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민방위 사태에 대응한 대피체계 구축 및 대피시설의 운영관리 기술 개발 / 소방방재청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소방방재청, 2013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 가능함
자료실
전자자료
형태사항
1090 p. : 삽화, 표 ; 26 cm
제어번호
MONO1201419661
주기사항
인적재난안전기술개발사업
주관연구기관: 용인대학교
핵심연구책임자: 김태환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참여연구진]

요약문

SUMMARY

목차

제1장 서론 59

1.1. 연구개발의 필요성 59

1.2. 연구개발의 목적 60

1.3. 연구개발의 범위 61

제2장 1차년도 연구과제 63

2.1. 1차년도 연구개발 추진 일정 63

2.2. 1차년도 연구개발 세부 추진 실적 64

2.2.1. 국내 민방위 대피시설 전수실태조사 평가 및 최적 피난모형 제시 64

2.2.2. 지구별 대피시설 실태분석 및 정립모델 개발 147

2.2.3. 대피시설 개념 및 시설기준 정립 193

2.2.4. 지구별 재난 및 무력공격 유형별 영향 분석 255

2.2.5. 지구별 대피권역 설정 및 대피모형 개발 305

2.2.6. 대피시설 계획의 설계 및 검증기반 구축 344

2.2.7. 대피시설 인프라 구축 기준 430

2.2.8. 지구별 주민대피계획의 실효성 검증 및 매뉴얼 개발 501

2.2.9. 민방위 훈련 표준절차 재확립 541

2.2.10. GIS기반 대피시설 DB 구축 및 스마트폰용 대피유도 안내 앱 설계 556

제3장 2차년도 연구과제 663

3.1. 2차년도 연구개발 추진 일정 663

3.2. 2차년도 연구개발 내용 664

3.2.1. 대피시설의 대피 방호성능 확보를 위한 수준 개발 664

3.2.2. 대피시설의 성능개선을 위한 기준정립[보완·보강대책] 678

3.2.3. 대피수용 시설별 비상 생활지원 대책 개발 743

3.2.4. 기존시설물의 성능개선을 위한 필수 요구조건 기준정립 817

3.2.5. 민방위 편제 개선 854

3.2.6. GIS 기반 스마트폰용 대피유도 안내 앱 개발 869

3.2.7. 종합적 대피수용 방재체제 개발 960

3.2.8. 종합적 대피수용 방재체제 검증 테스트 베드 구축 1035

제4장 결론 1094

참고문헌 1118

부록 1123

부록 1. 삼공물산 화생방 대피설비 견적자료 1123

부록 2. 퓨처테크 화생방 대피설비 견적자료 1126

부록 3. 퓨처테크 화생방 대피설비 실구축관련 비용자료 1130

부록 4. 핵무기 위력과 열 복사량에 대한 지상 원점으로부터의 거리 1132

부록 5. 지상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에 접촉 및 근접폭발 효과 1133

부록 6. 지하철근 콘크리트에 대한 폭발 효과 연관표 1135

부록 7. 기밀 공간에서의 이산화탄소 증가 계산공식 및 계산결과 1138

부록 8. 공중 및 지표면 폭발에 의한 최대 충격압력 및 반사압력 1139

부록 9. 민방위 대피시설 화생방 설비 견적조사 1142

표 2.1. 전수조사대상 권역별 현황 67

표 2.2. 표본조사대상 권역별 현황 68

표 2.3. 조사대상 권역 74

표 2.4. 민방위 대피시설 확보 현황(전국, 2010년말 기준) 75

표 2.5. 민방위 대피시설 확보 현황(서울, 2010년말 기준) 76

표 2.6. 조사대상 건물 지상층수 77

표 2.7. 조사대상 건물 지상면적 78

표 2.8. 조사대상 건물 지하층수 78

표 2.9. 조사대상 건물 지하면적 79

표 2.10. 조사대상 시설종류 80

표 2.11. 조사대상 위치(층수) 81

표 2.12. 조사대상 규모(면적) 82

표 2.13. 조사대상 수용인원 83

표 2.14. 조사대상 계단설치 개수 83

표 2.15. 조사대상 인접대피시설과의 거리(도보) 84

표 2.16. 조사대상 건축연도 85

표 2.17. 조사대상 내부에 별도의 대피공간(격실) 유무 86

표 2.18. 조사대상 내부에 별도의 대피공간(격실) 개구부 개수 86

표 2.19. 조사대상 방폭문 유무 87

표 2.20. 조사대상 출입문 재질 88

표 2.21. 조사대상 출입구 개수 88

표 2.22. 조사대상 창문 개수 89

표 2.23. 조사대상 주출입구 개수 89

표 2.24. 조사대상 출입구 진입방식 90

표 2.25. 조사대상 점검일지 유무 90

표 2.26. 조사대상 연간 점검회수 91

표 2.27. 조사대상 안내표지판 부착 유무 92

표 2.28. 조사대상 유도표지판 부착 유무 92

표 2.29. 조사대상 자가발전기 유무 93

표 2.30. 조사대상 자가발전기 용량 93

표 2.31. 조사대상 형광등 개수 94

표 2.32. 조사대상 비상구유도등 개수 95

표 2.33. 조사대상 유선전화 유무 95

표 2.34. 조사대상 CCTV 유무 96

표 2.35. 조사대상 이동통신설비 유무 96

표 2.36. 조사대상 방송설비 유무 97

표 2.37. 조사대상 인터폰설비 유무 97

표 2.38. 조사대상 인터넷설비 유무 97

표 2.39. 조사대상 자동화재탐지설비 유무 98

표 2.40. 조사대상 연기감지기 유무 98

표 2.41. 조사대상 화재경보기 유무 99

표 2.42. 조사대상 스프링클러 유무 99

표 2.43. 조사대상 소화기 유무 100

표 2.44. 조사대상 배연시스템 유무 100

표 2.45. 조사대상 냉온풍기 유무 101

표 2.46. 조사대상 냉난방공기조화설비 유무 101

표 2.47. 조사대상 공기공급장치 유무 102

표 2.48. 조사대상 급수시설 유무 102

표 2.49. 조사대상 지하저수조 유무 103

표 2.50. 조사대상 지하저수조 용량 103

표 2.51. 조사대상 배수시설 유무 104

표 2.52. 조사대상 세면대 유무 104

표 2.53. 조사대상 화장실 유무 105

표 2.54. 조사대상 배설물 처리시설 유무 105

표 2.55. 조사대상 마트 유무 106

표 2.56. 조사대상 비상식량확보 가능성 유무 106

표 2.57. 표본조사대상 위협유혈별 현황 114

표 2.58. 표본대상 권역 115

표 2.59. 성별 133

표 2.60. 비상사태시 대피장소 134

표 2.61. 대피시설위치 인지여부 134

표 2.62. 대피시설 신뢰정도 135

표 2.63. 대피시설의 가장 취약하다고 느끼는 위험 135

표 2.64. 대피시설의 가장 안전하다고 느끼는 위험 136

표 2.65. 가상데이터를 사용한 결과 141

표 2.66. 각 케이스의 대피거리 분포 히스토그램 142

표 2.67. 서울 강남구 대피시설 영역 및 위치 현황 143

표 2.68. 요약통계량 비교 143

표 2.69. 정립모델 SWOT 분석 173

표 2.70. 민방위 대피시설 관련 법령 177

표 2.71. 민방위 대피시설 정립모델(안) 178

표 2.72. 민방위 대피시설 장단기 개념 정립모델 기준 179

표 2.73. 지구별 대피모델 분석결과 190

표 2.74. 민방위 대표모델 분석 종합결과 192

표 2.75. 전국 민방위 대피시설 전수조사 결과(부분발췌) 203

표 2.76. 민방위 대피시설에 대한 국민 인식도 조사 결과 206

표 2.77. 미국의 대피시설에 대한 인식도 설문 결과 208

표 2.57. 유럽형 대피시설의 개념 및 특징 213

표 2.58. 미국의 안전구역(safe zone) 개념 215

표 2.59. 미국의 대 국민 화생방 건물 내 대피소의 등급 기준 216

표 2.60. 연방재난관리청(FEMA)의 화학테러 국민행동요령 216

표 2.61. 북미(대륙)형 대피시설의 개념 및 특징 218

표 2.62. 최적 대피시설 개념 선정을 위한 요인 비교 분석 222

표 2.63. 최적 대피시설 개념 선정을 위한 과제식별 223

표 2.64. 핀란드의 대피시설관련 기준(추정치) 236

표 2.65. 민방위 대피시설 정의(안) 239

표 2.66. 대피능력에 따른 대피시설 구분 241

표 2.67. 현행 대피시설의 기준 내용 245

표 2.68. 국내외 1인당 대피시설 소요면적 비교 246

표 2.69. 대피시설의 건축물 규격 기준(안) 251

표 2.70. 대피시설의 건축물 소요기준(안) 252

표 2.71. 도시테러 영향지대 및 테러유형 분류 260

표 2.72. 투발수단별 무력공격 시나리오(공격양상) 261

표 2.73. 한국에서 발생 가능한 대피요구 재난유형 분류 263

표 2.74. 재난유형별 위협 영향력 평가 기준 264

표 2.75. 국내 산업용 유독성 물질(TIC)의 영향력 범위(대규모 사고) 271

표 2.76. 미 국방부의 TIC 사고 시의 위험거리 지침 272

표 2.77. 누출 방사성 물질의 영향력 범위(PAG) 274

표 2.78. 산업용 유독성 물질(TIC)의 테러사용 시 영향력 범위(소규모) 278

표 2.79. 무기별 폭파구(관통능력) 영향력 범위 280

표 2.80. 핵 폭발 시 방사능의 인체 영향력 범위 282

표 2.81. 투발수단별 화학무기 영향력 범위(풍속 10㎞/h 이상일 때) 283

표 2.82. 미 국민의 재난경고에 대한 통제 수락정도 시험 결과 286

표 2.83. 재난 대응을 위한 한국형 방호지대 개념 293

표 2.84. 화학사고 방호지대 모형 구성(C-1) 295

표 2.85. 화학테러 방호지대 모형 구성(C-2) 296

표 2.86. 화학공격 방호지대 모형 구성(C-3) 297

표 2.87. 방사능 테러/사고 방호지대 모형 구성(R-1) 298

표 2.88. 방사능 원전사고 방호지대 모형 구성 (R-2) 300

표 2.89. 관련기관(국방부)의 유사 권역분류 기준 307

표 2.90. 화학사고 대피권역 설정 308

표 2.91. 울산 석유화학단지 개요 309

표 2.92. 여수 석유화학단지 개요 310

표 2.93. 화학테러 대피권역 설정 314

표 2.94. 화학공격(미사일·포) 대피권역 설정 317

표 2.95. 방사능 테러/사고 대피권역 설정 320

표 2.96. 방사능 테러/사고 대피권역 설정 322

표 2.97. 국지도발(화학탄, 포탄) 권역 설정 328

표 2.98. 민방위 사태 위협별 종합대피권역 분류도(안) 332

표 2.99. 이종위협 중복지역 현황 332

표 2.100. 정부지원 대피시설 345

표 2.101. 공공용 대피시설 348

표 2.102. 민방위 대피시설 전수조사 결과 종합 348

표 2.103. 서해 5도 대피시설 현대화 확충 사업현황 350

표 2.104. 접경지역 대피시설 확충 사업현황 350

표 2.105. 화성시 소재 충무시설 규모 및 건설비용 352

표 2.106. A업체, 화생방 대피시설 설비비용(660㎡ 기준) 353

표 2.107. B업체, 화생방 대피시설 설비비용(660㎡ 기준) 354

표 2.108. C업체, 화생방 대피시설 설비비용(서해 5도 실 공사 기준) 354

표 2.109. 대피시설 형태에 따른 조건 및 특징 359

표 2.110. 미국의 화생방 대피시설 등급 362

표 2.111. 건물의 양압 누설비율 364

표 2.112. 0.1in wg(24.9Pa) 양압에서의 1ft²당 누설비율 365

표 2.113. 토네이도, 허리케인 대피소요면적 366

표 2.114. MERV 지수에 따른 정화효율 369

표 2.115. 통풍형 화생방 대피시설의 환기량 373

표 2.116. 북한의 미사일 제원 378

표 2.117. 북한의 탄도미사일 성능 및 수량 379

표 2.118. 재래식 폭탄 위협에 따른 재료들의 방호두께 381

표 2.119. Y의 값(콘크리트 압축강도에 따른 계수) 381

표 2.120. AP 및 SAP 탄의 철근콘크리트 침투깊이 382

표 2.121. 탄종별 이격거리에 따른 압력 및 압력(폭풍)에 따른 인명피해 383

표 2.122. 고폭탄 대비 화생방 무기의 피해효과 384

표 2.123. 북한의 화학 작용제 생산공장 385

표 2.124. 독성화학물질의 종류 및 특성 387

표 2.125. 화학 작용제의 독성 388

표 2.126. 북한 예상 보유 생물학 무기 388

표 2.127. 화생방 무기효과 비교표 389

표 2.128. 일본에 투하된 핵무기의 종류와 위력 390

표 2.129. 핵무기 폭발 위치에 따른 특징 391

표 2.130. 폭풍파 압력에 의한 구조물 및 인체 피해 형태 392

표 2.131. 공중 폭발 1MT급 핵무기의 폭풍 및 열 복사선 효과의 비교 392

표 2.132. 구조물에 대한 선량 전환인수 393

표 2.133. 노출 인원에 대한 핵 방사선의 생물학적 효과 394

표 2.134. 현행 대피시설의 구분 398

표 2.135. 화생방 대피시설의 일반적 조건 399

표 2.136. 화생방 대피시설의 기술적 조건 401

표 2.137. 대피시설 유형별 특징 402

표 2.138. 화생방 대피시설 계획의 설계 기준 개선(안) 407

표 2.139. 북한의 Torpex 항공탄 작약기준 410

표 2.140. 화생방 설비 인증 및 시험 수행 가능 기관 416

표 2.141. 대피시설의 분류 및 주요 기준 427

표 2.142. 접지의 종류 및 내용 431

표 2.143. 비상발전기의 비상연료 비축량 432

표 2.144. 민방위 대피시설의 조명 밝기기준 433

표 2.145. KSA 3011 (한국산업규격 조도기준) 조도범위 434

표 2.146. 인터폰 설비의 구축 위치 437

표 2.147. CCTV 설비의 구축 위치 438

표 2.148. 급수탱크 설비의 구축 위치 440

표 2.149. 급수량의 산정 440

표 2.150. 충무지휘시설의 배수탱크 구축 위치 443

표 2.151. 방폭문의 구축 위치 및 방호성능 445

표 2.152. 방폭문의 기본 규격 및 수량 446

표 2.153. 기밀문의 구축 위치 448

표 2.154. 방폭밸브의 종류와 용도 449

표 2.155. 역류방지밸브의 구축 위치 452

표 2.156. 공기정화 여과기의 형태 및 특징 455

표 2.157. 충무지휘시설의 오염통제구역 필수구비 설비 및 품목 457

표 2.158. 주민대피시설의 오염통제구역 필수구비 설비 및 품목 460

표 2.159. 전투기 및 민항기 불시착에 따른 경보발령 463

표 2.160. 민방위 경보의 신호방법 464

표 2.161. 주요 화학작용제의 독성 466

표 2.162. 종에 따른 중간치사량의 변하 계산법 467

표 2.163. 화학작용제의 특성 및 영향 468

표 2.164. 주요 화학물질의 IDLH 및 AEGL 농도 468

표 2.165. 전쟁용 화학작용제에 대한 IDLH 및 AEGL 수준 469

표 2.166. 화학작용제의 일반적 화학 특성 470

표 2.167. 북한의 생화학무기 관련 시설 및 물질별 질병 발현 병원체 수 471

표 2.168. 방사선 종류에 따른 영향 473

표 2.169. 급성 피폭에 의한 증상 및 방사능 피폭에 민감한 신체조직 474

표 2.170. 화학 탐지장비 선정요소 점수표 475

표 2.171. 미국의 화학 탐지장비의 선택요소 475

표 2.172. 고정 및 휴대형태의 화학탐지 예시 477

표 3.173. 긴급 주민보호조치의 결정기준 480

표 3.174. 자연 및 인공 방사선의 피폭량 481

표 2.175. 일반 유도(좌) 및 형광유도 방식(우) 484

표 2.176. 방폭문 및 기밀문 점검표 485

표 2.177. 흡·배기용 방폭밸브(위생용 및 역류방지겸용 밸브 포함) 점검표 488

표 2.178. 역류방지밸브 점검표 490

표 2.179. 가스차단밸브 점검표 492

표 2.180. 가스차단접속관 점검표 493

표 2.181. 가스입자여과기 점검표 494

표 2.182. 화생방 탐지장비 점검표 496

표 2.183. 가스입자여과기 점검표 499

표 2.184. 주민대피계획 관련 법령 503

표 2.185. 조사 지구별 개요 및 위협유형 504

표 2.186. 울진원자력발전소 발전현황 509

표 2.187. 영광원자력발전소 발전현황 509

표 2.188. 지구별 주민대피계획의 현황분석 515

표 2.189. 국외 주민대피계획의 현황분석 518

표 2.190. ○○시군구의 대피시설확보 현황 526

표 2.191. ○○시군구의 구역별 대피시설확보 현황 527

표 2.192. ○○시군구의 동별 대피시설확보 현황 528

표 2.193. ○○시군구의 구역별 대피시설확보 현황(예) 528

표 2.194. ○○시군구의 대피시설 상세설명 531

표 2.195. ○○시군구의 대피시설관리자 지정 현황 532

표 2.196. ○○시군구의 대피유도요원 지정 현황 533

표 2.197. 상황별 조치단계 및 임무 534

표 2.198. ○○구역 내 재해약자 현황 539

표 2.199. ○○구역 내 피난용 차량 확보 현황 540

표 2.200. 민방위대의 임무 544

표 2.201. 각국의 민방위 기능별 비교 552

표 2.202. 각국의 민방위제도 운영비교 552

표 2.203. 유스케이스 목록 561

표 2.204. 유스케이스 목록 563

표 2.205. Push 메시지 표시 화면 579

표 2.206. 화면 레이아웃 580

표 2.207. 대피소 위치 안내 화면 581

표 2.208. 대피소 위치 안내 화면 582

표 2.209. 설정 화면 583

표 2.210. 번호항목 설정 589

표 2.211. 제목/경로 표시줄 설정 590

표 2.212. 관련파일 590

표 2.213. 번호항목 설명 592

표 2.214. 제목/경로표시줄 출력 592

표 2.215. 지도 출력 593

표 2.216. 남은거리 출력 593

표 2.217. 이벤트 594

표 2.218. 관련파일 594

표 2.219. 번호항목 설명 596

표 2.220. 제목/경로표시줄 출력 596

표 2.221. 시설물 상세안내 이벤트 596

표 2.222. 발생정보 상세안내 출력 597

표 2.223. 관련 파일 597

표 2.224. 유스케이스 목록-사용자용 601

표 2.225. 유즈케이스 목록-관리자용 601

표 2.226. 검색 항목 641

표 2.227. 대피소 안내 이벤트 641

표 2.228. 대표소 안내 관련 파일 641

표 2.229. 검색항목 645

표 2.230. 대피소안내(관리자) 이벤트 646

표 2.231. 대표소안내 관련 파일 647

표 2.232. 인덱스 653

표 2.233. 대피소 조사정보 테이블 654

표 3.1. 국지도발 위험에 대한 대응설계요소 668

표 3.2. 화생방/생물학 위험에 대한 대응설계요소 669

표 3.3. 화생방/생물학 위험에 대한 대응설계요소 670

표 3.4. 1차년도 실태조사 항목 선별 및 추가 조사 필요항목 672

표 3.5. 국지도발에 대한 합격판정항목과 조건 673

표 3.6. 화학/생물학 위험에 대한 합격판정항목과 조건 673

표 3.7. 방사능 위험에 대한 합격판정항목과 조건 674

표 3.8. 화생방 대피시설 전환가능 시설 재분류 결과 676

표 3.9. 시·도별 화생방 대피시설 전환 가능 시설 재분류 현황 677

표 3.10. 현행 민방위 대피시설의 구축 기준 680

표 3.11. 오염통제구역(CCA : Contamination Control Area) 683

표 3.12. 민방위 대피시설의 분류에 따른 내용 689

표 3.13. 정부지원 충무지휘시설의 방호 성능 690

표 3.14. 충무지휘시설의 양압 기준 및 외기 방호 성능 693

표 3.15. 국가별 대피시설의 양압 기준 비교 693

표 3.16. 정부지원 충무지휘시설의 설치 기준 697

표 3.17. 정부지원 주민대피시설의 방호 성능 699

표 3.18. 정부지원 주민대피시설의 오염통제구역 구성 및 양압 기준 702

표 3.19. 정부지원 주민대피시설의 설치 기준 703

표 3.20. 1차년도 연구결과에 따른 공공용시설의 구축 기준 706

표 3.21. 포탄 폭발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거리별 외벽 두께 708

표 3.22. 공중 및 지표면 폭발에 의한 거리별 최대 압력 709

표 3.23. 단개형 방폭문(3bar 기준)의 실증시험 사례 710

표 3.24. 터널에서의 초과압력 전달율(Pso≤3.5kg/㎝²의 경우)(이미지참조) 711

표 3.25. 기존 소요 면적 산출 기준 715

표 3.26. 국가별 대피시설의 소요 면적 기준 비교 715

표 3.27. 대피시설내 추가 확보 권장 소요 면적 716

표 3.28. 이산화닫소(CO₂) 농도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 717

표 3.29. 외국의 이산화탄소(CO₂) 허용 기준 718

표 3.30. 국가별 대피시설의 1인당 환기량 기준 비교 719

표 3.31. 공공용시설의 방호 성능 721

표 3.32. 공공용시설의 설치 기준 721

표 3.33. 일반용 시설(기밀형)의 기준 725

표 3.34. Plastic Sheeting지 두께별 액체작용제의 보호 성능 729

표 3.35. 충무지휘시설의 비용분석 730

표 3.36. 정부지원 화생방 주민대피시설의 비용분석 731

표 3.37. 공공용 화생방 대피시설의 비용분석 732

표 3.38. 테스트베드(공공용 화생방 대피시설) 소요비용 734

표 3.39. 미국의 기밀시트 가격비교 736

표 3.40. 민방위사태와 관련한 비상사태 구분 739

표 3.41. 민방위 대피시설의 사태별 운영준비 시기 및 기본 준비사항 740

표 3.42. 정부지원 대피시설 745

표 3.43. 국내외 1인당 대피시설 소요면적 비교 749

표 3.44. 설계 성능 기준 검토 항목 750

표 3.45. 대피시설의 구분 개선(안) 753

표 3.46. 확보해야 하는 재해구호물자의 종류 및 기준 758

표 3.47. 국내 재해구호법 기준 비상 생활 지원 키트 구성예시(1)(4인기준) 759

표 3.48. 국내 재해구호법 기준 비상 생활 지원 키트 구성예시(2)(4인기준) 760

표 3.49. 국내 재해구호법 기준 비상 생활 지원 키트 구성예시(3)(4인기준) 761

표 3.50. 국내 재해구호법 기준 비상 생활 지원 키트 구성예시(4)(4인기준) 762

표 3.51. 국내 재해구호법 기준 비상 생활 지원 키트 구성예시(5)(4인기준) 763

표 3.52. 개인용 응급 구호 세트 지급 비율 768

표 3.53. 미국 비상용품 리스트 770

표 3.54. 개인상황을 고려한 추가적인 미국 비상용품 리스트 771

표 3.55. 일본 비상용품 리스트 776

표 3.56. 캐나다 비상용품 리스트 780

표 3.57. 이스라엘 비상용품 리스트 783

표 3.58. 비상 생활 지원 키트 구성 품목 분류 792

표 3.59. 국가별 비상 생활 지원 키트 구성 795

표 3.60. 위협별/영향력 분석범위 796

표 3.61. 비상 생활 지원 키트 분담 798

표 3.62. 비상 생활 지원 키트 개선안 798

표 3.63. 개인용 비상생활지원키트(4인 가족 3일 생존) 799

표 3.64. 하루 권장 칼로리 800

표 3.65. 비상생활키트 비상식량 추천 801

표 3.66. 비상생활키트 임시주거용품 추천 802

표 3.67. 비상생활키트 위생용품 추천 803

표 3.58. 비상생활키트 응급처치용품 추천 804

표 3.69. 비상생활키트 화생방용품 추천 805

표 3.70. 비상생활키트 통신용품 추천 807

표 3.71. 미국의 대피시설 내 비상생활지원 품목 809

표 3.28. 대피시설용 비상용품 세트 구성 811

표 3.73. 연천군 신서면 주민대피소 일반현황 818

표 3.74. 연천군 신서면 주민대피소 실태조사(1) 819

표 3.75. 연천군 신서면 주민대피소 실태조사(2) 820

표 3.76. 연천군 신서면 주민대피소 실태조사(3) 821

표 3.77. 연천군 대광리 주민대피소 일반현황 822

표 3.78. 연천군 신서면 대광리 주민대피소 실태조사(1) 822

표 3.79. 연천군 신서면 대광리 주민대피소 실태조사(2) 823

표 3.80. 연천군 신서면 대광리 주민대피소 실태조사(3) 824

표 3.81. 연천군 중면 삼곳리 주민대피소 일반현황 825

표 3.82. 연천군 중면 삼곳리 주민대피소 실태조사(1) 825

표 3.83. 연천군 중면 삼곳리 주민대피소 실태조사(2) 826

표 3.84. 연천군 중면 삼곳리 주민대피소 실태조사(3) 827

표 3.85. 연천군 백학면 두일리 주민대피소 일반현황 828

표 3.86. 연천군 백학면 두일리 주민대피소 실태조사(1) 828

표 3.87. 연천군 백학면 두일리 주민대피소 실태조사(2) 829

표 3.88. 연천군 백학면 두일리 주민대피소 실태조사(3) 830

표 3.89. 연천군 하성면 석탄리 주민대피소 일반현황 831

표 3.90. 연천군 하성면 석탄리 주민대피소 실태조사(1) 831

표 3.91. 연천군 하성면 석탄리 주민대피소 실태조사(2) 832

표 3.92. 연천군 하성면 석탄리 주민대피소 실태조사(3) 833

표 3.93. 김포시 하성면 마근포리 주민대피소 일반현황 834

표 3.94. 김포시 하성면 마근포리 주민대피소 실태조사(1) 834

표 3.95. 김포시 하성면 마근포리 주민대피소 실태조사(2) 835

표 3.96. 김포시 하성면 마근포리 주민대피소 실태조사(3) 836

표 3.97. 김포시 하성면 시암 2리 주민대피소 일반현황 837

표 3.98. 김포시 하성면 시암 2리 주민대피소 실태조사(1) 837

표 3.99. 김포시 하성면 시암 2리 주민대피소 실태조사(2) 838

표 3.100. 김포시 하성면 시암 2리 주민대피소 실태조사(1) 839

표 3.101. 기존 시설물의 현황분석 결과 842

표 3.102. 관통부 등 내부벽체 기밀 작업 846

표 3.103. 방폭문 847

표 3.104. 외부 기밀 및 방폭밸브 설치공사 848

표 3.105. 기밀문 설치공사 사례 850

표 3.106. 가스여과기의 설치 851

표 3.107. 메인 전원 교체 및 자동제어 판넬 설치 852

표 3.108. 화생방작용제 탐지기 관련 입선 및 통신용 포설공사 853

표 3.109. 시설기준 878

표 3.110. 건축물규격기준(바닥면적, 벽두께, 높이) 878

표 3.111. 기준점별거리-직선거리(권역별 기준점) 879

표 3.112. 장비구입(H/W, S/W 구입 포함) 산출 근거 883

표 3.113. 1차년도 위협별 방호지대 모형값 906

표 3.114. 속성DB 차이점 940

표 3.115. 앱의 차이점 941

표 3.116. 화면목록표 943

표 3.117. 테이블목록표 951

표 3.118. 물질정보 951

표 3.119. 위치정보 952

표 3.120. 센서정보 953

표 3.121. 수집정보(방사능 정보) 954

표 3.122. 댐퍼정보 954

표 3.123. 인터페이스 955

표 3.124. 감지탐지장비 957

표 3.125. 민방위 대피시설 세부 분류 내용 962

표 3.126. 재난대응을 위한 한국형 방호지대 개념 963

표 3.127. 재난위협별 방호지대구성(거리) 965

표 3.128. 화학재난 위협 대피 모헝 966

표 3.129. 방사능 재난 위협 대피 모형 966

표 3.130. 재난별 민방위 대피수용체제 적용지역 967

표 3.131. 이종 재난 위협 중복이험지역 969

표 3.132. 방호지대 내 대피시설 운용 지첨 970

표 3.133. 정부지원 대피시설의 방호시설 기준 972

표 3.134. 정부지원 민방위 대피시설의 인프라 구축 기준 976

표 3.135. 민방위 주민대피시설 계획 시 고려사항 982

표 3.136. 공공 및 일반용 시설의 방호기준 984

표 3.137. 공공용 및 일반시설의 인프라 시설 기준 989

표 3.138. 공공용 및 일반용 주민대피시설의 설계 및 지정조건 993

표 3.139. 민방위 대피시설의 외부지원 인프라 소요 994

표 3.140. 화생방 방호시설(SIP)의 등급 분류 995

표 3.141. 화생방 방호시설 등급별 지정 조건 999

표 3.142. 화생방 방호 대피시설 공사 범위 1003

표 3.143. 화생방 방호 대피시설의 방호도 시험범위 1003

표 3.144. 화생방 방호 대피시설(양압형)표준 보강소요 예산 1005

표 3.145. 대피시설 전환 가능 물자의 방호능력 1010

표 3.146. 비통풍형 건물 내 대피소(SIP) 전환 절차/ 지침 1011

표 3.147. 장 단기 대피시설 비상 생활지원 키트의 차이 1016

표 3.148. 개인별 준비휴대품목 현황 1017

표 3.149. 대피시설용 비상용품 세트 구성 1019

표 3.150. 화생방 공격 시 건물 내 대피소(SIP)의 HVAV 비상 대응 절차 1023

표 3.151. 화생방 공격 해제 시 건물 내 대피소(SIP)의 HVAV 비상 대응 절차 1026

표 3.152. 탐지장비 성능요구 조건 1030

표 3.153. 대피시설 안내(아내) 표시판 1033

표 3.154. 추적가스의 종류 1042

표 3.155. 기밀성능 측정방법의 특성과 장단점 비교 1043

표 3.156. 등급에 따른 과압 설정 1057

표 3.157. 건물 내외부 압력와 ACH에 따른 주택 구분 기준 1060

표 3.158. 휴대용 화학탐지장비 1071

표 3.159. 휴대용 화학탐지장비 점수표 1072

표 3.160. 고정형 화학탐지장비 1074

표 3.161. 생물학 탐지장비 및 물자 1076

표 3.162. 생물학 물질의 탐지 또는 식별법의 장.단점 1078

표 3.163. 주요 생물학 물질의 최저 감염 개체수 1079

표 3.164. 긴급 주민보호조치의 결정기준 1079

표 3.165. 고정형 화학·방사능 탐지장비 성능 1081

표 3.166. 휴대형 화학·방사능 탐지장비 성능 1082

표 3.167. 실험 결과 값 정리 1088

표 3.168. 실험 결과 값 정리 1090

그림 1.1. 연구개발 목적 61

그림 2.1. 연구개발 추진 일정 63

그림 2.2. 용량 무제한모델의 대피시설 권역 144

그림 2.3. 용량 제한모델의 대피시설 권역 144

그림 2.4. 그리드별 대피거리 분포 145

그림 2.5. 대피시설별 평균대피거리 분포 145

그림 2.6. 대피시설별 최소대피거리 분포 145

그림 2.7. 대피시설별 최대대피거리 분포 145

그림 2.8. 대피시설별 대피인구 분포 145

그림 2.9. 대피시설별 대피면적 분포 145

그림 2.10. 민방위 대피시설 지정 절차 177

그림 2.11. 화학미사일 2㎞ 권역 (서울, 경기) 181

그림 2.12. 화학미사일 12㎞ 권역 (서울, 경기) 181

그림 2.13. 화학탄 1㎞ 권역 (서해 5도 지역) 183

그림 2.14. 화학탄 10㎞ 권역 (서해 5도 지역) 184

그림 2.15. 화학탄 1㎞ 권역 (강원지역) 184

그림 2.16. 화학탄 10㎞ 권역 (강원지역) 184

그림 2.17. 화학사고 2㎞ 권역 (시화공업단지) 186

그림 2.18. 화학사고 15㎞ 권역 (시화공업단지) 186

그림 2.19. 화학사고 40㎞ 권역 (시화공업단지) 186

그림 2.20. 방사능사고 3㎞ 권역 (고리원전) 187

그림 2.21. 방사능사고 10㎞ 권역 (고리원전) 188

그림 2.22. 방사능사고 20㎞ 권역 (고리원전) 188

그림 2.23. 방사능사고 50㎞ 권역 (고리원전) 188

그림 2.24. 화생방테러 1㎞ 권역 (대구지역) 189

그림 2.25. 화생방테러 10㎞ 권역 (대구지역) 190

그림 2.26. 건물의 형태별 화학 유독성 방호도 시험결과 219

그림 2.27. 동일 건물내의 격실별 공간에 대한 화학 유독성 방호도 시험 결과 220

그림 2.28. 건물의 방호도를 고려한 위협별 대피시설 분류 225

그림 2.29. Azrieli 초고층 건물의 대피소 228

그림 2.30. 텔이비브의 지하 병원 화생방 대피시설 229

그림 2.31. 대피시설 비상 킬 구성 230

그림 2.32. 핀란드의 민방위 대피시설 분류 231

그림 2.33. 일반 건물의 지상 Common Shelter의 모습 232

그림 2.34. 일반 건물의 지하 Common Shelter의 모습(설비관련업체전시장) 233

그림 2.35. 핀란드 지하철 역사의 화생방 방호설비 234

그림 2.36. 헬싱키의 Ruoholahti 지하철 역 대피시설 입구 및 화생방 통제실 235

그림 2.37. 암석교회 대피시설 235

그림 2.38. 기타 Public Shelter(체육시설, 주차장)의 모습 236

그림 2.39. 비상재난대응 킬 238

그림 2.40. 기후변화에 따른 기습 폭우피해 256

그림 2.41. 한반도 및 주변 지진발생빈도/강도 증가 257

그림 2.42. 백두산 화산폭발의 전조 증상 258

그림 2.43. 화학 및 방사능 사고의 증가 259

그림 2.44. 북한군 방사포에 의한 접경지역 화학공격 261

그림 2.45. 핵 및 화생 공격 시의 피해예측 모형 262

그림 2.46. 동해안 지역의 쓰나미 영향력(1)(1983.5.26) 266

그림 2.47. 동해안 지역의 쓰나미 영향력(2)(1983.5.26) 267

그림 2.48. 동일본 대지진 쓰나미 영향(후쿠시마 원전) 267

그림 2.49. 백두산 화산폭발의 영향력 범위 268

그림 2.50. 방사능 물질 사고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 273

그림 2.51.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시의 방사능 오염 영향 거리 274

그림 2.52. 주변국가의 방사능 사고 시 한반도 영향 275

그림 2.53. 핵(낙진)/ 방사능 대피시설 최적 위치와 방호도 276

그림 2.54. 전쟁용 독성작용제의 AEGL 기준 279

그림 2.55. 핵무기 공격 시의 효과 영향력 범위 281

그림 2.56. 미국의 비상계획지대(EPZ)의 개념 288

그림 2.57. 미국의 비상대응지대(ERZ)의 개념 289

그림 2.58. NATO의 위험예측지대 개념 290

그림 2.59. NATO의 방사능 테러/사고 방호지대 모형 299

그림 2.60. 국가별 원전사고 방사능 방호지대 구성 300

그림 2.61. 민방위 사태 위협별 방호지대 모형 302

그림 2.62. 대산 석유화학단지 개요 312

그림 2.63. 시화(반월)공단 개요 312

그림 2.64. 구미공업단지(1) 개요 313

그림 2.65. 삼성동 서울 코엑스 315

그림 2.66. 부산 벡스코 315

그림 2.67. 제주 서귀포 국제 컨벤션 센터 316

그림 2.68. 서울 정부중앙청사 지역 318

그림 2.69. 대구 비행장 지역 319

그림 2.70. 진해항만 지역 319

그림 2.71. 국제선 여객 터미널 320

그림 2.72. 광주공항지역 321

그림 2.73. 대구 EXCO 지역 321

그림 2.74. 울진 원전 323

그림 2.75. 월성 원전 324

그림 2.76. 고리 원전 324

그림 2.77. 영광 원전 325

그림 2.78. 한국 원자력연구원 326

그림 2.79. 삼척 원전(예정) 326

그림 2.80. 영덕 원전(예정) 327

그림 2.81. 서해5도 329

그림 2.82. 강화, 김포 329

그림 2.83. 파주, 문산 330

그림 2.84. 동두천, 연천, 철원 330

그림 2.85. 화천, 양구, 인제 331

그림 2.86. 고성 331

그림 2.58. 이종위협 중복지역 현황 336

그림 2.59. WHO의 화학테러 대피모형 338

그림 2.60. NATO의 화학공격(미사일) 대피모형 338

그림 2.61. 화학대피모형 및 적용 위협별 재난 범위 341

그림 2.62. 방사능 대피모형 및 적용 위협별 재난 범위 341

그림 2.63. 화생방 대피시설의 표준 평면도 355

그림 2.64. 공공용 시설에서의 건물내 대피시설(SIP) 형태 360

그림 2.65. 일반 가정집에서의 건물내 대피시설(SIP) 형태 361

그림 2.66. 덕트 등의 신속 기밀이 가능한 대피공간의 모습 365

그림 2.67. 고 수준의 보호를 위한 HVAC 구성 예시 367

그림 2.68. 상용화 Carbon의 성능 비교표 371

그림 2.69. 미국의 화생방 대피시설에 사용되는 필터의 종류 예시 372

그림 2.70. 비통풍형 시설에서의 이산화탄소 증가추이 375

그림 2.71. 북한의 미사일 종류별 사거리 378

그림 2.72. 현 운영 대피시설 표식 396

그림 2.73. 지하 주차장의 모습과 관련 도면 403

그림 2.74. 강남역 지하상가 도면 예시 404

그림 2.75. 도심지 및 산악도로의 터널 예시 405

그림 2.76. 도심지의 지하보도 예시 406

그림 2.77. 도심지 지하차도 예시 406

그림 2.78. 일반용 대피시설을 위한 기밀 물자(미국) 409

그림 2.79. 저장화생방물자 신뢰성평가 외부기관 의뢰 절차도 417

그림 2.80. 제품인증 및 성능시험 운영절차도 418

그림 2.81. 해외인증제품 국내 인증 처리 절차 419

그림 2.82. 한국가스안전공사의 제품인증 및 성능시험 항목 420

그림 2.83. Blower Door를 활용한 공기량 공기 누설량 테스트 모습 421

그림 2.84. 도어의 기밀 유무에 따른 공기 누설량 422

그림 2.85. 미 육군의 건물에 대한 공기 누설량 테스트 방법 422

그림 2.86. 화생방 대피시설 검증 활용기관 423

그림 2.87. 국내 도어팬테스트 관련장비 및 수행모습 426

그림 2.88. 해외 도어팬테스트 관련 장비 426

그림 2.89. 화생방 대피시설 검증 활용기관 429

그림 2.90. 지하시설 소형 중계기 436

그림 2.91. 방호판의 형태 451

그림 2.92. 가스차단밸브 453

그림 2.93. 가스차단 접속관(좌) 및 MCT 블록(우) 454

그림 2.94. 필터 교체형 하우징 유닛 456

그림 2.95. 공공용 대피시설의 출입구 형태 462

그림 2.96. CWA(전쟁용 화학작용제)의 분류 465

그림 2.97. 방사선 종류의 특징 473

그림 2.98. 생물학탐지장비 운영 예시 478

그림 2.99. 생물학 물질 신속진단키트 479

그림 2.100. 현 운영 대피시설 표식 481

그림 2.101. 미국의 대피시설 유도 및 건물 표식 482

그림 2.102. 미국의 건물 내 대피소 위치 설명 예시 483

그림 2.103. 일반 유도(좌) 및 형광유도 방식(우) 483

그림 2.104. 연구의 개념 502

그림 2.105. 국내 지역 조사자료 513

그림 2.106. 국외(일본) 지역 조사자료 514

그림 2.107. 매뉴얼의 적용 범위 522

그림 2.108. ○○시군구의 대피시설 배치도 529

그림 2.109. ○○시군구의 대피시설 상세배치도 530

그림 2.110. 재난정보 전달체계 작성사례 537

그림 2.111. ○○시군구의 유관기관 비상연락망 작성사례 538

그림 2.112. 유스케이스도 564

그림 2.113. Push 메시지 표시 화면 579

그림 2.114. 화면 레이아웃 580

그림 2.115. 대피소 위치 안내 화면 581

그림 2.116. 대피소 안내 상세 화면 582

그림 2.117. 설정화면 583

그림 2.118. 시스템구성도 584

그림 2.119. 메뉴 화면 구성도 585

그림 2.120. 유도안내 탐색화면 589

그림 2.121. 대피소 유도안내 화면 591

그림 2.122. 대피소 상세안내 1 595

그림 2.123. 대피소 상세안내 2 595

그림 2.124. 대피유도 시스템 598

그림 2.125. 대피소 찾는 과정 599

그림 2.126. 대피소의 위치를 xml 형태로 제공 599

그림 2.127. 유스케이스도(사용자) 602

그림 2.128. 유스케이스도(관리자) 603

그림 2.129. 메인화면 630

그림 2.130. 내용 상세 화면 631

그림 2.131. 지도영역 632

그림 2.132. 지도안에서 상세 정보 화면 633

그림 2.133. 로그인 화면 634

그림 2.134. 내용 조회 화면 635

그림 2.135. 내용 상세 화면 636

그림 2.136. 메뉴 화면 구성도(사용자) 637

그림 2.137. 민방위대원 인증 화면 640

그림 2.138. 메뉴화면 구성도(관리자) 642

그림 2.139. 대피소 안내 화면 645

그림 2.140. 표본조사 조사 항목 649

그림 2.141. 표본조사 조사 항목2 649

그림 2.142. 조사한 엑셀자료를 업로드 하는 화면 650

그림 2.143. 표본조사 데이터 검증 및 수정하는 화면 650

그림 2.144. 조사한 주소와 좌표가 매칭된 주소를 보여주는 예시 651

그림 2.145. 표본조사 화면 예시 651

그림 2.146. 표본조사 결과 652

그림 2.147. 전수조사 결과 652

그림 2.148. 물리 ERD 655

그림 2.149. 논리 ERD 656

그림 3.1. 연구개발 추진 일정 663

그림 3.2. 대피소 적용 분류 측면의 구분 667

그림 3.3. 현행 민방위 대피시설의 분류도 679

그림 3.4. 현행 표준평면도의 문제점 682

그림 3.5. 주 출입구와 탈출로가 잘못 설치된 시설 개념도 685

그림 3.6.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출입구 형태 686

그림 3.7. 점검 및 성능 저해를 일으키는 방폭밸브 설치 예시 686

그림 3.8. 출입구가 이원화된 대피시설의 형태 687

그림 3.9. 민방위 대피시설의 분류 개선(안) 688

그림 3.10. 충무지휘시설의 표준평면도 수정(안) 방향 695

그림 3.11. 충무지휘시설의 표준 평면도(안) 697

그림 3.12. 정부지원 주민대피시설(고폭탄) 표준 평면도(안) 705

그림 3.13. 정부지원 주민대피시설(화생방) 표준 평면도(안) 706

그림 3.14. 고층건물에서의 건물 내부의 압력차 실측 결과 713

그림 3.15. 대상건물의 압력 분포 713

그림 3.16. 공공용시설의(화생방) 표준 평면도(안) A형 723

그림 3.17. 공공용시설의(화생방) 표준 평면도(안) B형 724

그림 3.18. 면적당 기밀공간의 이산화탄소 증가량(전고 2.5m 기준) 726

그림 3.19. 미국에서 시판중인 기밀시트 예시 727

그림 3.20. 폴리에틸렌 비닐의 두께별(inch) 화학 작용제 보호시간 728

그림 3.21. 기밀시트의 설치 예시 735

그림 3.22. 민방위 훈련 예시 743

그림 3.23. 비상 생활 예시 744

그림 3.24. 배설물 처리시설 유무 746

그림 3.25. 화장실 유무 746

그림 3.26. 운영매뉴얼 보유 현황 747

그림 3.27. 비상식량 확보가능성 747

그림 3.28. 민방위 필수 부대시설 748

그림 3.29. 대피소 부새 시설 예시 (스위스) 749

그림 3.30. 대피소 전수조사 주요 결과 751

그림 3.31. 대피소 시설 사례 751

그림 3.32. 장기 대피소 시설 사례 752

그림 3.33. 단기 대피소 753

그림 3.34. 가정 내 평시 비상대비 물품 754

그림 3.35. 재난구호법 시행령의 생필품 지급기준 755

그림 3.36. 이재민들 위해 배급되는 응급구호세트 756

그림 3.37. 사고지휘 체계 764

그림 3.38. 응급의료 작전 흐름도 764

그림 3.39. 재해구호 물류센터 767

그림 3.40. 피해 대응 네트워크 구성도 768

그림 3.41. 미국 비상 생활 지원 키트 사이트에 정의된 물품 예시-대학용, 지진용, 일반 772

그림 3.42. 미국FEMA 비상물품 목록 한국어 브로슈어 773

그림 3.43. 미국 3~4인용 비상 생활 지원 키트 예시 - 168, 370원 774

그림 3.44. 미군 군사식량-11번 파스타와 토마토소스 775

그림 3.45. 일본 소방청 비상 생활 지원 키트소개 777

그림 3.46. 일본의 전투식량 778

그림 3.47. 일본 피난대책 브로슈어 중 일상생활에서의 준비 편 778

그림 3.48. 일본 3~5인용 비상 생활 지원 키트 예시 - 약1,680,000원 779

그림 3.49. 캐나다 Get Prepared 사이트 779

그림 3.50. Get Prepared의 기본 키트 & 추가키트 & 차량용 준비사항 781

그림 3.51. 통합 비상 생활 지원 키트 품목과 무게 예시 782

그림 3.52. 이스라엘 비상 생활 지원 키트 782

그림 3.53. 이스라엘 가족을 위한 비상 생활 지원 키트에 관한 기사 784

그림 3.54. 이스라엘 가족을 위한 비상 생활 지원 키트에 관한 기사 784

그림 3.55. 이스라엘의 전투식량 785

그림 3.56. 미국의 국가 사고대응 시스템 786

그림 3.57. 미국CERT 훈련 모습 787

그림 3.58. 일본 응급구조 훈련 모습 및 자료 787

그림 3.59. 한국의 비상 생활 지원 키트 구성 품목 비율 788

그림 3.60. 일본의 비상 생활 지원 키트 구성 품목 비율 789

그림 3.61. 미국의 비상 생활 지원 키트 구성 품목 비율 790

그림 3.62. 캐나다의 비상 생활 지원 키트 구성 품목 비율 791

그림 3.63. 이스라엘의 비상 생활 지원 키트 구성 품목 비율 791

그림 3.64. 국가별 비상 생활 지원 키트 구성 조사표 794

그림 3.65. 각국의 각 품목별 품목 물품 개수 795

그림 3.66. 대피소의 역할 797

그림 3.67. 서바이벌 담요 801

그림 3.68. 임시 주거 물품 예시 803

그림 3.69. 비상생활용 응급 처치 키트 예시 804

그림 3.70. 비상시 화생방용품 805

그림 3.71. 전기 및 통신 용품 806

그림 3.72. 개별 준비 물품 807

그림 3.73. 비상대피시설 내 비상 생활 지원 물품 규정 (국내) 808

그림 3.74. 비상대피시설 내 비상 생활 지원 물품 규정 (미국) 809

그림 3.75. 비상생활지원키트 예시 812

그림 3.76. 응급지도 예시 813

그림 3.77. 응급구조의료장비 보관함(Lower Slaughter시) 815

그림 3.78. 보급 및 수송에 대한 개념도 816

그림 3.79. 연구의 개요 817

그림 3.80. 지방자치단체 단위의 통합민방위대 및 민방위본부 855

그림 3.81. 지자체단위 민방위본부 모듈형 조직 편성안 857

그림 3.82. 민방위대 지휘·명령권 분산안 864

그림 3.83. 정예민방위대 편성안 867

그림 3.84. 국내 GIS 시장 871

그림 3.85. 스마트폰에서 LBS지원을 위한 기술요소 874

그림 3.86. WAP 기반 푸쉬서비스 흐름도 875

그림 3.87. 속성 테이블 맵 876

그림 3.88. 편집도구 877

그림 3.89. 속성정보 수정 877

그림 3.90. 지대 거리값 880

그림 3.91. 재난메시지 수신 및 앱 실행 다이얼로그 889

그림 3.92. 앱 시작화면 890

그림 3.93. 메인메뉴 화면 891

그림 3.94. 재난발생정보 892

그림 3.95. 대피유도안내(유도안내 메뉴 및 지역선택) 893

그림 3.96. 대피유도안내(길안내 및 상세정보) 894

그림 3.97. 오프라인 대피유도안내(오프라인메뉴) 895

그림 3.98. 대피유도안내 오프라인(텍스트 대피소위치 안내) 896

그림 3.99. 대피소위치안내 897

그림 3.100. 민방위안내서비스 뉴스 898

그림 3.101. 민방위안내서비스 공지사항 899

그림 3.102. 민방위대피안내서 900

그림 3.103. 민방위사태 현장 신고하기 901

그림 3.104. 설정 902

그림 3.105. 재난 메시지 수신지역 설정 903

그림 3.106. 지도 다운로드 904

그림 3.107. 빠른길 찾기 흐름도 907

그림 3.108. 로그인 908

그림 3.109. 코드관리 909

그림 3.110. 상세코드관리 910

그림 3.111. 관리자설정 911

그림 3.112. 관리자관리 912

그림 3.113. 앱 사용자 관리 914

그림 3.114. 공지사항 915

그림 3.115. 발생내역 916

그림 3.116. 뉴스 917

그림 3.117. 민방위사태현장 신고관리 918

그림 3.118. 대피소관리 919

그림 3.119. 기준점별거리 920

그림 3.120. 대피소조사정보 921

그림 3.121. 대피소 상황 922

그림 3.122. 비상용생필품시설 923

그림 3.123. 시설점검 924

그림 3.124. 시설물정보 925

그림 3.125. 대피장소 관리자 926

그림 3.126. 민방위대원관리 927

그림 3.127. 재난시설정보관리 928

그림 3.128. 통계 929

그림 3.129. 민방위 대피소 안내 사용자 메인화면 930

그림 3.130. 발생정보 931

그림 3.131. 발생위치 932

그림 3.132. 빠른길찾기 933

그림 3.133. 대피소위치안내 934

그림 3.134. 뉴스 935

그림 3.135. 공지사항 936

그림 3.136. 민방위훈련 937

그림 3.137. 인적재난 937

그림 3.138. 무력공격 938

그림 3.139. 어플설치방법 939

그림 3.140. 사이트맵 939

그림 3.141. 메인화면 944

그림 3.142. 물질정보 등록/변경 945

그림 3.143. 위치정보 등록/변경 946

그림 3.144. 센서정보 등록/변경 947

그림 3.145. 댐퍼정보 등록/변경 948

그림 3.146. 운영현황관리 949

그림 3.147. 지침사항 949

그림 3.148. 발생현황 950

그림 3.149. 건물배치 현황 950

그림 3.150. 현재 시스템 구성도 958

그림 3.151. 향후 시스템구성도 958

그림 3.152. 민방위 대피시설 분류 체계 961

그림 3.153. 재난위협유형별 대피권역 분류 968

그림 3.154. 전국 재난 위협 유형별 종합 대피권역 분류도 969

그림 3.155. 충무시설 표준 설계도 977

그림 3.156. 접경지역 주민대피시설 표준 설계도(A헝) 978

그림 3.157. 접경지역 주민대피시설 표준 설계도(B헝) 979

그림 3.158. 접경지역 주민대피시설 표준 설계도(C형) 980

그림 3.159. 접경지역 주민대피시설 표준 설계도(D형) 981

그림 3.160. 공공용 시설의 화생방 방호용 공기여과 시스템 형태 986

그림 3.161. 공공용 주민대피시설 표준 설계도(양압 I 형) 990

그림 3.162. 보강형(II)대피시설의 보강공사의 예 1000

그림 3.163. 건물의 대피시설 환경 조사표 1001

그림 3.164. 일반용 건물의 건물내 대피소(SIP)운용 1006

그림 3.165. 키트 및 밀폐용 물자 1009

그림 3.166. SIP 키트 및 밀폐용 물자 사용방법 1012

그림 3.167. 민방위 대피용 비상 긴급물자 확보체제 구성 및 범위 1013

그림 3.168. 민방위 대피용 비상 생활지원 키트확보수준 및 개념 1015

그림 3.169. 표준 비상생활지원 키트(개인/가정용) 구성 1016

그림 3.170. 관할지역(대피소 역내)비상지원 시설 지도 1021

그림 3.171. 화생방 공격 시 건물 내 대피소(SIP)의 HVAV 운용모델(예) 1025

그림 3.172. 건물통제 시스템(BIS)의 관제화면 구성(예) 1027

그림 3.173. 건물의 비상 방재 계획 1028

그림 3.174. 건물 내 대피소(SIP)의 탐지장비 운용개념 1029

그림 3.175. 화재경보시스템을 이용한 건물 내부 경보 전달체제 1032

그림 3.176. 화생방 방호 대피시설 중 테스트 베드 검증 대상 1035

그림 3.177. 공공용 대피시설 양압(I)형 시설 원리 1036

그림 3.178. 공공용 대피시설 양압(I)형 전환 시설 개념 1037

그림 3.179. 일반용 대피시설 임시(III)형 전환 용품 및 시험 1038

그림 3.180. 실험 대상 구역의 도면 1044

그림 3.181. 대상공간에 대한 펜 가압법 실험장면 1045

그림 3.182. 실험결과 그래프 1046

그림 3.183. 추적가스 희석법 실험결과 그래프 1047

그림 3.184. 추적가스 희석법 실험 장면 1047

그림 3.185. 공공용 대피시설(양압 I) 실험 진행 계획 1048

그림 3.186. 공공용 대피시설(양압 I 형) 공기정화장치 구성 개념도 1049

그림 3.187. 공공용 대피시설(양압 I 형) 탐지장비 설치 개념도 1049

그림 3.188. 일반용 대피시설 임시(III)형 실험 진행계획 1050

그림 3.189. 일반용 대피시설(비통풍형) 실험 개념도 1051

그림 3.190. 송파구민회관 1052

그림 3.191. 제1여가교실 내부 1052

그림 3.192. 송파구민회관 지하층 내부와 실험장소 1053

그림 3.193. 송파구민회관 내부 구성 및 동선 (실험장소 제1여가교실) 1053

그림 3.194. 대상 장소의 실내와 반자내부 상황 1054

그림 3.195. 송파구민회관 제1여가실 및 내외부 주요 현장 1055

그림 3.196. 상황발생 및 주민 유입 시나리오 분석 1056

그림 3.197. 대상공간의 침기부분 측정 모습 1060

그림 3.198. 설치 공간 반자 내부 상황 (기밀 공사 전) 1061

그림 3.199. 기밀 시공 전후 비교 1061

그림 3.200. 기밀 시공 전후 비교 1062

그림 3.201. 주조정실 설치 1062

그림 3.202. 내부설치 위치 및 용도 1063

그림 3.203. M 98 Filter 치수 및 구조도 1064

그림 3.204. 공기정화시스템 설치 결과 1064

그림 3.205. 조작패널 및 기밀문, 방폭밸브 설치결과 1065

그림 3.206. 필터 및 에어락 설치 1065

그림 3.207. 필터유닛의 기밀 시험 기기 설치 1067

그림 3.208. 시험 설치 모습 1067

그림 3.209. 가스 살포지역과 방호구역 1068

그림 3.210. 복도부분 임시 기밀 1069

그림 3.211. 복도부분의 임시 기밀시공 1069

그림 3.212. 복도부분의 임시 기밀시공 1070

그림 3.213. 탐지장비 구축 위치 1083

그림 3.214. 대상구역의 평면도 1084

그림 3.215. 추적가스희석법 실험결과 그래프 (시공 전) 1085

그림 3.216. 추적가스희석법 실험결과 그래프 (시공 후) 1086

그림 3.217. SIP KIT 설치 시공 장면 1087

그림 3.218. 팬가압법 시험장면 1087

그림 3.219. ○○ 지역 대피소 내부 모습 1089

그림 3.220. 시설 내부 방폭벨드와 펜가압법 시험 모습 1089

그림 3.221. SIP KIT 시공 1091

그림 3.222. SIP KIT을 사용한 기밀 시공 1091

그림 3.223. SIP KIT 시공 1092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T000039283 전자형태로만 열람 가능함 전자자료 이용불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