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1)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안동·임하댐 저수지 및 주변지역 생태환경조사 [전자자료] : 최종보고서 / 한국수자원공사 인기도
발행사항
대전 : 한국수자원공사, 2013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 가능함
자료실
전자자료
내용구분
연구자료 : 통계
출처
외부기관 원문
면수
600
제어번호
NONB1201606559
주기사항
과제총괄: 이종은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지]

제출문

요약문

목차

제1장 서론 27

1.1. 서론 29

1.2. 생태복원 사례 및 현황 29

1.2. 유역 특성 37

제2장 수중식물 및 주변지역 식생 44

2.1. 서론 45

2.2. 조사방법 46

2.2.1. 조사지점 및 조사지 개황 46

2.2.2. 조사기간 50

2.2.3. 조사 방법 51

2.3. 결과 54

2.3.1. 식물상 54

2.3.2. 안동댐, 임하댐 일대의 대표적인 산림식생 70

2.3.3. 각 권역의 식생 81

2.3.4. 토양환경 124

2.4. 고찰 125

2.4.1. 식물상 125

2.4.2. 식생 127

제3장 저서동물(수서곤충 및 대형무척추동물) 129

3.1. 서론 131

3.2. 조사방법 132

3.2.1. 조사 지점 132

3.2.2. 조사 기간 138

3.2.3. 조사 방법 138

3.3. 결과 및 고찰 139

3.3.1. 저서동물 출현 현황 139

3.3.2. 안동댐 유역의 저서동물상 144

3.3.3. 임하댐 유역의 저서동물상 148

3.3.3. 과거 자료와의 비교 153

3.3.4. 고유종 및 국외반출승인대상종 154

3.4. 주요 출현종 및 관리방안 155

3.4.1. 주요 출현종 156

3.4.2. 관리 방안 160

3.5. 생태계 복원 방안 161

3.6. 요약 163

제4장 육상곤충 165

4.1. 서론 167

4.2. 조사방법 167

4.2.1. 조사 지점 167

4.2.2. 조사 기간 172

4.2.3. 조사 방법 173

4.3. 결과 및 고찰 174

4.3.1. 조사 지점의 곤충상 174

4.3.2. 안동댐 유역의 곤충상 178

4.3.3. 임하댐 유역의 곤충상 182

4.3.4. 과거 자료와의 비교 185

4.3.4. 보호종 및 위해성 곤충 186

4.4. 주요 출현종 및 관리방안 187

4.4.1. 주요 출현종 187

4.4.2. 관리 방안 188

4.5. 생태계 복원 방안 189

4.6. 요약 190

제5장 어류 191

5.1. 서론 193

5.2. 조사방법 194

5.2.1. 조사 지점 194

5.2.2. 조사 기간 198

5.2.3. 조사 방법 198

5.3. 결과 및 고찰 201

5.3.1. 어류상 201

5.3.2. 군집분석 209

5.3.3. 유사도 분석 211

5.3.4. 주요 어종의 성장도 및 비만도지수 211

5.3.5. 과거 자료와의 비교 219

5.4. 주요 출현종 및 관리방안 220

5.4.1. 법정보호종 현황 및 보전방안 221

5.4.2. 주요 출현종 221

5.5. 어류 생태계 복원 방안 223

5.5.1. 산란터 및 은신처 조성 223

5.5.2. 어류 인공 방류 224

5.5.3. 외래종 관리 225

5.6. 요약 226

제6장 양서·파충류 227

6.1. 서론 229

6.2. 조사방법 230

6.2.1. 조사 지점 230

6.2.2. 조사 시기 235

6.2.3. 조사분석의 계획수립 235

6.2.4. 현장 조사 방법 235

6.3. 결과 및 고찰 239

6.3.1. 양서·파충류상(Herpetofauna) 239

6.3.2. 법적보호종 및 희귀종 현황 247

6.3.3. 2003년 기존보고서 비교 및 종 변동원인 분석 248

6.4. 생태계 서식처(살이터) 복원방안 250

6.4.1. 양서류의 생태적 특성 251

6.4.2. 서식처 조성기법 251

6.4.3. 서식처의 위치 253

6.4.4. 서식처 규모 및 생물 생태공학적인 조성기법 254

6.5. 복원대상종 선정 및 서식처 복원 방안 256

제7장 포유류 257

7.1. 서론 259

7.2. 조사방법 259

7.2.1. 조사 지역 259

7.2.2. 조사 일시 260

7.2.3. 조사 방법 261

7.3. 결과 및 고찰 262

7.3.1. 안동·임하댐의 포유류 262

7.3.2. 선행 연구결과 비교 281

7.4. 주요출현종 및 보전방안 282

7.4.1. 법적보호종 현황 및 보전방안 282

7.4.2. 출현종의 서식현황 283

7.5. 생태계 복원 방안 286

7.6. 요약 288

제8장 조류 291

8.1. 서론 293

8.2. 조사방법 293

8.2.1. 조사 지점 293

8.2.2. 조사 기간 298

8.2.3. 조사 방법 298

8.3. 결과 및 고찰 300

8.3.1. 춘계 조사 300

8.3.2. 하계 조사 301

8.3.3. 추계 조사 302

8.3.4. 동계 조사 303

8.3.5. 번식지 조사 304

8.3.6. 법정보호조류 서식 현황 305

8.3.7. 권역별 결과 및 종합 결과 307

8.4. 2003년 결과와의 비교 310

8.4.1. 조사지역별 비교 311

8.4.2. 보호조류 출현 현황 비교 320

8.4.3. 종합 비교 321

8.5. 조류 관찰 및 교육 장소 활용 323

8.5.1. 안동댐 관리사무소 앞 323

8.5.2. 안동요양병원 앞 반변천 324

8.5.3. 오천리 백로번식지 325

8.6. 종합 고찰 325

제9장 생태보전 및 복원 방안 수립 327

9.1. 서론 329

9.2. 유역별 대표종의 생태적 특성 329

9.2.1. 안동댐 유역의 대표종 329

9.2.2. 임하댐 유역의 대표종 345

9.3. 법적 보호종 및 생태계 위해종 출현 현황 및 보호 대책 359

9.3.1. 전체 유역의 특정종 출현 현황 359

9.3.2. 출현 특정종의 생태적 특성 및 관리 대책 360

9.4. 생태계 장기 변화 양상 및 향후 보전대책 385

9.4.1. 과거 자료 비교 385

9.4.2. 지점별 종 출현 현황 분석 393

9.4.3. 출현 종 변화 396

9.4.4. 향후 생태환경 보전 방향 401

9.5. 복원대상 생물종 및 서식처 복원방안 401

9.5.1. 복원대상 생물종 선정 401

9.5.2. 복원대상 서식처 선정 422

9.6. 종합적 보전·복원 대책 436

참고문헌 444

부록 451

〈부록 1〉 안동댐, 임하댐 일대에서 조사된 관속식물목록(1/27) 453

〈부록 2〉 안동댐, 임하댐 일대 산림식생의 식생표①(1/7) 480

〈부록 3〉 안동댐, 임하댐 일대 산림식생의 식생표②(1/7) 487

〈부록 4〉 안동댐 유역 저서동물 총 목록(1/9) 494

〈부록 5〉 임하댐 유역 저서동물 총 목록(1/8) 503

〈부록 6〉 안동댐 유역 곤충 총 목록(1/13) 511

〈부록 7〉 임하댐 유역 곤충 총 목록(1/13) 524

〈부록 8〉 1차 조사 어류상(안동댐 수계) 537

〈부록 9〉 1차 조사 어류상(임하댐 수계) 538

〈부록 10〉 2차 조사 어류상(안동댐 수계) 539

〈부록 11〉 2차 조사 어류상(임하댐 수계) 540

〈부록 12〉 3차 조사 어류상(안동댐 수계) 541

〈부록 13〉 3차 조사 어류상(임하댐 수계) 542

〈부록 14〉 4차 조사 어류상(안동댐 수계) 543

〈부록 15〉 4차 조사 어류상(임하댐 수계) 544

〈부록 16〉 춘계조사에서 관찰된 조류 목록(1/4) 545

〈부록 17〉 하계조사에서 관찰된 조류 목록(1/3) 549

〈부록 18〉 추계조사에서 관찰된 조류 목록(1/3 552

〈부록 19〉 동계조사에서 관찰된 조류 목록(1/4) 555

〈부록 20〉 안동댐 권역에서 관찰된 조류 목록(1/3) 559

〈부록 21〉 임하댐 권역에서 관찰된 조류 목록(1/3) 562

〈부록 22〉 조사지역에서 관찰된 전체 조류 목록(1/3) 565

〈부록 23〉 안동댐과 임하댐에서 관찰된 조류 총 목록(1/4) 568

〈부록 24〉 조사지점별 관찰된 조류 목록(1/5) 572

〈부록 25〉 안동댐, 임하댐 일대의 주요 식물종 사진(1/3) 577

〈부록 26〉 안동댐, 임하댐 일대의 산림식생 580

〈부록 27〉 안동댐, 임하댐 일대의 수변지역 식생 군락(1/2) 581

〈부록 28〉 주요 저서동물 사진(1/5) 583

〈부록 29〉 주요 출현 곤충 사진(1/3) 588

〈부록 30〉 주요 출현 어종 사진(1/2) 591

〈부록 31〉 주요 출현 양서·파충류 593

〈부록 32〉 조사 지역에서 관찰된 포유류 및 흔적(1/2) 594

〈부록 33〉 춘계 조사시 관찰된 조류 사진 597

〈부록 34〉 하계 조사시 관찰된 조류 사진 598

〈부록 35〉 추계 조사시 관찰된 조류 사진 599

〈부록 36〉 동계 조사시 관찰된 조류 사진 600

〈표 1.1〉 금어천 유역의 생태복원 사례 32

〈표 1.2〉 수생식물 처리 효율 조사결과 35

〈표 1.3〉 안동·임하댐 치어 방류 현황(2000~2012) 37

〈표 1.4〉 댐호와 자연호소의 수리조건 비교 37

〈표 1.5〉 댐호소 상류와 하류의 생태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8

〈표 1.6〉 안동 지역의 연간 기온 현황(2000~2013) 40

〈표 1.7〉 안동 지역의 연간 강수량 현황(2000~2013) 41

〈표 2.1〉 식물상 및 식생 조사 지점 48

〈표 2.2〉 권역별 세부지형 및 조사지 전경 48

〈표 2.3〉 안동댐, 임하댐 일대의 세부조사 일정 51

〈표 2.4〉 우점도(D)의 계급 판정기준 52

〈표 2.5〉 전추정법에 의한 군도(S)계급의 판정 52

〈표 2.6〉 녹지자연도 등급의 사정기준 53

〈표 2.7〉 녹지자연도에 따른 현존량과 순생산량의 사정기준 53

〈표 2.8〉 안동댐 일대에서 조사된 관속식물 수 58

〈표 2.9〉 안동댐 일대에서 조사된 특산식물 58

〈표 2.10〉 안동댐 일대에서 조사된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야생식물 59

〈표 2.11〉 안동댐 일대에서 조사된 환경부 지정 특정식물종 59

〈표 2.12〉 안동댐 일대에서 조사된 귀화식물 60

〈표 2.13〉 임하댐 일대에서 조사된 관속식물 수 65

〈표 2.14〉 임하댐 일대에서 조사된 특산식물 65

〈표 2.15〉 임하댐 일대에서 조사된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야생식물 66

〈표 2.16〉 임하댐 일대에서 조사된 환경부 지정 특정식물종 66

〈표 2.17〉 임하댐 일대에서 조사된 귀화식물 67

〈표 2.18〉 안동댐 일대의 관속식물 휴면형 68

〈표 2.19〉 안동댐 일대의 관속식물 번식형 68

〈표 2.20〉 안동댐 일대의 관속식물 생육형 68

〈표 2.21〉 임하댐 일대의 관속식물 휴면형 69

〈표 2.22〉 임하댐 일대의 관속식물 번식형 69

〈표 2.23〉 임하댐 일대의 관속식물 생육형 69

〈표 2.24〉 안동댐 1권역의 현존식생 분포면적 및 분포비율 83

〈표 2.25〉 안동댐 1권역의 녹지자연도에 의한 현존량 및 순생산량 85

〈표 2.26〉 안동댐 2권역의 현존식생 분포면적 및 분포비율 87

〈표 2.27〉 안동댐 2권역의 녹지자연도에 의한 현존량 및 순생산량 88

〈표 2.28〉 안동댐 3권역의 현존식생 분포면적 및 분포비율 90

〈표 2.29〉 안동댐 3권역의 녹지자연도에 의한 현존량 및 순생산량 92

〈표 2.30〉 안동댐 4권역의 현존식생 분포면적 및 분포비율 94

〈표 2.31〉 안동댐 4권역의 녹지자연도에 의한 현존량 및 순생산량 95

〈표 2.32〉 안동댐 5권역의 현존식생 분포면적 및 분포비율 97

〈표 2.33〉 안동댐 5권역의 녹지자연도에 의한 현존량 및 순생산량 99

〈표 2.34〉 안동댐 6권역의 현존식생 분포면적 및 분포비율 101

〈표 2.35〉 안동댐 6권역의 녹지자연도에 의한 현존량 및 순생산량 102

〈표 2.36〉 임하댐 7권역의 현존식생 분포면적 및 분포비율 104

〈표 2.37〉 임하댐 7권역의 녹지자연도에 의한 현존량 및 순생산량 106

〈표 2.38〉 임하댐 8권역의 현존식생 분포면적 및 분포비율 108

〈표 2.39〉 임하댐 8권역의 녹지자연도에 의한 현존량 및 순생산량 109

〈표 2.40〉 임하댐 9권역의 현존식생 분포면적 및 분포비율 111

〈표 2.41〉 임하댐 9권역의 녹지자연도에 의한 현존량 및 순생산량 113

〈표 2.42〉 임하댐 10권역의 현존식생 분포면적 및 분포비율 115

〈표 2.43〉 임하댐 10권역의 녹지자연도에 의한 현존량 및 순생산량 117

〈표 2.44〉 임하댐 11권역의 현존식생 분포면적 및 분포비율 119

〈표 2.45〉 임하댐 11권역의 녹지자연도에 의한 현존량 및 순생산량 120

〈표 2.46〉 임하댐 12권역의 현존식생 분포면적 및 분포비율 122

〈표 2.47〉 임하댐 12권역의 녹지자연도에 의한 현존량 및 순생산량 124

〈표 2.48〉 조사지역의 대표적인 산림군락별 토양의 화학적 특성 125

〈표 3.1〉 저서동물 조사 지점 131

〈표 3.2〉 저서동물 출현 현황(2012∼2013) 140

〈표 3.3〉 각 조사지점 별 우점종 및 아우점종 현황 143

〈표 3.4〉 지점 및 시기별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군집지수 현황 144

〈표 3.5〉 안동댐 유역의 분류군별 종수 145

〈표 3.6〉 안동댐 유역의 분류군별 개체수 146

〈표 3.7〉 임하댐 유역의 분류군별 종수 150

〈표 3.8〉 임하댐 유역의 분류군별 개체수 150

〈표 3.9〉 연도별 저서동물 출현 종수 비교 154

〈표 3.10〉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지점별 보호종 현황 155

〈표 3.11〉 애반딧불이 서식조건 162

〈표 4.1〉 육상곤충 조사 지점 167

〈표 4.2〉 안동댐 및 임하댐 유역 육상곤충상 175

〈표 4.3〉 곤충 우점종 및 아우점종 현황 176

〈표 4.4〉 지점 및 시기별 곤충 군집지수 현황 178

〈표 4.5〉 안동댐 유역의 분류군별 곤충 종수 179

〈표 4.6〉 안동댐 유역의 분류군별 곤충 개체수 179

〈표 4.7〉 임하댐 유역의 분류군별 곤충 종수 182

〈표 4.8〉 임하댐 유역의 분류군별 곤충 개체수 183

〈표 4.9〉 연도별 출현 곤충 종수 비교 186

〈표 4.10〉 지점별 보호종 및 위해곤충 종수 186

〈표 5.1〉 어류 조사 지점 195

〈표 5.2〉 2012-13년 1-4차 총괄 어류상(안동댐 수계) 203

〈표 5.3〉 2012-13년 1-4차 총괄 어류상(임하댐 수계) 205

〈표 5.4〉 조사 시기 및 지점별 우점종 및 아우점종 현황 206

〈표 5.5〉 지점 및 시기별 어류 군집지수 현황 210

〈표 5.6〉 안동호와 임하호 붕어의 채집시기별 전장 및 체중 212

〈표 5.7〉 안동호와 임하호 붕어의 채집시기별 비만도지수 기울기 변화 212

〈표 5.8〉 안동호와 임하호 누치의 채집시기별 전장 및 체중 214

〈표 5.9〉 안동호와 임하호 누치의 채집시기별 비만도지수 기울기 변화 214

〈표 5.10〉 안동호와 임하호 끄리의 채집시기별 전장 및 체중 216

〈표 5.11〉 안동호와 임하호 끄리의 채집시기별 비만도지수 기울기 변화 216

〈표 5.12〉 안동호와 임하호 피라미의 채집시기별 전장 및 체중 218

〈표 5.13〉 안동호와 임하호 피라미의 채집시기별 비만도지수 기울기 변화 218

〈표 5.14〉 어류 분야 법정보호종 서식 현황 221

〈표 6.1〉 안동댐 조사대상지역의 현황과 개황(2002/2012년) 231

〈표 6.2〉 안동댐 조사대상지역의 현황과 개황(2013년) 232

〈표 6.3〉 임하댐 조사대상지역의 현황과 개황 233

〈표 6.4〉 임하댐 조사대상지역의 현황과 개황 234

〈표 6.5〉 안동댐 주변 일대의 양서·파충류상 및 특이사항(1/4분기:1차 조사) 240

〈표 6.6〉 안동댐 주변 일대의 양서·파충류상 및 특이사항(2/4분기:2차 조사) 240

〈표 6.7〉 안동댐 주변 일대의 양서·파충류상 및 특이사항('12년 1단계 종합) 241

〈표 6.8〉 안동댐 주변 일대의 양서·파충류상 및 특이사항('13년 2단계: 3차 조사) 242

〈표 6.9〉 안동댐 주변 일대의 양서·파충류상 및 특이사항('13년 2단계: 4차 조사) 243

〈표 6.10〉 임하댐 주변 일대의 양서·파충류상 및 특이사항(1/4분기:1차 조사 244

〈표 6.11〉 임하댐 주변 일대의 양서·파충류상 및 특이사항(2/4분기:2차 조사) 244

〈표 6.12〉 임하댐 주변 일대의 양서·파충류상 및 특이사항('12년 1단계 종합) 245

〈표 6.13〉 임하댐 주변 일대의 양서·파충류상 및 특이사항('13년 2단계: 3차 조사) 246

〈표 6.14〉 임하댐 주변 일대의 양서·파충류상 및 특이사항('13년 2단계: 4차 조사) 246

〈표 6.15〉 환경부 보호종의 서식장소, 서식처 유형 및 관리방안('12~'13년 결과) 247

〈표 6.16〉 2003년 보고서와 본 조사 결과의 양서·파충류상 비교/분석(안동댐) 248

〈표 6.17〉 2003년 보고서와 본 조사 결과의 양서·파충류상 비교/분석(임하댐) 249

〈표 6.18〉 안동댐·임하댐 주변 일대의 연도별 양서·파충류상 종수 비교 249

〈표 6.19〉 중점 관리 대상지역 및 관리방안 250

〈표 6.20〉 양서류 적정 서식환경 지표 252

〈표 6.21〉 양서류 서식처 조성시 고려사항 253

〈표 6.22〉 복원·서식가능한 종과 서식조건 256

〈표 7.1〉 안동·임하댐 지역의 포유류 서식목록 263

〈표 7.2〉 1권역 일대의 포유류 서식목록 264

〈표 7.3〉 2권역 일대의 포유류 서식목록 265

〈표 7.4〉 3권역 일대의 포유류 서식목록 268

〈표 7.5〉 4권역 일대의 포유류 서식목록 269

〈표 7.6〉 5권역 일대의 포유류 서식목록 271

〈표 7.7〉 6권역 일대의 포유류 서식목록 271

〈표 7.8〉 7권역 일대의 포유류 서식목록 274

〈표 7.9〉 8권역 일대의 포유류 서식목록 275

〈표 7.10〉 9권역 일대의 포유류 서식목록 276

〈표 7.11〉 10권역 일대의 포유류 서식목록 278

〈표 7.12〉 11권역 일대의 포유류 서식목록 280

〈표 7.13〉 12권역 일대의 포유류 서식목록 281

〈표 7.14〉 포유류 선행 연구결과 비교 282

〈표 7.15〉 포유류 법적보호종 서식 현황 283

〈표 8.1〉 조류 조사 지점 294

〈표 8.2〉 법정보호조류 목록 및 관찰 지점 306

〈표 8.3〉 안동댐과 임하댐 권역에서 관찰된 조류상 비교 310

〈표 8.4〉 안동댐 2002-2003 조사와 2012-2013 조사의 결과 비교 311

〈표 8.5〉 안동댐의 목(order)별 종 수 및 개체수 비교 312

〈표 8.6〉 안동댐 2002-2003 조사와 2012-2013 조사의 우점종 비교 313

〈표 8.7〉 Site 1 지역 2002-2003 조사와 2012-2013 조사의 결과 비교 313

〈표 8.8〉 Site 2 지역 2002-2003 조사와 2012-2013 조사의 결과 비교 314

〈표 8.9〉 Site 3 지역 2002-2003 조사와 2012-2013 조사의 결과 비교 314

〈표 8.10〉 Site 4 지역 2002-2003 조사와 2012-2013 조사의 결과 비교 315

〈표 8.11〉 Site 5 지역 2002-2003 조사와 2012-2013 조사의 결과 비교 315

〈표 8.12〉 Site 6 지역 2002-2003 조사와 2012-2013 조사의 결과 비교 316

〈표 8.13〉 임하댐 2002-2003 조사와 2012-2013 조사의 우점종 비교 316

〈표 8.14〉 임하댐의 목(order)별 종 수 및 개체수 비교 317

〈표 8.15〉 임하댐 2002-2003 조사와 2012-2013 조사의 우점종 비교 318

〈표 8.16〉 Site 7 지역 2002-2003 조사와 2012-2013 조사의 결과 비교 318

〈표 8.17〉 Site 8 지역 2002-2003 조사와 2012-2013 조사의 결과 비교 318

〈표 8.18〉 Site 9 지역 2002-2003 조사와 2012-2013 조사의 결과 비교 319

〈표 8.19〉 Site 10 지역 2002-2003 조사와 2012-2013 조사의 결과 비교 319

〈표 8.20〉 Site 11 지역 2002-2003 조사와 2012-2013 조사의 결과 비교 320

〈표 8.21〉 Site 12 지역 2002-2003 조사와 2012-2013 조사의 결과 비교 320

〈표 8.22〉 2002-2003 조사와 2012-2013 조사에서 관찰된 법정보호조류 목록... 321

〈표 8.23〉 2002-2003 조사와 2012-2013 조사의 우점종 비교 322

〈표 8.24〉 연도별 출현 조류의 목(order)별 종수 및 개체수 비교 323

〈표 9.1〉 두꺼비 일년살이 달력 337

〈표 9.2〉 자라 일년살이 달력 339

〈표 9.3〉 북방산개구리 일년살이 달력 340

〈표 9.4〉 능구렁이 일년살이 달력 352

〈표 9.5〉 까치살모사 일년살이 달력 353

〈표 9.6〉 도롱뇽의 일년살이 달력 355

〈표 9.7〉 분류군별 보호종 및 고유종 출현 현황 (2013년 현재 보호종 목록 기준) 360

〈표 9.8〉 구렁이 일년살이 달력 374

〈표 9.9〉 구렁이의 세부 보호 대책 374

〈표 9.10〉 남생이 일년살이 달력 375

〈표 9.11〉 남생이 세부 보호 대책 376

〈표 9.12〉 맹꽁이 일년살이 달력 378

〈표 9.13〉 맹꽁이 세부 보호 대책 378

〈표 9.14〉 분류군별 종수 및 개체수 현황 385

〈표 9.15〉 연도별 저서동물 출현 종수 비교 386

〈표 9.16〉 연도별 출현 곤충 종수 비교 388

〈표 9.17〉 연도별 출현 어종 종수 비교 388

〈표 9.18〉 안동댐 및 임하댐 일대의 연도별 양서·파충류 종수 비교 389

〈표 9.19〉 안동댐 유역의 연도별 출현 종 비교 389

〈표 9.20〉 임하댐 유역의 연도별 출현 종 비교 390

〈표 9.21〉 연도별 출현 포유류 비교 391

〈표 9.22〉 연도별 출현 조류 종수 및 개체수 비교 392

〈표 9.23〉 연도별 출현 조류의 목(order)별 종수 및 개체수 비교 392

〈표 9.24〉 2002-2003 조사와 2012-2013 조사의 우점종 비교 393

〈표 9.25〉 안동댐 유역 지점별 저서동물 출현 종수비교 394

〈표 9.26〉 임하댐 유역 지점별 저서동물 출현 종수비교 394

〈표 9.27〉 2002-2003 조사와 2012-2013 조사에서 관찰된 법정보호조류 목록 400

〈표 9.28〉 복원대상 식물종 우선순위 405

〈표 9.29〉 복원대상 저서동물 종 우선순위 410

〈표 9.30〉 복원대상 곤충종 우선순위 413

〈표 9.31〉 금개구리 일년살이 달력 417

〈표 9.32〉 금개구리 서식처 유형 418

〈표 9.33〉 복원대상 포유류 종 우선순위 422

〈표 9.34〉 안동댐 유역의 식물 종 조성 현황에 따른 지점별 우선순위 422

〈표 9.35〉 임하댐 유역의 식물 종 조성 현황에 따른 지점별 우선순위 423

〈표 9.36〉 안동댐 유역의 저서동물 종 조성 현황에 따른 지점별 우선 순위 424

〈표 9.37〉 임하댐 유역의 저서동물 종 조성 현황에 따른 지점별 우선순위 427

〈표 9.38〉 안동댐 유역의 곤충 종 조성 현황에 따른 지점별 우선순위 428

〈표 9.39〉 임하댐 유역의 곤충 종 조성 현황에 따른 지점별 우선순위 428

〈표 9.40〉 안동댐 유역의 어종 종 조성 현황에 따른 지점별 우선 순위 429

〈표 9.41〉 임하댐 유역의 어종 종 조성 현황에 따른 지점별 우선 순위 429

〈표 9.42〉 안동댐 유역의 양서·파충류 종 조성 현황에 따른 지점별 우선 순위 430

〈표 9.43〉 임하댐 유역의 양서·파충류 종 조성 현황에 따른 지점별 우선 순위 430

〈표 9.44〉 안동댐 유역의 포유류 종 조성 현황에 따른 지점별 우선순위 431

〈표 9.45〉 임하댐 유역의 포유류 종 조성 현황에 따른 지점별 우선순위 431

(그림 1.1) 비오톱 조성 현장. 30

(그림 1.2) 경안천 비오톱 조성 전(左), 후(右) 경관 및 조감도. 30

(그림 1.3) 대구수목원 전경. 31

(그림 1.4) 복원된 학의천 전경. 31

(그림 1.5) 1943년(左)과 1991년(右)의 Kentucky호 유역. 33

(그림 1.6) Careless천의 침식이 진행된 제방(左, 中) 및 복원 진행 중인 제방(右). 33

(그림 1.7) Kissimmee강 복원 후 전경 및 관련 사이트. 34

(그림 1.8) 1940년 Sepulveda댐 건설 현장(左) 및 현재의 유역 환경(右). 34

(그림 1.9) 진보면 수생식물 재배지. 36

(그림 1.10) 임하호 부유식 어류산란시설 현황. 36

(그림 1.11) 댐 생태계 피라미드 39

(그림 1.12) 안동호, 임하호 유역 지질도 39

(그림 1.13) 한국 기후도(1981-2010) 40

(그림 1.14) 안동댐과 임하댐의 연간 수온 변화.(그림없음) 42

(그림 1.15) 안동댐과 임하댐의 연간 pH 변화.(그림없음) 42

(그림 1.16) 안동댐과 임하댐의 연간 부유물질량(SS) 및 강수량 변화.(그림없음) 43

(그림 2.1) 식물상 및 식생 조사 지점. 47

(그림 2.2) 일본잎갈나무 식재림군락 대표적인 식생단면모식도. 70

(그림 2.3) 리기다소나무 식재림군락 대표적인 식생단면모식도. 72

(그림 2.4) 아까시나무 식재림군락 대표적인 식생단면모식도. 73

(그림 2.5) 아까시나무-굴참나무-소나무 혼효림 대표적인 식생단면모식도. 75

(그림 2.6) 소나무 군락 대표적인 식생단면모식도. 77

(그림 2.7) 굴참나무 군락 대표적인 식생단면모식도. 79

(그림 2.8) 상수리나무 군락 대표적인 식생단면모식도. 80

(그림 2.9) 갈참나무 군락 대표적인 식생단면모식도. 81

(그림 2.10) 안동댐 1권역의 수변지역의 현존식생도. 82

(그림 2.11) 안동댐 1권역 수변지역의 대표적인 식생단면모식도. 82

(그림 2.12) 안동댐 1권역의 현존식생도. 84

(그림 2.13) 안동댐 1권역의 녹지자연도. 84

(그림 2.14) 안동댐 2권역의 수변지역의 현존식생도. 86

(그림 2.15) 안동댐 2권역 수변지역의 대표적인 식생단면모식도 86

(그림 2.16) 안동댐 2권역의 현존식생도. 87

(그림 2.17) 안동댐 2권역의 녹지자연도. 88

(그림 2.18) 안동댐 3권역의 수변지역의 현존식생도. 89

(그림 2.19) 안동댐 3권역 수변지역의 대표적인 식생단면모식도. 89

(그림 2.20) 안동댐 3권역의 현존식생도. 91

(그림 2.21) 안동댐 3권역의 녹지자연도. 91

(그림 2.22) 안동댐 4권역의 수변지역의 현존식생도. 92

(그림 2.23) 안동댐 4권역 수변지역의 대표적인 식생단면모식도. 92

(그림 2.24) 안동댐 4권역의 현존식생도. 94

(그림 2.25) 안동댐 4권역의 녹지자연도. 95

(그림 2.26) 안동댐 5권역의 수변지역의 현존식생도. 96

(그림 2.27) 안동댐 5권역 수변지역의 대표적인 식생단면모식도. 96

(그림 2.28) 안동댐 5권역의 현존식생도. 98

(그림 2.29) 안동댐 5권역의 녹지자연도. 98

(그림 2.30) 안동댐 6권역의 수변지역의 현존식생도. 100

(그림 2.31) 안동댐 6권역 수변지역의 대표적인 식생단면모식도. 100

(그림 2.32) 안동댐 6권역의 현존식생도. 101

(그림 2.33) 안동댐 6권역의 녹지자연도. 102

(그림 2.34) 임하댐 7권역의 수변지역의 현존식생도. 103

(그림 2.35) 임하댐 7권역 수변지역의 대표적인 식생단면모식도. 103

(그림 2.36) 임하댐 7권역의 현존식생도. 105

(그림 2.37) 임하댐 7권역의 녹지자연도. 105

(그림 2.38) 임하댐 8권역의 수변지역의 현존식생도. 107

(그림 2.39) 임하댐 8권역 수변지역의 대표적인 식생단면모식도. 107

(그림 2.40) 임하댐 8권역의 현존식생도. 108

(그림 2.41) 임하댐 8권역의 녹지자연도. 109

(그림 2.42) 임하댐 9권역의 수변지역의 현존식생도. 110

(그림 2.43) 임하댐 9권역 수변지역의 대표적인 식생단면모식도. 110

(그림 2.44) 임하댐 9권역의 현존식생도. 112

(그림 2.45) 임하댐 9권역의 녹지자연도. 112

(그림 2.46) 임하댐 10권역의 수변지역의 현존식생도. 114

(그림 2.47) 임하댐 10권역 수변지역의 대표적인 식생단면모식도. 114

(그림 2.48) 임하댐 10권역의 현존식생도. 116

(그림 2.49) 임하댐 10권역의 녹지자연도. 116

(그림 2.50) 임하댐 11권역의 수변지역의 현존식생도. 118

(그림 2.51) 임하댐 11권역 수변지역의 대표적인 식생단면모식도. 118

(그림 2.52) 임하댐 11권역의 현존식생도. 119

(그림 2.53) 임하댐 11권역의 녹지자연도. 120

(그림 2.54) 임하댐 12권역의 수변지역의 현존식생도. 121

(그림 2.55) 임하댐 12권역 수변지역의 대표적인 식생단면모식도. 121

(그림 2.56) 임하댐 12권역의 현존식생도. 123

(그림 2.57) 임하댐 12권역의 녹지자연도. 123

(그림 3.1) 안동·임하댐 저서동물 조사지점. 132

(그림 3.2) St. 1지점 전경(좌) 및 하상(우). 133

(그림 3.3) St. 2지점 전경(좌) 및 하상(우). 133

(그림 3.4) St. 3지점 전경(좌) 및 하상(우). 134

(그림 3.5) St. 4지점 전경(좌) 및 하상(우). 134

(그림 3.6) St. 5지점 전경(좌) 및 하상(우). 134

(그림 3.7) St. 6지점 전경(좌) 및 하상(우). 135

(그림 3.8) St. 7지점 전경(좌) 및 하상(우). 135

(그림 3.9) St. 8지점 전경(좌) 및 하상(우). 136

(그림 3.10) St. 9지점 전경(좌) 및 하상(우). 136

(그림 3.11) St. 10지점 전경(좌) 및 하상(우). 136

(그림 3.12) St. 11지점 전경(좌) 및 하상(우). 137

(그림 3.13) St. 12지점 전경(좌) 및 하상(우). 137

(그림 3.14) 조사시기별 출현 종수 및 개체수. 140

(그림 3.15) 분류군별 종수 및 개체수 비율. 141

(그림 3.16) 안동댐 유역 지점별 출현 종수 및 개체수. 145

(그림 3.17) 안동댐 유역 분류군별 종수 비율. 147

(그림 3.18) 안동댐 유역 분류군별 개체수 비율. 147

(그림 3.19) 안동댐 유역 지점별 군집지수. 149

(그림 3.20) 임하댐 유역 지점별 출현 종수 및 개체수. 149

(그림 3.21) 임하댐 유역 분류군별 종수 비율. 151

(그림 3.22) 임하댐 유역 분류군별 개체수 비율. 152

(그림 3.23) 임하댐 유역 지점별 군집지수. 153

(그림 3.24) 2003년 안동·임하 조사 보고 분류군별 분포. 154

(그림 3.25) 애반딧불이. 162

(그림 4.1) 안동댐 및 임하댐 일대 육상곤충 조사지점. 168

(그림 4.2) St. 1지점 전경. 169

(그림 4.3) St. 2지점 전경. 169

(그림 4.4) St. 3지점 전경. 169

(그림 4.5) St. 4지점 전경. 170

(그림 4.6) St. 5지점 전경. 170

(그림 4.7) St. 6지점 전경. 170

(그림 4.8) St. 7지점 전경. 171

(그림 4.9) St. 8지점 전경. 171

(그림 4.10) St. 9지점 전경. 171

(그림 4.11) St. 10지점 전경. 172

(그림 4.12) St. 11지점 전경. 172

(그림 4.13) St. 12지점 전경. 172

(그림 4.14) 조사시기별 곤충 출현 종수 및 개체수. 174

(그림 4.15) 분류군별 곤충 종수 및 개체수 비율. 175

(그림 4.16) 안동댐 유역 각 지점의 분류군별 출현 종수 비율. 180

(그림 4.17) 안동댐 유역 각 지점의 분류군별 출현 개체수 비율. 180

(그림 4.18) 안동댐 유역의 지점별 군집지수. 181

(그림 4.19) 임하댐 유역 각 지점의 분류군별 출현 종수 비율. 183

(그림 4.20) 임하댐 유역 각 지점의 분류군별 출현 개체수 비율. 184

(그림 4.21) 임하댐 유역의 지점별 군집지수. 185

(그림 4.22) 사향제비나비. 189

(그림 5.1) 안동댐 및 임하댐 일대 어류 조사지점. 194

(그림 5.2) St. 1 전경. 195

(그림 5.3) St. 2 전경. 195

(그림 5.4) St. 3 전경. 196

(그림 5.5) St. 4 전경. 196

(그림 5.6) St. 5 전경. 196

(그림 5.7) St. 6 전경 196

(그림 5.8) St. 7 전경. 197

(그림 5.9) St. 8 전경. 197

(그림 5.10) St. 9 전경. 197

(그림 5.11) St. 10 전경. 197

(그림 5.12) St. 11 전경. 198

(그림 5.13) St. 12 전경. 198

(그림 5.14) 시기별 어류 종수 및 개체수. 201

(그림 5.15) 지점별 어류 종수 및 개체수. 201

(그림 5.16) 분류군별 어류 출현 종수 비율. 208

(그림 5.17) 분류군별 어류 출현 개체수 비율. 209

(그림 5.18) 지점 및 시기별 군집지수 그래프. 209

(그림 5.19) 지점별 출현 어류 유사도. 211

(그림 5.20) 안동호와 임하호 붕어의 채집시기별 성장도지수 변화. 212

(그림 5.21) 붕어의 전장-체중 상관관계 및 비만도지수. 213

(그림 5.22) 안동호와 임하호 누치의 채집시기별 성장도지수 변화. 214

(그림 5.23) 누치의 전장-체중 상관관계 및 비만도지수. 215

(그림 5.24) 안동호와 임하호 끄리의 채집시기별 성장도지수 변화. 216

(그림 5.25) 끄리의 전장-체중 상관관계 및 비만도지수. 217

(그림 5.26) 안동호와 임하호 피라미의 채집시기별 성장도지수 변화. 218

(그림 5.27) 피라미의 전장-체중 상관관계 및 비만도지수. 219

(그림 6.1) 양서·파충류 조사 지점. 230

(그림 6.2) 생태계 조사·분석의 계획수립 단계. 235

(그림 6.3) 무미양서류 채집도구 및 채집방법. 236

(그림 6.4) 유미양서류 채집도구. 236

(그림 6.5) 장지뱀(도마뱀)類 채집용 Grabber. 237

(그림 6.6) 蛇類 채집도구 유형. 237

(그림 6.7) 蛇類 보관방법. 238

(그림 6.8) 거북류 Track 식별. 239

(그림 6.9) 도마뱀(장지뱀)류 Track 식별. 239

(그림 6.10) 장지뱀류 허물 형태. 239

(그림 6.11) 뱀류 허물 형태. 239

(그림 6.12) 양서·파충류를 중심으로 하는 먹이연쇄도. 250

(그림 6.13) 양서류의 연간 생활사. 251

(그림 6.14) 생물·생태공학적인 저습지조성 기법. 254

(그림 6.15) 비오톱 유형 모식도. 255

(그림 6.16) 댐 수변부 저수로 형태. 255

(그림 6.17) 댐 수변부 Two-Pond or Four-Pond System에 의한 저습지 모형. 256

(그림 7.1) 포유류 조사지역. 260

(그림 7.2) 소형포유류 포획 Trap. 261

(그림 7.3) 설치된 Sensor Camera. 261

(그림 7.4) 1권역의 포유류 출현 위치도. 264

(그림 7.5) 2권역의 포유류 출현 위치도. 266

(그림 7.6) 3권역의 포유류 출현 위치도. 267

(그림 7.7) 4권역의 포유류 출현 위치도. 269

(그림 7.8) 5권역의 포유류 출현 위치도. 270

(그림 7.9) 6권역의 포유류 출현 위치도. 272

(그림 7.10) 7권역의 포유류 출현 위치도 . 273

(그림 7.11) 8권역의 포유류 출현 위치도. 275

(그림 7.12) 9권역의 포유류 출현 위치도. 277

(그림 7.13) 10권역의 포유류 출현 위치도. 278

(그림 7.14) 11권역의 포유류 출현 위치도. 279

(그림 7.15) 12권역의 포유류 출현 위치도. 280

(그림 7.16) 교량에서 휴식을 취하고 있는 관박쥐(左)와 문둥이박쥐(右). 288

(그림 7.17) 멧밭쥐의 둥지(左)와 훼손된 하천 수계지역(右). 288

(그림 7.18) 생태통로로 활용 가능한 암거(左)와 암거 내 수달 배설물(右). 288

(그림 8.1) 안동댐 및 임하댐 일대 조류 조사지점. 294

(그림 8.2) 안동댐 유역 조사 지역 사진. 296

(그림 8.3) 임하댐 유역 조사 지역 사진. 297

(그림 8.4) 조류 집단 번식지 전경. 305

(그림 8.5) 법정보호조류 관찰 지점도. 307

(그림 8.6) 안동댐 2002-2003 조사와 2012-2013 조사의 계절별 종 수 개체수 비교. 312

(그림 8.7) 임하댐 2002-2003 조사와 2012-2013 조사의 계절별 종 수 개체수 비교. 316

(그림 8.8) 조류관찰 및 교육 장소 지점도. 324

(그림 9.1) 소나무 군락. 330

(그림 9.2) 굴참나무 군락. 330

(그림 9.3) 선버들 군락. 330

(그림 9.4) 민강도래 KUa. 332

(그림 9.5) 애날도래 KUa. 332

(그림 9.6) 별날도래. 332

(그림 9.7) 뿔나비의 집단 흡밀(St. 4). 332

(그림 9.8) 방아깨비. 333

(그림 9.9) 황테감탕벌 333

(그림 9.10) 끄리. 334

(그림 9.11) 피라미. 334

(그림 9.12) 누치. 335

(그림 9.13) 참갈겨니. 335

(그림 9.14) 돌마자. 336

(그림 9.15) 두꺼비. 337

(그림 9.16) 자라. 339

(그림 9.17) 북방산개구리. 340

(그림 9.18) 센서카메라에 확인된 고라니(3권역) 341

(그림 9.19) 로드킬 당한 두더지 사체(4권역). 341

(그림 9.20) 센서카메라에 확인된 너구리(3권역). 342

(그림 9.21) Trap에 포획된 등줄쥐(6권역) 343

(그림 9.22) 센서카메라에 확인된 멧돼지(3권역). 343

(그림 9.23) 비오리. 344

(그림 9.24) 중대백로. 344

(그림 9.25) 왜가리. 344

(그림 9.26) 원앙. 345

(그림 9.27) 쇠제비갈매기. 345

(그림 9.28) 말똥가리. 345

(그림 9.29) 왕버들 군락. 345

(그림 9.30) 키버들. 346

(그림 9.31) 아까시나무 식재림 군락. 346

(그림 9.32) 징거미새우. 347

(그림 9.33) 꼬마물벌레류. 347

(그림 9.34) 뱀잠자리. 347

(그림 9.35) 애홍점박이무당벌레. 348

(그림 9.36) 한삼덩굴좁쌀바구미. 348

(그림 9.37) 광대노린재. 348

(그림 9.38) 강준치. 350

(그림 9.39) 붕어. 350

(그림 9.40) 돌고기. 351

(그림 9.41) 칼납자루. 351

(그림 9.42) 능구렁이. 352

(그림 9.43) 까치살모사. 353

(그림 9.44) 도롱뇽. 355

(그림 9.45) 관박쥐(7권역). 356

(그림 9.46) 쇠큰수염박쥐(7권역). 356

(그림 9.47) 집박쥐(7권역). 357

(그림 9.48) 검은집박쥐(7권역). 357

(그림 9.49) 포획(左) 및 교량에서 휴식 중(右)인 문둥이박쥐(7권역). 357

(그림 9.50) 청둥오리. 358

(그림 9.51) 쇠오리. 358

(그림 9.52) 제비. 359

(그림 9.53) 물닭. 359

(그림 9.54) 흰죽지. 359

(그림 9.55) 세뿔투구꽃. 362

(그림 9.56) 망개나무. 362

(그림 9.57) 대구돌나물. 363

(그림 9.58) 끈끈이장구채. 363

(그림 9.59) 털댕강나무. 364

(그림 9.60) 애기마디풀. 364

(그림 9.61) 주름다슬기. 366

(그림 9.62) 강하루살이. 366

(그림 9.63) 자실잠자리 367

(그림 9.64) 쇠측범잠자리. 367

(그림 9.65) 두눈강도래. 368

(그림 9.66) 팔공산밑들이메뚜기. 369

(그림 9.67) 진홍단딱정벌레. 369

(그림 9.68) 늦반딧불이 서식처(左) 및 교미(右). 369

(그림 9.69) 오리나무잎벌레 유충(左) 및 성충(右). 370

(그림 9.70) 돼지풀잎벌레. 371

(그림 9.71) 백조어. 372

(그림 9.72) 구렁이. 374

(그림 9.73) 남생이. 376

(그림 9.74) 맹꽁이. 378

(그림 9.75) 수달 배설물(9권역). 380

(그림 9.76) 센서카메라에 확인된 삵(9권역). 380

(그림 9.77) 원앙. 381

(그림 9.78) 물수리. 381

(그림 9.79) 흰꼬리수리. 381

(그림 9.80) 붉은배새매. 383

(그림 9.81) 큰말똥가리. 383

(그림 9.82) 황조롱이. 385

(그림 9.83) 새홀리기. 385

(그림 9.84) 소쩍새. 385

(그림 9.85) 지점별 곤충상 변화. 395

(그림 9.86) 백리향. 404

(그림 9.87) 작은은점선표범나비. 411

(그림 9.88) 사향제비나비. 411

(그림 9.89) 참중고기. 415

(그림 9.90) 납지리. 415

(그림 9.91) 금개구리. 417

(그림 9.92) 고슴도치. 420

(그림 9.93) 담비 배설물. 420

(그림 9.94) 흰넓적다리붉은쥐. 421

(그림 9.95) 비단털들쥐. 421

(그림 9.96) 안동댐 유역 대표지점 현장 사진. 425

(그림 9.97) 임하댐 유역 대표지점 현장사진. 427

(그림 9.98) 쇠제비갈매기의 번식지 위치도. 434

(그림 9.99) 2006년(左)과 2013(右)의 쇠제비갈매기 번식지 현황 비교. 434

(그림 9.100) 쇠제비갈매기의 둥지 단면도. 435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