적 이유로 참여한다는 응답률이 높았다.
둘째, 참여노인들은 본인들이 수행하고 있는 업무내용 및 업무 강도를 포함한 전반적인 근로환경에 대해서 만족감을 보였다.
셋째, 동료들과의 긍정적인 관계형성, 사업 참여에 대한 자랑스러움, 지역사회 역할인식은 참여 노인이 스스로 지역사회에 도움을 주고 있다고 인지할 수 있도록 하며 사회참여로 인한 만족감은 지속적으로 마을에 도움이 되고 싶다는 긍정적 응답으로써 참여지속의사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지원사업의 발전방향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우리나라는 노인빈곤률이 매우 높은 나라이다. 본 사업은 대표적인 노인복지정책으로써 노인들에게 경제적 도움을 주는 '일자리' 사업이다. 이에 지금보다 좀 더 많은 노인 인구가 참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선 인건비 인상이 불가피하며 또한 노인들에게 노년기의 보조적 소득보장의 확실한 기회로의 각인이 필요하다.
둘째, 노인의 사회참여는 지역사회에서 새로운 임무수행의 역할을 부여받는 기회이다. 이러한 기회를 통해 노인들은 자신이 사회적 가치가 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지원사업이 노인도 지역사회에서 수행할 수 있는 역할이 있음과 함께 생산적 활동의 주체가 될 수 있는 사업임을 알릴 필요가 있다.
셋째, 앞으로의 노인은 현재의 노인보다 높은 학력과 사회경험 및 경력, 전문적 지식 등이 갖추어진 세대이다. 평균수명이 점점 길어지고 있는 지금, 새로운 노인의 전문성와 기존 노인들의 지혜와 경륜, 지속적으로 사회에 참여하고자 하는 의지를 사업의 확대와 질적 향상, 사업유형의 다양성 연구에 적절히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