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서명
 한과 모노노아와레 : 한일 미의식 산책
청구기호
 111.85-24-7
저자
 박규태 지음
역자
 
발행사항
 이학사(2024)

도서요약정보보기더보기

한국과 일본의 미의식을 비교하기 위해 양국의 미학적 개념들을 총망라한 책이다. 예스럽고 소박한 고졸미(古拙美)와 쓸쓸한 비애미 등 한일 양국을 대표하는 미학적 개념들과 그 사상적 밑그림을 자세히 살피고, 불상과 건축, 문예와 예능, 정원, 미술, 도자기의 다양한 사례를 들어 이론적 서술을 뒷받침한다.

목차보기더보기


서언: 아름다움의 양면성

1부 한일 미의식과 ‘반대의 일치’
제1장 한국인의 미의식과 ‘반대의 일치’
1. 한국인의 미의식: 한의 변주곡
2. 천연주의와 곡선미
3. 한국적 미의식의 지향점: 불연기연과 ‘모순의 승화’

제2장 일본인의 미의식과 ‘반대의 일치’
1. 일본인의 미의식: 모노노아와레의 변주곡
2. 일본인의 미의식과 이념화된 자연
3. 일본인의 자연관: 텐넨과 시젠, 오노즈카라와 미즈카라
4. 일본적 미의식의 지향점: ‘절대 모순적 자기동일’과 ‘모순의 무화’

2부 한과 모노노아와레
제3장 한과 모노노아와레: ‘모순의 승화’와 ‘모순의 무화’
1. 한 담론과 ‘모순의 승화’
2. 모노노아와레 담론과 ‘모순의 무화’
3. 한과 모노노아와레의 비교

제4장 두 개의 ‘한’과 양면성: 박경리 『토지』와 ‘균형의 미학’
1. 『토지』의 일본론
2. 『토지』 속의 한(1): ‘모순에 대한 슬픔’으로서의 한
3. 『토지』 속의 한(2): ‘생명의 본질에 대한 물음’으로서의 한
4. ‘균형의 미학’

제5장 야나기 무네요시의 비애미와 모노
1. 천의 얼굴의 모노
2. 모노의 민예미: 야나기 무네요시의 모노 이해
3. 조선미의 탄생: 비애미와 모노

제6장 모노노아와레와 감성적 인식론
1. ‘모노노아와레를 아는 것’이란 무엇인가: 주체와 대상의 쌍곡선
2. 감성적 인식론으로서의 모노노아와레론
3. 모노노아와레 공동성: 감정의 제국

제7장 타자론의 관점에서 본 모노노아와레
1. 노리나가 이전의 아와레와 모노노아와레
2. 아와레에서 모노노아와레로: 일본미의 탄생
3. 모노노아와레의 타자론

3부 한국과 일본의 예술
제8장 한국과 일본의 불상 및 건축
1. 석굴암 불상과 광륭사 반가사유상
2. 종묘와 이세신궁

제9장 한국과 일본의 정원
1. 부석사 무량수전과 용안사 돌정원
2. 창덕궁 후원과 소쇄원
3. 가쓰라리큐와 슈가쿠인리큐

제10장 한국과 일본의 문예와 예능
1. 시조와 와카·하이쿠
2. 『춘향전』과 『주신구라』
3. 탈춤과 노

제11장 한국과 일본의 미술
1. 이중섭과 무나카타 시코
2. 민화와 우키요에

4부 한일 도자기의 만남
제12장 한국 도자기의 미학과 일본
1. 고려청자: ‘화이불치’의 푸른 꽃
2. 분청사기: ‘화이부동’의 민중미
3. 조선백자: ‘검이불루’의 선비향

제13장 한일 도자기의 중계자: 규슈의 조선 도공들
1. 규슈의 조선 도공 개관
2. 규슈 북부의 조선 도공과 도자기 마을
3. 규슈 남부의 조선 도공과 도자기 마을

제14장 일본 도자기의 미학과 한국
1. 가키에몬야키·육고요·구타니야키
2. 미노야키와 오리베야키, 교야키와 라쿠야키
3. 이도다완: 일본 속의 조선 도자기를 대표하는 명품 브랜드

5부 한일 미의식의 사상적 밑그림
제15장 한국과 일본의 조화 사상
1. 비교의 정신: 한일 문화의 유사성과 차이
2. 일본형 조화 모델: 「17조헌법」의 화
3. 한국형 조화 모델: 원효의 화쟁
4. 일본형 화와 한국형 화의 접점: 화이부동의 ‘화’를 찾아서

나오는 말: 정신적 균형잡기

후기: 소원 빌기의 아름다움을 위하여
참고 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