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국가 연구개발의 개방성 확대 방안 연구 / 미래창조과학부 [편] 인기도
발행사항
[과천] : 미래창조과학부, 2017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 가능함
자료실
전자자료
형태사항
143 p. : 삽화, 도표 ; 30 cm
제어번호
MONO1201730563
주기사항
2016년 과학기술종합조정지원사업
주관연구기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주관연구책임자: 최동혁
원문

초록보기 더보기

I. 연구개발의 개요

○ 신기술 분야의 혁신이 글로벌 네트워크에 걸쳐 분업적으로 일어나는 추세가 확산

- 기술혁신의 글로벌 네트워크에 능동적으로 참여하지 못하는 국가는 경쟁에서 도태되기 쉬운 환경으로 변화가 가속화

○ 본 과제를 통해 국가 R&D를 포함하여 국내 혁신시스템의 개방성 정도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방형 혁신을 촉진할 수 있는 정책 방안의 도출 추진

II.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 국내의 기술혁신 경향은 여전히 폐쇄형 의존적인 형태를 보임

- 현재의 내부자원 중심의 폐쇄적 연구 환경을 연구자 간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개방성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전환 필요

○ 본 연구는 연구개발 활동을 포함해 국내 혁신활동 전반의 개방성을 확대하기 위한 정책 방안의 도출을 목표로 함

III.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 해외 주요국의 개방형 혁신 관련 정책 사례 및 글로벌 기업들의 개방형 혁신 활용 전략 사례 조사

○ 개방형 혁신에 관한 국가 수준의 지표를 활용하여 국내 개방형 혁신 현황을 진단

- 국내 개방형 혁신 현황에 관한 거시적 지표를 사용해 해외 주요국과 비교

- 자본, 인력, 기술 및 아이디어 등 혁신활동의 투입 요소들의 유동성 현황을 다양한 지표를 통해 파악

○ 국내의 개방형 혁신을 활성화하기 위한 정책 방향 수립 및 세부 정책과제 도출

- 자본, 인력, 기술 및 아이디어의 유동성을 확대하기 위한 정책 과제 도출

IV. 연구개발결과

○ 해외 주요국은 모든 개방형 혁신을 자국의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한 주요한 전략 수단의 하나로 인식하고 이를 국가 혁신전략에 반영하고 있음

- 미국혁신전략, EU의 Open Innovation 2.0, 영국의 오픈 데이터 관련 정책, 중국의 13차 5개년 국가 과학기술혁신 계획, 일본의 제5기 과학기술기본계획 등의 다양한 정책사례를 소개

○ 개방형 혁신을 활용하는 다양한 글로벌 기업 사례를 소개하여 개방형 혁신이 기업 경영전략의 큰 흐름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는 내용을 제시

- P&G, 지멘스, 3M, 구글 등 해외 기업의 사례와 국내의 삼성전자 사례 등 다양한 기업 사례를 소개

○ 국내 개방형 혁신의 현황 및 문제점을 지표를 통해 진단하고 정책 방향을 제시

- 국가 수준의 거시적인 현황 지표를 통해서 진단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개방형 혁신 관련 지표 전반에서 우리나라가 매우 저조한 상황이라는 결과를 제시

- 자본, 인력, 기술 및 아이디어라는 혁신 활동의 주요 요소들을 기준으로 세부 정책부문을 구분하고 각각의 유동성 현황과 이를 개선하기 위해 필요한 큰 정책방향을 제시

○ 국내 개방형 혁신 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해 자본, 인력, 기술 및 아이디어의 유동성을 제고할 수 있는 세부적인 정책 과제 도출

- 기업의 외부 협력 R&D 투자 확대 유인 제공, 정부R&D 기획-추진-평가의 개방성 확대 등 R&D 투자를 통해 혁신 주체 간 협력을 제고할 수 있는 정책 과제 도출

- 기술친화적 M&A 및 IPO 회수시장 활성화 등 민간주도의 기술혁신 투자 활성화를 위한 정책 과제 제시

- 신진 연구인력의 산업계 진입 유도, 산·학·연 간 인력교류 확대, 해외 우수인력의 국내 유인책 강화 등 인력 유동성 개선 및 네트워킹 촉진 방안 도출

- 우수 기술 창출 및 거래 활성화, 아이디어·수요 발굴 플랫폼 다양화, 국가 R&D 정보·시설 개방 등 기술 및 아이디어의 유동성 확대를 위한 정책 과제 제시

V.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 혁신시스템의 개방성 혹은 개방형 혁신의 경향 등을 객관적 지표를 통해 진단하여 향후 정책 방안 마련 시 기초자료로 활용

○ 혁신의 개방성을 저해하고 있는 부문 및 구체적인 제도를 도출하고 이를 개선하여 개방형 혁신의 확신에 기여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T000040984 전자형태로만 열람 가능함 전자자료 이용불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