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제1장 서론 13
제1절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3
제2절 기존연구의 검토 19
제3절 연구범위, 방법 및 구성 23
제2장 이론적 논의와 분석의 틀 26
제1절 이론적 논의 26
1. 해양 지정학과 해양공간 26
2. 해양전략 39
3. 방어적 현실주의와 안보딜레마 49
4. 공격·방어 이론과 핵심해양공간 53
제2절 분석의 틀 58
제3장 태평양 전쟁기 일본에 대한 미국의 태평양 해양전략 63
제1절 미국의 태평양 진출과 태평양의 지정학적 특성 63
1. 미국의 태평양 진출 63
2. 태평양의 지정학적 특성 73
제2절 일본의 핵심해양공간진출과 미국의 방어적 해양전략(1900-1919) 75
1. 일본의 태평양에 대한 지정학적 인식의 시작 75
2. 일본의 해양전략 발전과 핵심해양공간 확보를 위한 준비 80
가. 태평양 지역 해양 강대국 일본의 등장 80
나. 사토 테츠타로(佐藤鐵大郞)와 근대 일본의 해양전략 형성 85
다. 제국국방방침(帝國國防方針)과 해양전략의 발전 92
라. 핵심해양공간 확보를 위한 준비 100
3. 미국의 태평양에 대한 지정학적 인식 106
가. 지정학적 인식에 기초한 3단계 공격전략의 디자인 106
나. 동태평양(The Eastern Pacific)의 핵심해양공간 109
다. 서태평양(The Western Pacific)의 전진기지화 시도와 실패 113
4. 미국의 태평양 지역 방어적 해양전략 115
가. 가상적국 일본의 등장 116
나. 오렌지 계획(the War Plan Orange)의 탄생 120
다. 오렌지 계획의 발전과 태평양 방어선의 후퇴 125
제3절 일본의 도전과 미국의 현상유지(1920-1932) 134
1. 워싱턴 체제와 일본의 핵심해양공간 진출 134
2. 미국의 불안한 현상유지 146
3. 표류하는 미국의 태평양 해양전략 148
제4절 일본의 대미전쟁계획과 미국의 공격적 해양전략(1933-1941) 154
1. 일본의 대미전쟁계획(차단-소모전략: 邀擊漸減作戰, Interception-attrition strategy) 154
2. 미국의 태평양 지역 현상유지 실패 160
3. 미국의 일본에 대한 인식의 전환과 공격을 위한 준비 162
4. 레인보우(Rainbow) 계획의 탄생 169
제5절 소 결론 177
제4장 냉전기 소련에 대한 미국의 태평양 해양전략 183
제1절 냉전기 미국의 태평양 지역에 대한 지정학적 인식 183
1. 지리적 인식의 변화 183
2. 군사전략적 인식의 변화 187
제2절 소련의 해군력 발전과 미국의 방어적 해양전략(1970년 이전) 193
1. 소련의 해양전략 이론적 논쟁 및 도전을 위한 준비 193
가. 해군 재건을 위한 준비 193
나. 학파간 해양전략 이론적 논쟁 195
다. 고르시코프(Sergei Gorshikov)의 등장 : '균형함대론(Balanced fleet)' 203
2. 미국의 태평양 지역 방어적 해양전략 208
가. 태평양에서의 위협의 부재와 중심(gravity)의 이동 208
나. 대서양 중심의 해양전략 발전 211
다. 전략의 스펙트럼 확대와 해양력 균형 218
제3절 소련의 해군력 증강과 미국의 공격적 해양전략(1970년 이후) 222
1. 소련의 태평양 진출과 해군력 증강 222
가. 소련의 태평양 진출과 "핵심해양공간(Blue belt of defense)" 222
나. 1,000해리 방어 개념과 해군력 발전 235
2. 미국의 태평양 지역 공격적 해양전략 244
가. 태평양에서의 공격적 전략 개념 발전 244
나. 해상타격전략(Sea Strike Strategy)과 시플랜 2000(Sea Plan 2000) 249
다. 해양전략 형성: '전방전개 해양전략(Forward Maritime Strategy)' 252
라. 미국에 대한 도전의 실패 258
제4절 소 결론 261
제5장 결론 267
부록 273
부록 1. 워싱턴 회의 개막회의 시 미국의 군축 제안 내용(1921.11.12.) 273
부록 2. 워싱턴 회의 태평양 도서에 관한 4국 조약 277
부록 3. 워싱턴 회의 해군군비제한에 관한 5국 조약 278
부록 4. 워싱턴 회의 중국문제에 따른 원칙과 정책에 관한 9국조약 281
부록 5. 닉슨 독트린(Nixon Doctrine) 283
참고문헌 284
Abstract 298
〈표 1-1〉 미국의 태평양 진출 4단계 24
〈표 2-1〉 해양전략의 구성요소 45
〈표 2-2〉 공격·방어의 관점에서 본 해양전략 46
〈표 2-3〉 도전국가의 태평양 지역 핵심해양공간 60
〈표 2-4〉 태평양 지역의 힘의 공백과 도전국의 대응 61
〈표 2-5〉 도전국가의 핵심해양공간 진출과 미국의 대응 61
〈표 3-1〉 1901년 이후 진수된 함정을 중심으로 한 각국 해군비교 88
〈표 3-2〉 1901년 전후 미·독·일 전함 및 장갑순양함 비교 89
〈표 3-3〉 7대 강대국의 실력비 변천 89
〈표 3-4〉 강대국들의 해군력 순위(1900~1910) 94
〈표 3-5〉 국가별 해군력 보유 현황(1900~1910) 95
〈표 3-6〉 미·일 주력함 건조 척수, 1911~23년 102
〈표 3-7〉 오렌지 계획의 핵심 틀 122
〈표 3-8〉 미 대서양 함대의 아시아 기동 경로 128
〈표 3-9〉 태평양의 아시아 기동 경로 130
〈표 3-10〉 워싱턴 회의 5국 조약의 주력함 비율 139
〈표 3-11〉 런던조약 보조함 보유 톤수 145
〈표 3-12〉 일본 해양전략(차단-소모 전략)의 변화 158
〈표 3-13〉 태평양 전쟁기 일본의 도전과 미국의 대응 178
〈표 3-14〉 미·일 공격방어 균형의 변화 179
〈표 4-1〉 냉전기 미국의 해군력 현황 211
〈표 4-2〉 소련 태평양 함대 임무 230
〈표 4-3〉 소련 잠수함 전투서열(1974) 239
〈표 4-4〉 소련 수상함 전투서열(1974) 240
〈표 4-5〉 소련의 해군 항공기 전투서열(1974) 241
〈표 4-6〉 소련 태평양 함대의 성장, 1980-1987 242
〈표 4-7〉 소련 함대 해군력 비교, 1987 243
〈표 4-8〉 600척 해군 개념 248
〈표 4-9〉 국가 정책을 지원하기 위한 미 해군의 임무 252
〈표 4-10〉 미·소간 해군력 비교 254
〈표 4-11〉 소련의 경제 성장률, 1961~1985 258
〈표 4-12〉 냉전기 소련의 도전과 미국의 대응 265
〈표 4-13〉 냉전기 태평양 지역 미·소 공격방어 균형의 변화 266
〈그림 2-1〉 독립변수의 설정 58
〈그림 2-2〉 공격이 유리할 시 공격·방어 균형의 메카니즘 59
〈그림 3-1〉 1914년, 일본의 독일령 남양제도 점령 후 확보된 해양공간 104
〈그림 3-2〉 일본의 핵심해양공간 방어선 123
〈그림 3-3〉 8" 중순양함 건조 척수 142
〈그림 3-4〉 5-6" 경순양함 건조 척수 143
〈그림 3-5〉 구축함(Destroyer) 건조 척수 143
〈그림 3-6〉 잠수함 건조 척수 144
〈그림 3-7〉 일본의 대미전쟁 기본계획, 1925~1930 156
〈그림 3-8〉 일본의 핵심해양공간의 확대, 1910~1940 157
〈그림 4-1〉 미국의 태평양 지역 지정학적 접근성 188
〈그림 4-2〉 소련 해군함대 위치 194
〈그림 4-3〉 소련의 아시아·태평양 지역에 대한 전략적 접근 루트 227
〈그림 4-4〉 소련의 태평양 주요 해군 기지 229
〈그림 4-5〉 소련의 태평양지역(오호츠크해) 핵심해양공간 232
〈그림 4-6〉 소련의 태평양 지역 1,000해리 방어 개념 236
〈그림 4-7〉 소련의 태평양 지역 1,500해리 방어 개념 2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