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재난환경 변화에 대응한 인적재난 R&D 중장기 로드맵 수립 기획연구 / 소방방재청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소방방재청, 2014
청구기호
363.34 -15-16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1책(면수복잡) : 삽화, 표 ; 26 cm
총서사항
NEMA-기반 ; 2013-97
재난안전기술개발기반구축사업단 연구보고서
제어번호
MONO1201518645
주기사항
주관연구기관: 한국방재안전학회
핵심연구책임자: 이태식
참고문헌 수록
영어 요약 있음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재난환경 변화에 대응한 인적재난 R&D 중장기 로드맵 수립 기획연구 1

제출문 2

요약문 5

SUMMARY 7

목차 10

제1장 서론 22

1.1. 기획의 목표 및 범위 22

1.2. 추진체계 26

제2장 인적재난 안전기술분야(R&D)의 국내·외 기술연구개발 동향 분석 29

2.1. 국내·외 인적재난 안전기술분야 기술연구 동향 조사·분석 30

2.1.1. 미국의 인적재난기술 관련 행정부처 31

2.1.2. FEMA의 Grand Challenges 6원칙 36

2.1.3. 미국의 인적재난 안전기술 R&D 38

2.1.4. 일본의 인적재난안전기술 관련 행정부처 45

2.1.5. 일본의 인적재난안전기술 R&D 52

2.1.6. 독일의 인적재난안전 관련 행정부처 57

2.1.7. 독일의 인적재난안전기술 R&D 61

2.2. 최근 전 세계적인 인적재난 안전기술 환경 및 연구동향의 변화 64

2.2.1. 국외 공통분야 64

2.2.2. 국외 환경오염분야 67

2.2.3. 국외 붕괴, 교통, 화재, 폭발 분야 69

2.2.4. 국내 인적재난 안전기술 연구 동향 71

2.3. 국내·외 인적재난 안전기술분야 산업 시장규모 및 전망 80

2.3.1. 인적재난안전산업의 분류 및 현황분석 80

2.3.2. 국외 재난·재해 및 안전관리산업 현황 86

2.3.3. 국내 재난·재해 및 안전관리산업의 취약성 88

2.4. 부처별 재난·재해 및 안전사고 기술개발 투자현황분석 90

2.5. 국내 부처별 인적재난 안전기술개발 영역 조사·분석 및 추진 연구 분석 105

2.5.1. 부처별 재난·재해 및 안전사고 관련 R&D 투자계획 105

2.6. 국내외 기술연구개발 동향 분석에 의한 시사점 도출 136

2.6.1. 국내 6가지 유형 인적재난 사례를 통해 본 관련 기술 도출 136

2.6.2. 여객선 세월호 침몰사고(해양사고)를 통해 본 관련 기술 도출 137

2.6.3. 경주 마우나 리조트 체육관 사고(붕괴)를 통해 본 관련 기술 도출 138

2.6.4. 지하철2호선 상왕십리 열차추돌 사고(지하철하고)를 통해 본 관련 기술 도출 139

2.6.5. 경기 이천 코리아2000 냉동창고 가연성 증기 폭발 화재사고(폭발)를 통해 본 관련 기술 도출 140

2.6.6. 경기평택 아파트 신축공사장 가스 질식사고(화생방)를 통해 본 관련 기술 도출 141

2.6.7. 수도권매립지 환경재난 진행중임을 통해 본 관련 기술 도출 142

2.6.8. 국내외 재난환경변화에 대응한 SWOT 분석 143

제3장 인적재난 안전기술 차세대 핵심기술분야 분석 및 사업확대전략 144

3.1. 인적재난 안전분야의 차세대 핵심기술분야 분석 및 기술전망 144

3.1.1. 인적재난분야의 차세대 핵심기술 개요 145

3.1.2. 인적재난분야의 차세대 핵심기술 분석 163

3.1.3. 인적재난분야의 차세대 핵심기술 전망 172

3.2. 인적재난 안전기술 개발사업 확대전략 방안 178

3.2.1. 인적재난 안전기술 개발사업 기술혁신 확대전략 178

3.2.2. 인적재난 안전기술 개발사업 국민참여 활용성 확대전략 179

3.2.3. 인적재난 안전기술 개발사업 기반구축 확대전략 181

제4장 인적재난 안전기술분야의 분야별 중장기 개발목표 설정 및 기술개발 로드맵 설계 183

4.1. 분야별 중장기 기술개발 로드맵 설계 183

4.1.1. 비전 수립 체계도 183

4.2. 주요사업에 따른 분야별 세부추진계획 연계방안 187

4.2.1. 대응중심 기술개발 전략 187

4.2.2. 선제적 기술개발 188

4.2.3. 국민참여형 기술개발 189

4.2.4. 기술개발 역량강화로 국민참여 활용성 향상 190

4.2.5. 인프라·법제도 기반구축 191

4.3. 세부 추진계획의 과제별 세부내용 및 Roadmap 작성 193

4.3.1. 중장기 발전전략과 추진과제의 중요도 설문분석의 절차 및 내용 193

4.3.2. 세부추진계획의 과제별 세부내용 및 Road Map 204

4.4. 과제별 필요한 자원의 규모 및 인력 확보방안 223

4.5. 과제별 정부지원의 타당성 검토 225

4.5.1. 정부지원의 타당성 225

4.6. 과제별 평가방법 및 계획 230

4.6.1. 평가방법의 객관성·전문성·공정성 230

4.6.2. 평가방법과 계획 231

4.6.3. 과제별 평가방법과 계획 232

4.7. 세부추진과제별 구체적인 성과물 및 현업화 방안 제시 237

4.7.1. 시민용 대응중심매뉴얼 기술개발 237

4.7.2. 스마트 컨트롤타워를 위한 표준행동절차 243

4.7.3. 인적재난 환경오염과 악취 근원 제거를 겸한 플라즈마 가스화 발전 기술 252

4.7.4. 위험요소 발굴 감지 빅 데이터 258

4.7.5. 와이어 끊김 감지 장치 개발 263

4.7.6. 스마트 생존 앱 265

4.7.7. 인적재난 대응을 위한 스마트 생존 앱 269

4.7.8. 안전도시 롤모델 확산을 통한 지역경제 육성기술 개발 278

4.7.9. 재난교육시스템 리빌딩을 통한 인적재난 역량강화 및 일자리 창출 방안 285

4.7.10. 인적재난 대응을 고려한 지반재해위험지도의 고도화 291

4.7.11. 전국 지자체 붕괴위험 급경사지 통합유지관리 기술 295

4.7.12. 스마트 물놀이 안전사고 사전경보시스템 개발 299

4.7.13. 인적재난 대응을 위한 대정전 대응핵심기술 개발 308

4.8. 공청회 314

제5장 과제별 특허동향 조사분석 324

5.1. 과제별 특허동향 조사분석 개요 324

5.2. 타부처와의 차별성 개요 328

5.3. 소방R&D 7개 사업 중 제시된 2개분야와 명확한 성격 구분됨 329

5.4. 소요예산 분석 330

5.5. 사업 우선순위 선정 331

5.5.1. 우선순위 선정을 위한 방법론 331

5.5.2. 우선순위 평가 결과 342

5.6. 중점영역별 세부 실행과제 346

5.7. 중점영역별 TRM 349

제6장 기대효과 및 활용빙만 353

6.1. 기대효과 353

6.2. 활용방안 357

제7장 결론 363

참고문헌 365

인적재난 안전기술분야(R&D)의 국내·외 기술연구개발 동향 분석 368

제출문 369

SUMMARY 371

요약문 373

목차 375

제1장 서론 382

1.1. 연구의 목적 382

1.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382

1.2.1. 연구의 내용 382

1.2.2. 연구의 방법 385

제2장 최근 인적재난 안전기술 환경 및 연구동향의 변화 387

2.1. 인적재난 안전기술의 개념 및 환경 387

2.1.1. 인적재난 안전기술의 개념 387

2.1.2. 인적재난 안전기술의 환경 390

2.2. 인적재난 안전기술의 연구동향 변화 397

2.2.1. 국내외 기존 인적재난 안전기술의 연구동향 397

제3장 국내·외 관련분야 기술연구 동향 조사 및 분석 411

3.1. 미국의 인적재난 안전기술분야 동향 조사 및 분석 411

3.1.1. 재난대응 프레임워크(NRF) 및 국가재난·사건관리 시스템(NIMS) 개요 및 역할 411

3.1.2. 재난대비 계획 및 소관부서 434

3.2. 일본의 인적재난 안전기술분야 동향 조사 및 분석 469

3.2.1. 일본 재난관련 조직 469

3.2.2. 일본 재난대응 관련 법·제도 및 문서 481

3.2.3. 일본 재난대응 책임소재 483

3.2.4. 일본 재난대응 사례 483

3.3. 영국의 인적재난 안전기술분야 동향 조사 및 분석 487

3.3.1. 영국 재난관련 조직 487

3.3.2. 영국 재난대응 관련 법·제도 및 문서 491

3.3.3. 영국 재난대응 책임소재 492

3.4. 국내의 인적재난 안전기술분야 동향 조사 및 분석 494

3.4.1. 국내 인적재난 대응체제 분석 494

제4장 국내·외 관련분야 산업 시장규모 및 전망 511

4.1. 미국의 인적재난 안전기술분야 산업 시장규모 및 전망 511

4.1.1. 시장규모 및 전망 511

4.2. 일본의 인적재난 안전기술분야 산업 시장규모 및 전망 515

4.2.1. 시장규모 및 전망 515

4.3. 영국의 인적재난 안전기술분야 산업 시장규모 및 전망 518

4.3.1. 시장규모 및 전망 518

4.4. 국내 인적재난 안전기술분야 산업 시장규모 및 전망 521

4.4.1. 인적재난안전기술분야 산업 시장규모 및 전망을 위한 배경 및 주요내용 521

4.4.2. 재난안전기술분야 산업 현황 525

4.4.3. 인적재난안전기술분야 산업 시장규모 및 전망 531

4.4.3. 인적재난 안전기술 분야 대응 관련 과제의 추진현황 534

제5장 국내·외 관련분야 산업 비교분석 및 전망 539

5.1. 총괄적 인적재난 안전기술분야 특성 539

5.2. 총괄적 대응편제 비교분석에 따른 개선방안 540

5.2.1. 다수 기관의 참여로 인한 표준화된 현장대응편제 개발 필요 540

5.2.2. 기관 간 대응업무 조율을 위한 합동지휘체계 마련 필요 544

5.2.3. 시간에 따라 대응업무의 변화로 인한 지휘권자 이양 원칙 개발 필요 545

제6장 결론 547

참고문헌 550

재난환경 변화에 대응한 인적재난 R&D 중장기 로드맵 수립 기획연구 20

표 2.1. NTIS Laboratories 40

표 2.2. 독일의 재난관리 체계 58

표 2.3. 그림의 약어 설명 63

표 2.4. 인적재난안전산업의 6대 분류기준 81

표 2.5. 국내 안전산업 현황 83

표 2.6. 안전산업 국내 시장 성장추이 84

표 2.7. '10~'12년도 재난 및 안전분야 R&D 투자규모 변화 93

표 2.8. 부처별 R&D 투자현황('11~'12) 93

표 2.9. 부처별 R&D 투자현황[표없음] 20

표 2.10. 부문별 R&D 예산 변화 99

표 2.11. 분류별에 따른 기존 인적재난 연구과제 현황 102

표 2.12. 정부 재난·안전분야 R&D 투자 추이 106

표 2.13. 부처별 재난·안전분야 R&D 투자현황(2012~2013) 106

표 4.1. AHP 설문 대상자 194

표 4.2. AHP 분석 주요사항 195

표 4.3. 설문조사 결과 196

표 4.4. 인적재난 R&D 로드맵 203

표 4.5. 과제별 필요한 자원의 규모 및 인력 확보방안 223

표 4.6. 과제별 평가방법 및 계획 233

표 5.1. 인적재난 추진과제 현황 - 예방분야 324

표 5.2. 인적재난 추진과제 현황 - 대비분야 326

표 5.3. 인적재난 추진과제 현황 - 대응분야 327

표 5.4. 인적재난 추진과제 현황 - 기타분야 327

표 5.5. Line Up 모델의 평가항목 333

표 5.6. Risk-Return 모델의 평가항목 334

표 5.7. AHP 설문방법 예시 338

표 5.8. 세부평가항목에 대한 가중치 도출 과정 339

표 5.9. CI≦0.1 기준을 충족한 유효 답안 수 341

표 5.10. Line Up 평가항목의 가중치 설정 결과 341

표 5.11. Risk-Return 평가항목의 가중치 설정 결과 342

표 5.12. 인적재난 안전기술 연구분야의 Line Up 결과 343

표 5.13. 인적재난 안전기술 개발분야의 정책적 지원방향 345

표 5.14. 5대 영역 15대 과제의 추진단계·예산 347

표 5.15. 5대 영역 15대 과제의 TRM 349

인적재난 안전기술분야(R&D)의 국내·외 기술연구개발 동향 분석 378

표 2.1. 자연재해와 인적재난의 비교 388

표 2.2. 공통분야 선진국 대비 수준 391

표 2.3. 생활재난 분야 선진국 대비 수준 392

표 2.4. 교통분야 선진국 대비 수준 393

표 2.5. 붕괴분야 선진국 대비 수준 394

표 2.6. 테러 및 폭동, 국지적 전쟁 분야 선진국 대비 수준 395

표 3.1. 미국의 주요테러 사건 413

표 3.2. 미국의 재난행정 연혁 413

표 3.3. 대통령 훈령 명칭 415

표 3.4. 주요 PDD 416

표 3.5. 대표적인 NSPD와 HSPD 417

표 3.6. 대표적인 EO 419

표 3.7. NIMS의 핵심 구성 요소 426

표 3.8. 국가재난대응계획(NRP)에 통합 또는 연결된 계획 441

표 3.9. NRP의 사고관리 단계 444

표 3.10. NRP 구성 446

표 3.11. FEMA 조직 및 부서의 기능 453

표 3.12. NRP와 NPC의 비교 460

표 3.13. OEM 부서별 업무 461

표 3.14. 미국의 핵심 및 주요기간시설 464

표 3.15. 건설교통성 하천국의 각 과별 주요 업무 473

표 3.16. 재난대책기본법 주요내용과 작성주체 481

표 3.17. 주요 방재계획과 작성주체 482

표 3.18. 고베지진 당시 피해현황 484

표 3.19. 영국 국가위기 대비체계(상시조직) 489

표 3.20. 영국 국가위기 대응과 복구 체계(비상시조직) 490

표 3.21. 한국 재난대응계획 수립 책무 관련 법조항 494

표 3.22. 한국 재난대응세부계획 관련 법조항 495

표 3.23. 한국 재난대응세부계획 지침 관련 법조항 496

표 3.24. 한국 재난 계획 관련 법조항 498

표 3.25. 한국 재난 계획 관련 법조항 500

표 4.1. 일본 재난대응 관련 민간공고 과제 517

표 4.2. 부처별 R&D 추진전략 및 과제 527

표 4.3. 2011년 재난·안전 분야 R&D 예산 규모 529

표 4.4. 부처별 재난 및 안전관리기술개발 투자실적 및 성과 530

표 4.5. 인적재난안전기술 분야 과제별 산업시장 현황 531

표 4.6. 인적재난 안전기술 분야 대응 관련 과제 534

재난환경 변화에 대응한 인적재난 R&D 중장기 로드맵 수립 기획연구 15

그림 1.1. 최종목표와 연구내용 25

그림 1.2. 기획의 추진체계 26

그림 1.3. 연구내용 및 방법론 28

그림 2.1. 미래의 재난환경변화 29

그림 2.2. 선진국 주요국 R&D 동향 30

그림 2.3. 미국의 중앙행정부처 31

그림 2.4. DHS의 조직도 32

그림 2.5. FEMA의 조직도 34

그림 2.6. FEMA의 2013년 예산 35

그림 2.7. FEMA의 연도별 세부예산 규모 36

그림 2.8. NIST 조직도 42

그림 2.9. NIST의 예산 43

그림 2.10. MST-Engineering Laboratory의 Research Division 44

그림 2.11. 일본의 방재서비스 체계 46

그림 2.12. 다중 관할구역 설정 46

그림 2.13. 인력의 효율적 활용 47

그림 2.14. 인력의 효율적 배치 47

그림 2.15. 효율적 장비·인력 관리 48

그림 2.16. 재난연구센터 조직도 50

그림 2.17. 재난연구센터 전경 51

그림 2.18. 일본의 재난안전 R&D 9대 중점분야 54

그림 2.19. 독일의 재난행정 조직도 59

그림 2.20. 독일의 방재행정 조직도 60

그림 2.21. 노드라인 베스트팔렌 자치구의 재난안전 연구 체계 63

그림 2.22. 재난대비 각종 시스템의 유기적 결합 73

그림 2.23. 국내 재난·안전관련 산업업체수성 비율현황 81

그림 2.24. 미국의 안전 및 보안장비 지출규모 추이 86

그림 2.25. 인적재난 안전기술 개발 위상 90

그림 2.26. 재난 및 안전관리 기술 종합계획의 비전체계 92

그림 2.27. 부처별 R&D 투자현황 94

그림 2.28. 재난 유형별 R&D 투자비율현황('12) 95

그림 2.29. 재난 유형별 R&D 투자비용 현황('12) 96

그림 2.30. 인적재난안전기술개발의 위상(예산기준) 97

그림 2.31. 부문별 R&D 예산 중 인적재난안전기술개발의 비중 98

그림 2.32. 부문별 R&D 예산의 연평균성장률 99

그림 2.33. 인적재난안전기술개발사업 추진실적 100

그림 2.34. 추진실적의 금액기준 및 건수기준 도표 101

그림 2.35. 정부 재난·안전분야 R&D 투자 추이 105

그림 2.36. 부처별 재난·안전분야 R&D 투자현황 107

그림 2.37. 원자력안전위원회 재난·재해 및 안전사고 유형별... 108

그림 2.38. 원자력안전위원회 재난·재해 및 안전사고 관리단계별... 109

그림 2.39. 원자력안전위원회 연구개발단계별 투자비중 분석(13~17)... 109

그림 2.40. 방송통신위원회 재난·재해 및 안전사고 유형별 투자비중... 110

그림 2.41. 방송통신위원회 재난·재해 및 안전사고 관리단계별 투자비중... 111

그림 2.42. 방송통신위원회 연구개발단계별 투자비중 분석(13~17)... 111

그림 2.43. 교육과학기술부 재난·재해 및 안전사고 유형별 투자비중... 112

그림 2.44. 미래창조과학부 재난·재해 및 안전사고 관리단계별 투자비중... 113

그림 2.45. 미래창조과학부 연구개발단계별 투자비중 분석(13~17)... 113

그림 2.46. 안전행정부 재난·재해 및 안전사고 유형별 투자비중... 114

그림 2.47. 안전행정부 재난·재해 및 안전사고 유형별 관리단계별 투자비중... 115

그림 2.48. 안전행정부 연구개발단계별 투자비중 분석(13~17) 115

그림 2.49. 농림축산식품부 재난·재해 및 안전사고 유형별 투자비중... 116

그림 2.50. 농림축산식품부 재난·재해 및 안전사고 관리단계별 투자비중... 117

그림 2.51. 농림축산식품부 연구개발단계별 투자비중 분석(13~17) 117

그림 2.52. 산업통상자원부 재난·재해 및 안전사고 유형별 투자비중... 118

그림 2.53. 산업통상자원부 재난·재해 및 안전사고 관리단계별 투자비중... 119

그림 2.54. 산업통상자원부 연구개발단계별 투자비중 분석(13~17) 119

그림 2.55. 보건복지부 재난·재해 및 안전사고 유형별 투자비중... 120

그림 2.56. 보건복지부 재난·재해 및 안전사고 관리단계별 투자비중... 121

그림 2.57. 보건복지부 연구개발단계별 투자비중 분석(13~17) 121

그림 2.58. 환경부 재난·재해 및 안전서고 유형별 투자비중 분석(13~17) 122

그림 2.59. 환경부 재난·재해 및 안전사고 관리단계별 투자비중... 123

그림 2.60. 환경부 연구개발단계별 투자비중 분석(13~17) - 기초 없음 123

그림 2.61. 국토교통부 재난·재해 및 안전사고 유형별 투자비중... 124

그림 2.62. 국토교통부 재난·재해 및 안전사고 관리단계별 투자비중... 125

그림 2.63. 국토교통부 연구개발단계별 투자비중 분석(13~17) 125

그림 2.64. 소방방재청 재난·재해 및 안전사고 유형별 투자비중... 126

그림 2.65. 소방방재청 재난·재해 및 안전사고 관리단계별 투자비중... 127

그림 2.66. 소방방재청 연구개발단계별 투자비중 분석(13~17) 127

그림 2.67. 농촌진흥청 재난·재해 및 안전사고 유형별 투자비중... 128

그림 2.68. 농촌진흥청 재난·재해 및 안전사고 관리단계별 투자비중 분석... 129

그림 2.69. 농촌진흥청 연구개발단계별 투자비중 분석(13~17)... 129

그림 2.70. 산림청 재난·재해 및 안전사고 유형별 투자비중 분석(13~17) 130

그림 2.71. 산림청 재난·재해 및 안전사고 관리단계별 투자비중... 131

그림 2.72. 산림청 연구개발단계별 투자비중 분석(13~17) 131

그림 2.73. 식품의약품안전청 재난·재해 및 안전사고 유형별 투자비중... 132

그림 2.74. 식품의약품안전청 재난·재해 및 안전사고 관리단계별... 133

그림 2.75. 식품의약품안전청 연구개발단계별 투자비중 분석(13~17)... 133

그림 2.76. 기상청 재난·재해 및 안전사고 유형별 투자비중 분석(13~17) 134

그림 2.77. 기상청 재난·재해 및 안전사고 관리단계별 투자비중... 135

그림 2.78. 기상청 연구개발단계별 투자비중 분석(13~17) - 개발·응용 없음 135

그림 2.79. 국내외 재난환경변화에 대한 SWOT 분석 143

그림 3.1. 차세대 핵심기술개요 및 분석과 전략과 영역 144

그림 4.1. 키워드에 따른 비전맵 연계 186

그림 4.2. 추진전략 및 추진과제 로드맵 187

그림 4.3. 중장기 발전전략 모형 193

그림 4.4. 통합분석 결과수치 197

그림 4.5. 대응중심 기술개발 분석 결과수치 198

그림 4.6. 활용기반 구축 분석 결과수치 199

그림 4.7. 선제적 기술개발 분석 결과수치 200

그림 4.8. 기술개발 역량강화 분석 결과수치 201

그림 4.9. 국민참여형 기술개발 분석 결과수치 202

그림 4.10. 기술수준평가 결과 226

그림 4.11. 기술분야 정부주도 필요성과 대 중국/대 최고국 기술격차 227

그림 4.12. 인적재난방지활동의 수요 및 역할 확장 229

그림 4.13. 연구결과 5대 정책방향 관계도 314

그림 5.1. 소요예산 분야별 분석도 330

그림 5.2. 우선순위 평가 개요 332

그림 5.3. Risk-Return 모델 예시 336

그림 5.4. Risk-Return 사사분면별 지원방향 344

인적재난 안전기술분야(R&D)의 국내·외 기술연구개발 동향 분석 380

그림 2.1. 인적재난의 유형 390

그림 2.2. 2005년 과제 수행시 인적재난 현황 391

그림 2.3. 재난대비 각종 시스템의 유기적 결합 405

그림 3.1. 미국의 인적재난대응체제 420

그림 3.2. NRF와 NIMS의 개념 및 연계 421

그림 3.3. NIMS의 기본개념 425

그림 3.4. 재난준비 사이클 427

그림 3.5. 새로운 상황전달 수단 428

그림 3.6. 방재자원관리 429

그림 3.7. ICS 통제관 및 일반관리자 조지도 430

그림 3.8. 다부처협조 상황실 431

그림 3.9. 대규모 사건발생시 연방, 주, 지역정부간 요청 및 협조 흐름 432

그림 3.10. 미국현장지휘본부와 재난대책본부간 관계 433

그림 3.11. 계획수립 절차 438

그림 3.12. 미국의 재난대응준비체계 439

그림 3.13. 미국 FEMA 지역본부 454

그림 3.14. 일본의 재난 관련 중앙정부조직도 469

그림 3.15. 일본의 재해대책 기구 471

그림 3.16. 중앙방재회의 기구 472

그림 3.17. 재난발생시 비상재해대책본부 구성 474

그림 3.18. 지방정부의 방재담당 조직 475

그림 3.19. 동경도 방재회의의 조직 및 담당업무 476

그림 3.20. 동경도 도시위기관리 프로그램 478

그림 3.21. 구·시·정·촌 방재회의의 조직 및 담당업무 479

그림 3.22. 중앙안전관리위원회 조직도 502

그림 3.23.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조직도 504

그림 3.24. 중앙긴급구조통제단의 조직 구성 506

그림 3.25. 국가재난관리체계 508

그림 4.1. 국가 핵심 인프라 방호(CIP) R&D 전략적 목표 513

그림 4.2. 일본 재난감시 및 대응 시스템 구축 전망 515

그림 4.3. 일본 방재조직 활성화 방안 516

그림 4.4. 통합적 재난·안전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6대 사업영역 522

그림 4.5. 재난유형별 R&D 투자 비중 528

그림 4.6. 재난유형별 R&D 투자추이(2010~2011) 528

그림 4.7. 재난·안전기술개발 분야 정부 R&D 투자 추이 529

그림 6.1. 미국 인적재난 대응 프레임워크 체계 547

그림 6.2. 일본 인적재난 대응체계 548

그림 6.3. 영국 인적재난 대응체계 549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025131 363.34 -15-16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025132 363.34 -15-16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