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0)
E-BOOK (1)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청일·러일전쟁 어떻게 볼 것인가 [전자자료] : 동아시아 50년전쟁 1984∼1945 다시 보기 / 하라 아키라 지음 ; 김연옥 옮김 인기도
발행사항
파주 : 살림출판사, 2015 : YES24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 가능함
형태사항
전자책 1책(290 p.)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52233073
제어번호
MONO1201613000
주기사항
대등표제: New perspectives Sino-Japanese war and the Russo-Japanese war
원표제: 日淸·日露戰爭をどう見るか : 近代日本と朝鮮半島·中國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인쇄자료(책자형)로도 이용가능
이용가능한 다른 형태자료:청일·러일전쟁 어떻게 볼 것인가  바로보기
원문
  •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 제공)

    “청일.러일전쟁의 목적은 한반도를 차지하는 데 있었다.
    따라서 청일전쟁은 제1차 조선전쟁인 셈이며,
    러일전쟁은 제2차 조선전쟁이라 불려야 한다.”

    “일본은 이웃나라와 평화를 유지하기 위해
    자신들이 과거에 벌인 전쟁에 대해 정확히 알 필요가 있다.
    일본은 침략전쟁과 식민지 지배를 반성하고 사죄해야 한다.”


    청일전쟁과 러일전쟁은 한반도를 획득하기 위해 청-일, 러-일 간에 벌인 전쟁이므로, ‘제1차.제2차 조선전쟁’이라 불려야 한다. 일본은 평화를 유지하기 위해 과거의 역사인식을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앞으로 평화를 유지하기 위해, 침략전쟁을 일으킨 것과 식민지 지배를 했던 점을 반성하고 사죄해야 한다. 이 책은 ‘전쟁’을 테마로 ‘근대일본’을 고찰해가면서 오늘날 이웃나라 간의 관계에 원점이 되는 요소를 재검토하기 위해 쓰였다. ‘근대일본’이 처음으로 일으킨 두 개의 대외전쟁 청일.러일전쟁부터 제1차 세게대전까지의 시기를 중점적으로 다루면서, 제1차 세계대전 종결 후부터 제2차 세계대전 개시 전까지의 상황은 간단히 언급하고 있다.

    9세기 말, 한반도는 세계열강의 요충지가 되었다!
    청일전쟁1894 러일전쟁1905 한국병합1910 세계대전1914~45에 이르는
    동아시아 50년전쟁 다시 보기


    2015년은 청일전쟁1894~1895이 끝난 지 120년, 러일전쟁1904~1905이 끝난 지 110년이 되는 해다. 청일.러일전쟁은 동아시아 3국의 근대 지평을 바꾸는 계기가 되었다. 일본에는 제국주의 대열에 합류하는 전환점이, 중국에는 종주국의 지위에서 서구열강의 반半식민지로 전락하는 분기점이, 한국에는 식민지냐 자주국이냐를 결정짓는 갈림길이 된 것이다.
    특히 올해는 제1차 세계대전1914~1918과 제2차 세계대전1939~1945 종식 70주년임과 동시에 1965년 한일기본조약체결한일협정이 된 지 50년을 맞이하는 해로서, 두 전쟁의 의미를 재고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그 어느 때보다 동아시아 3국의 외교관계는 얼어붙어 있고 각국의 내셔널리즘은 더욱 강해지는 추세다.
    먼저 저자는 청일.러일전쟁을 보는 시각을 전쟁을 일으킨 근본 목적이 조선에 대한 지배권 획득에 있었다는 점에서 두 전쟁은 실제로 ‘제1차.제2차 조선전쟁’인 셈이었다고 강조한다.
    『청일.러일전쟁을 어떻게 볼 것인가』는 원래 일본인 대중을 대상으로 강연한 내용을 토대로 하고 있다. 즉 근대일본이 전쟁 과정에서 자행해온 ‘불편한’ 진실을 가감 없이 강조하면서 ‘반성’하자는 내용이라, 과거 피해자인 우리 한국인에게는 무척 반가운 내용이다.
    뿐만 아니라 이 책은 메이지 초기 상황에서부터 청일전쟁, 러일전쟁, 제1차 세계대전까지 근대일본사의 핵심을 간략하지만 일목요연하게 보여준다. 전쟁 당시 사람들의 심정을 그린 문학작품이나 회고담을 인용하고 있어 당시의 사회상이 생생하게 이해된다. 또한 저자가 전시경제사 전공자인 만큼 전쟁비용 조달이나 경제공황 등 당시의 경제적인 배경에 대해서도 쉽게 서술돼 있다.
    저자에 따르면 모두에게 소중한 평화를 지켜내기 위해서는 ‘평화’와 정반대 개념인 ‘전쟁’에 대해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한다. 서로 간의 이해와 신뢰는 상대의 눈에 자신이 어떻게 비치는지를 알고, 눈동자와 눈동자를 서로 마주볼 때 비로소 가능하다. 이 책은 자국의 역사인식을 바로 하는 것이 동아시아 3국 사이에 신뢰를 쌓는 첫걸음이라는 문제의식 아래 쓰인 만큼, 청일전쟁부터 제2차 세계대전 시기까지 약 50년간 지속되어온 일본의 전쟁 실태를 동아시아 역사 속에서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 각 장 내용 본격 소개
    한국어판 저자 서문 저자 하라 아키라는 『청일.러일전쟁을 어떻게 볼 것인가』(원제: 日淸.日露戰爭をどう見るか)의 한국어판을 위해 ‘저자 서문’을 새로 썼다. 지난 2015년 8월 14일 아베 신조 수상의 ‘전후 70년 총리담화문’(이하 「아베 담화」)에 침략전쟁과 식민지 지배를 추진한 주체가 명시되지 않았고, 반성과 사죄의 주어도 명확히 제시되지 않은 점을 비판하기 위해서다. 「아베 담화」에 앞서 지난 7월 17일, 일본의 역사학.국제법학.국제정치학 전문가 74명이 「전후 70년 총리담화에 대해」라는 제목으로 발표한 공동 성명에 따르면, “저는 과거의 일본이 침략전쟁과 식민지 지배를 행한 것을 반성하고 사죄합니다”라고 단적으로 명확히 표현할 것을 요구한 적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베 담화」에는 이러한 요구내용이 거의 반영되어 있지 않음을 지적한 것이다.
    오히려 올해 8월 15일에 있었던 전국 전몰자 추도식에서 한 아키히토 천황의 연설 내용에 “평화의 존속을 간절히 바라는 국민의식”을 처음으로 언급하고, 지난 전쟁에 대해서도 처음으로 “깊이 반성”한다고 표명한 바 있음을 강조하며, 사과를 회피하는 데에만 급급하지 말고, 지금이라도 역사인식을 제대로 하자는 주장을 다시 한 번 강조하고 있다.

    서장- 근대일본의 전쟁에 대해 ‘전전’戰前이라는 시대는 근대일본에서 ‘메이지.明治.다이쇼大正.전전 쇼와昭和’에 해당하는 시대다. 메이지 시대는 보신戊辰 전쟁.세이난西南 전쟁이라는 두 개의 국내전을 거쳐 성립되고, 청일전쟁1894~1895.러일전쟁1904~1905이라는 두 번의 대외전쟁에 의해 메이지 일본은 조선을 지배했다. 다이쇼 초기에는 제1차 세계대전1914~1918을 치르고, 대독對獨전쟁으로 산둥 성을 약탈하고, ‘만주사변’1931에서 ‘지나사변’1937, 나아가 ‘대동아전쟁’1941~1945에 이르기까지, 일본은 거의 5년에 한 번꼴로 전쟁 또는 출병을 일삼던 나라였다.
    일본은 전후戰後 70년간 평화롭고 긴 ‘전후’생활을 누려왔지만, 이웃국가와 친밀한 관계를 유지해왔다고는 할 수 없다. 특히 역사인식, 영토 문제 등을 비롯해, 중일.한일 간의 대립이 점점 격해지고 있어 최근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제1장- 청일전쟁: ‘제1차 조선전쟁’ 1894년 조선에서 갑오농민전쟁이 일어나자 고종은 청나라에 병력 원조 요청을 하게 된다. 이 소식을 들은 일본의 이토 히로부미 내각은 조선으로 군을 파견하게 된다. 일본과 청국이 개입하게 되는 것을 본 조선의 농민군은 같은 해 6월, 조선정부와 전주화약全州和約을 체결하고는 철수한다. 그런데도 일본은 청국에 공동으로 반란을 진압하고 조선의 내정개혁을 담당하자고 제안한다. 청나라가 이를 거절하는데도 일본은 더 강하게 조선정부를 압박한다. 7월 25일 대원군은 아산에 있는 청국 군대를 몰아내달라고 일본 측에 의뢰한다. 같은 날 일본 함대가 풍도豊島 앞바다에서 청나라 군함을 공격한다.
    일본이 내건 청일전쟁의 대의명분에 따르면 일본은 조선의 독립을 위해 청국과 싸운 것인데도, 랴오둥 반도 등의 영토를 얻고자 한다. 이를 막고자 러시아.프랑스.독일 3국이 간섭하게 되어삼국간섭, 일본은 랴오둥 반도를 반환하는 대신, 타이완을 영유하게 되어 식민지를 획득하게 된다. 청일전쟁 후 일본은 배상금으로 3억 엔을 받는다. 이 방대한 배상금을 지불할 능력이 없던 청국은 외채를 빌리게 된다. 이로써 청국은 금융적.외교적으로 종속국, 반半식민지로 전락한다. 반면 일본은 제국주의 국가 대열에 합류한다. 이렇듯 두 나라가 정반대 방향으로 운명이 갈리는 결정적인 분기점이 바로 청일전쟁이었다.

    제2장- 러일전쟁: ‘제2차 조선전쟁’ 러일전쟁에서 조선 문제를 생각할 때 중요한 것은 일본의 한국병합이 러일전쟁 종결 5년 후인 1910년으로 알려져 있으나, 사실상 개전과 동시에 일본은 한국 내정에 강제로 간섭하고 한국을 지배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1905년 3월에 치러진 러일전쟁 최대 육전인 펑톈 전투에서도 일본은 러시아군을 섬멸.포위하지 못한다. 그러던 5월 27일 러시아 발틱 함대가 쓰시마 해협에 등장해 일본의 연합함대와 교전을 벌이게 된다. 이 동해해전에서 일본이 결정적인 승리를 거둬 전쟁 국면에서 승기를 잡게 된다. 하지만 러일전쟁은 청일전쟁 때와는 달리 배상금도 없고, 얻은 영토도 남쪽 가라후토 섬뿐이었기 때문에 실제로는 ‘상처투성이의 무승부’ 정도였다.

    제3장- 한국병합과 21개조 요구 ‘한국병합’과 제1차 세계대전 중이던 1915년 일본이 중국에 요구한 ‘21개조 요구’는 오늘날의 중일.한일북일관계 포함관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한국병합’은 청일전쟁에서 획득한 타이완, 러일전쟁에서 획득한 랴오둥 반도, 남쪽 가라후토 섬에 이어 일본이 한국을 식민지로 삼고 일본의 제국주의 지배자로서의 입장이 명확해진 사건이었기 때문에, 조선 측에서 보면 자신들의 나라를 빼앗긴 ‘통한의 역사’다.
    중국에 대한 ‘21개조 요구’는 청일전쟁 이후 일본이 중국에 대한 고압적인 태도가 여실히 드러난 사건이었다. 중국인이 반일 감정을 갖게 된 기점은 ‘만주사변’ ‘지나사변’ ‘대동아전쟁’뿐만 아니라, 21개조 요구를 했던 때부터였다.

    제4장- 세계대전: 그 영향 1910년 한국병합 후 조선총독은 군사.행정.입법.사법.교육 등 모든 분야에 걸쳐 절대 권한을 장악하며 헌병과 경찰이 하나가 되었다. 초대 총독 데라우치 마사타케 아래 강압적인 헌병정치.무단정치가 전개되면서 조선은 실질적으로 군정하에 놓이게 된다. 한편 토지조사사업과 임야조사사업을 진행해서 소유권을 신고하지 않으면 국유화해, 조선인의 재산을 몰수한다.
    이러한 모든 정책에 대한 불인이 제1차 세계대전 종료 후인 1919년 3.1독립운동으로 폭발하게 된다. 대규모 반일운동이 일어나자 조선총독부는 철저히 탄압을 하지만, 이를 계기로 ‘무단정치’를 ‘문화정치’로 전환해 노골적인 무력행사를 다소 억제하는 방향으로 전환시킨다. 같은 해 5월 4일 중국 베이징에서도 학생시위가 일어난다.5.4운동

    종장- 다음 ‘세계대전’: 그 징조 일본은 1931년 ‘만주사변’, 1937년 ‘지나사변’을 거친 결과, 미.영.네덜란드로부터 자산동결 제재조치를 받는다. 1941년 ‘대동아전쟁’을 일으켜 1945년 8월 전쟁 종결에 이르기까지 ‘동아시아 50년전쟁’시대를 마감하게 된다. 1945년 한반도는 남북으로 분단되고 샌프란시스코 대일강화회의에도 두 나라는 적국이 아닌 식민지였다는 이유로 초대되지 못한다. 남쪽의 대한민국과 일본의 국교가 정상화된 것도 1965년 한일기본조약한일협정이 성립된 지 20년이 지난 시점이었다. 남북한과 마찬가지로 샌프란시스코 회의에 초대받지 못한 중국과 일본의 국교 회복도 전후 30년 가까이 지난 1972년에야 성사되었다. 북한과는 70년이 지난 지금도 국교가 수립되지 않고 있다.
    모든 사람에게 소중한 평화를 지키기 위해서는 평화라는 개념과 정반대에 있는 전쟁의 개념에 대해 잘 이해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상대의 눈에 자신이 어떻게 비치는지를 잘 알아야 한다.
    더보기
  • 책속에서 (알라딘 제공)

    [P.33] “오늘날의 이웃나라와의 관계를 보면서 역사인식, 영토 문제 등을 비롯해 중일, 한일 간의 대립이 점점 격해지고 있다고 느끼는 것은 비단 저뿐만이 아닐 것입니다. 최근의 긴장감 도는 정세를 보고 있노라면 어쩌면 그동안의 긴 ‘전후’가 어느 한순간에 ‘전전’의 상황으로 전환되어버리지나 않을까 걱정됩니다.”
    [P. 34] “하지만 중일전쟁과 태평양전쟁의 원인을 생각할 때 역사연구자로서 당연히 그 이전 상황인 ‘만주사변’이나 제1차 세계대전도 공부해야 하며, 더 앞선 시기의 청일.러일전쟁까지도 거슬러 올라가 검토해야 합니다. 또한 청일전쟁이나 러일전쟁을 생각할 때에도 대전對戰국이었던 중국이나 러시아뿐만 아니라, 두 개의 전쟁이 한국과 상당히 깊이 관련되어 있는 점을 감안하여 일본이 조선을 개국시킨 1876년 조일수호조규朝日修好條規: 강화도조약, 나아가 그전의 이른바 ‘정한론征韓論’까지 검토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 책의 목적은 ‘전쟁’을 테마로 ‘근대일본’을 고찰해가면서 오늘날 이웃나라 간의 관계의 원점이 되는 요소를 다시 검토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간단히 ‘근대일본과 전쟁에 대해 생각한다’고 정의한다 한들 그 범위는 실로 방대합니다.
    [P. 39] “120년 전에 일어난 청일전쟁은 그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일본과 청국 간의 전쟁이었지만, 그 전쟁의 목적이 한반도의 지배권 쟁취였던 만큼, 오히려 ‘제1차 조선전쟁’이라 부르는 편이 더 적절할 것 같습니다. 마찬가지로 110년 전 러일전쟁도 그 명칭에서 드러나듯이 일본과 러시아 간의 전쟁이었습니다만, 이 전쟁 역시 목적은 한반도를 차지하는 것이었으므로 ‘제2차 조선전쟁’이라 이름해도 좋을 것입니다. 이것이 제가 이 책에서 첫 번째로 강조하고자 하는 주장입니다.”
    더보기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