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기후변화를 고려한 도시지역 내 탄력적 극한홍수 대응방안 : 2차년도 / 소방방재청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소방방재청, 2013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 가능함
자료실
전자자료
형태사항
xx, 409 p. : 삽화, 지도, 표 ; 27 cm
제어번호
MONO1201416786
주기사항
자연재해저감기술개발사업단
주관연구기관: 인천대학교
핵심연구책임자: 최계운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요약문

SUMMARY

목차

제1장 서론 25

1.1. 연구배경 및 목적 25

1.2. 연구범위 27

1.3. 연구내용 및 방법 29

제2장 국내·외 홍수대응방안 적용사례 31

2.1. 서론 31

2.2. 비구조물적 홍수대응방안 32

2.2.1. 국내 32

2.2.2. 미국 50

2.2.3. 영국 60

2.2.4. 프랑스 68

2.2.5. 스페인 72

2.2.6. 독일 73

2.2.7. 일본 76

2.2.8. 호주 86

2.2.9. 유럽의 종합계획 89

2.3. 구조물적 홍수방어 90

2.3.1. 국내 90

2.3.2. 일본 95

2.3.3. 영국 100

제3장 탄력적 홍수대응 대책 103

3.1. 탄력적 홍수대응 개념 103

3.2. 탄력적 홍수대응 원칙 104

3.2.1. 능동대처 및 연계운영 원칙 105

3.2.2. 탄력적 홍수대응의 자연과 공존 원칙 109

3.3. 비구조물적 홍수대응 대책 110

3.3.1. 일반적 경향 110

3.3.2. 정책적 대응대책 112

3.3.3. 홍수저감대책 118

3.3.4. 홍수피해 저감대책 120

3.4. 구조물적 홍수대응 대책 132

3.4.1. 일반적 경향 132

3.4.2. 배수시스템 증설 133

3.4.3. 저류공간 확보 대책 139

3.4.4. 우수침투시설 설치 대책 146

제4장 계획 및 설계 시 탄력적 홍수대응방안 적용방법 147

4.1. 유역 선정 및 특성조사 147

4.1.1. 유역의 기본 개황 조사 147

4.1.2. 유역 특성 조사 149

4.1.3. 측량조사 149

4.2. 현상태하의 홍수예측 150

4.2.1. 확률강우량 산정 150

4.2.2. 확률 홍수량 산정 152

4.2.3. 하수관거 모의 154

4.3. 기후변화 시나리오 선정 및 미래강우예측 159

4.3.1. 기후변화 일반경향 159

4.3.2. 기후변화 시나리오 실태 160

4.3.3. 기후변화 시나리오 선정 168

4.4. 기후변화에 따른 미래홍수예측 170

4.4.1. 기후변화에 따른 미래 확률 강우량 결정 170

4.4.2. 미래 확률 홍수량 산정 177

4.5. 비구조물적 홍수대응방법 179

4.5.1. 정책적 대응방법 179

4.5.2. 홍수저감 대응방법 192

4.5.3. 홍수피해 저감대응방법 203

4.6. 구조물적 홍수대응방법 215

4.6.1. 배수시스템 216

4.6.2. 저류공간 확보 217

4.6.3. 침투시설 설치 221

4.7. 탄력적 홍수대응방안의 선택 225

4.7.1. 홍수대응방안 선정을 위한 유역의 특성 226

4.7.2. 정책적 대응 대책 227

4.7.3. 홍수저감 대책 227

4.7.4. 홍수피해저감 대책 228

4.7.5. 구조물적 대책 229

4.7.6. 탄력적 홍수대응 대책의 종합 229

제5장 탄력적 홍수대응 적용사례 231

5.1. 유역 선정 및 특성조사 231

5.1.1. 유역의 기본 개황 조사 231

5.1.2. 유역 특성 조사 233

5.1.3. 측량조사 240

5.2. 현상태하의 홍수예측 241

5.2.1. 확률강우량 결정 241

5.2.2. 확률 홍수량 산정 246

5.2.3. 하수관거 모의 247

5.2.4. 침수 예측 249

5.3. 기후변화 시나리오 선정 및 미래강우 예측 287

5.3.1. 기후변화 일반경향 287

5.3.2. 기후변화 시나리오 선정 289

5.4. 기후변화에 따른 미래홍수예측 290

5.4.1. 기후변화에 따른 미래 확률 강우량 결정 290

5.4.2. 미래 확률 홍수량 산정 310

5.4.3. 미래 강우량에 의한 하수관거 모의 311

5.4.4. 미래 강우량에 의한 침수 예측 312

5.5. 비구조물적 홍수대응방법 319

5.5.1. 정책적 대응방법 319

5.5.2. 홍수저감 대응방법 323

5.5.3. 홍수피해저감 대응방법 334

5.6. 구조물적 홍수대응방법 340

5.6.1. 배수시스템 개량 및 증설 341

5.6.2. 저류공간 확보 343

5.6.3. 침투시설 설치 359

5.7. 기후변화에 따른 미래 비구조물적 홍수대응방법 361

5.7.1. 그린루프 설치 362

5.7.2. 완충녹지 364

5.8. 기후변화에 따른 미래 구조물적 홍수대응 방법 366

5.8.1. 배수시스템의 관로 개량 및 증설 366

5.8.2. 저류공간 확보 370

5.9. 탄력적 홍수대응방안의 선택 375

5.9.1. 홍수대응방안 선정을 위한 유역의 특성 375

5.9.2. 정책적 대응대책 384

5.9.3. 홍수저감 대책 384

5.9.4. 홍수피해저감 대책 386

5.9.5. 구조물적 대책 387

5.9.6. 현상태의 탄력적 홍수대응 대책의 종합 390

5.9.7. 미래 상태의 탄력적 홍수대응 대책의 종합 412

제6장 결론 424

참고문헌 425

표 2.1. 풍수해보험 추진경과 34

표 2.2. 일반가입자 35

표 2.3. 국민기초생활수급자 또는 차상위계층인 경우(주택) 35

표 2.4. 풍수해 보험사례 36

표 2.5. 국내의 홍수예·경보 관측시설 현황 42

표 2.6. 국내의 활용도에 따른 홍수터 종류 48

표 2.7. 국내의 홍수터 활용면적 48

표 2.8. 미국의 홍수위험지도의 제작지침과 사양의 주요내용 53

표 2.9. 영국 국토·도시계획에서 핵심적인 홍수위험관리수단 64

표 2.10. 계획과정을 고려한 홍수위험관리 유형 65

표 2.11. 영국의 계획체계에서 홍수위험평가의 범위 및 담당기관 66

표 2.12. 침수심의 구분 78

표 2.13. 일본의 유역정비 계획의 주요내용 82

표 2.14. 일본 자치단체의 조례 제정 목적 84

표 2.15. 일본의 조례 제정 자치단체의 3대 도시권 및 전국 비교 84

표 3.1. 비구조물적 홍수대응대책 총괄표 111

표 3.2. 국내외 홍수보험의 효과 122

표 3.3. 홍수교육의 효과 125

표 3.4. 홍수예·경보시스템의 효과 129

표 3.5. 홍수위험지도의 효과 132

표 3.6. 구조물적 홍수대응대책 총괄표 133

표 4.1. SRES 시나리오의 개요 164

표 4.2. 현재와 비교한 21세기말 기후변화 예측결과 165

표 4.3. RCP 시나리오의 특징 및 2100년 이산화탄소 농도 167

표 4.4. RCP 시나리오의 특징과 SRES 시나리오와의 비교 167

표 4.5.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종류 169

표 4.6. IPCC 4차보고서에 수록된 대기-해양 대순환모형 목록 171

표 4.7. 지점빈도해석 결과예시 179

표 4.8. 그린루프의 관리유형별 분류 193

표 4.9. 그린루프의 건물 유형 193

표 4.10. 국내 홍수교육의 개선방안 205

표 4.11. 빗물세 관련 주요내용비교 215

표 4.12. 저류지 설계 요소 217

표 4.13. 도시유역 특성에 따른 정책적 대응대책 선택방안 227

표 4.14. 도시유역 특성에 따른 홍수저감 대응대책 선택방안 228

표 4.15. 도시유역 특성에 따른 홍수피해저감 대응대책 선택방안 228

표 4.16. 도시유역 특성에 따른 구조물적 대응대책 선택방안 229

표 4.17. 토지지역분류에 따른 대응방안의 사례 230

표 5.1. 배수분구별 토지이용현황 237

표 5.2. 대상유역의 표고분석 238

표 5.3. 인천관측소 현황 238

표 5.4. 인천지역의 연평균 강수량 변화 239

표 5.5. 인천지역의 월 평균 강수량 변화 239

표 5.6. 인천지역의 연평균 기온변화 239

표 5.7. 인천지역의 천기일수 240

표 5.8. 인천지역의 년 평균 풍속변화 240

표 5.9. 금회 산정된 환산계수와 기존 값의 비교 243

표 5.10. 인천지역의 지속시간별 최대강우량(1961~2004) 244

표 5.11. 재현기간별 확률강우강도식 245

표 5.12. 인천대 공식을 이용한 빈도별 지속시간별 확률강우강도 246

표 5.13. 대상유역의 하수관거 현황 247

표 5.14. 인천광역시 빗물펌프장 및 유수지 현황 248

표 5.15. 조위특성 및 조위표 249

표 5.16. 인천광역시 주요 역사 침수피해 현황(1997-2001) 250

표 5.17. 대상유역 내 침수피해 기록 251

표 5.18. 수치모형실험 적용 주요 MODEL 비교 252

표 5.19. 기존자료에서 시용된 대표유출계수 261

표 5.20. 토지 이용도에 따른 평균 유출계수의 범위 261

표 5.21. 배수분구별 토지이용현황 262

표 5.22. 인천교 유수지 현황 271

표 5.23. 지속시간별 최대유량 275

표 5.24. 금회 지속시간별 유수지 최대수위 276

표 5.25. 수치모의해석 조건 277

표 5.26. A1B시나리오에 대한 확률강수량의 변동성 및 증가율 292

표 5.27. 모델별 확률강우량(80yr) 293

표 5.28. 모델별 확률강우량(100yr) 295

표 5.29. 모델별 확률강우량(200yr) 297

표 5.30. 모델별 증가율(80yr) 299

표 5.31. 모델별 증가율(100yr) 301

표 5.32. 모델별 증가율(200yr) 303

표 5.33. 기후변화에 따른 20년 빈도의 1시간 확률강우량 311

표 5.34. 인천교의 현재 및 미래 관로침수 모의결과 318

표 5.35. 그린루프 방법 적용 전·후 비교 330

표 5.36. 인천시 도시계획 용도지역 상황 330

표 5.37. 녹지면적 감소변화율 331

표 5.38. 소유역의 유출계수 계산표 332

표 5.39. 완충녹지 대책 적용 전·후 비교 333

표 5.40. 비구조물적 대책 적용 전·후 비교 334

표 5.41. 기본설계 시 적용 확률강우량 337

표 5.42. 홍수위험지도 결과 340

표 5.43. 증설관로의 제원 342

표 5.44. 관로증설 전·후 비교 343

표 5.45. 교육시설 기본 개황 344

표 5.46. 저류시설 설치 전·후 비교 345

표 5.47. 공원 내 시설 기본 개황 348

표 5.48. 공원 내 저류시설 적용 전·후 비교 350

표 5.49. 목재공간 및 나대지 기본 개황 354

표 5.50. 저류시설 설치 전·후 비교 355

표 5.51. 사방댐 기본 개황 358

표 5.52. 사방댐 설치 전·후 비교 358

표 5.53. 침투성 저류조 기본 개황 360

표 5.54. 저류시설 설치 전·후 비교 361

표 5.55. 그린루프 방법 적용 전·후 비교 364

표 5.56. 소유역의 유출계수 계산표 365

표 5.57. 완충녹지 대책 적용 전·후 비교 366

표 5.58. 증설관로의 제원 369

표 5.59. 관로증설 전·후 비교 370

표 5.60. 학교운동장 저류조 개황 371

표 5.61. 저류시설 설치 전·후 비교 371

표 5.62. 공원 내 시설 기본 개황 372

표 5.63. 공원 내 저류공간 적용 전·후 비교 372

표 5.64. 목재공간 및 나대지 기본 개황 373

표 5.65. 공원 내 저류공간 적용 전·후 비교 374

표 5.66. 사방댐 기본 개황 374

표 5.67. 공원 내 저류공간 적용 전·후 비교 375

표 5.68. 유역조사 조사항목별 조사주기 및 방법 - 기본현황조사 376

표 5.69. 유역조사 조사항목별 조사주기 및 방법 - 인수조사 379

표 5.70. 유역조사 조사항목별 조사주기 및 방법 - 치수조사 382

표 5.71. 유역조사 조사항목별 조시주기 및 방법 - 환경생태조사 383

표 5.72. 인천교유역 특성에 따른 정책적 대응대책 방안 384

표 5.73. 인천교유역 특성에 따른 홍수저감 대응대책 방안 385

표 5.74. 인천교유역 특성에 따른 홍수피해저감 대응대책 방안 387

표 5.75. 인천교유역 특성에 따른 구조물적 대응대책 방안 388

표 5.76. 관로증설 대응 이후 침수분석 392

표 5.77. 학교운동장 지하저류조 대응 이후 침수분석 396

표 5.78. 석남공원 내 저류조 및 연못 적용이후 침수분석 398

표 5.79. 도시 내 나대지 및 목재공간 활용 후 침수분석 399

표 5.80. 가좌녹지공간 내 저류조 및 연못 적용 이후 침수분석 400

표 5.81. 송림4동에 저류조 대응 이후 침수분석 401

표 5.82. 인천북항 주변 나대지 활용 이후 침수분석 403

표 5.83. 사방댐 대응 이후 침수분석 404

표 5.84. 관로 개량 개황 406

표 5.85. 관로개량 이후 침수분석 406

표 5.86. 침수성저류조 이후 침수분석 407

표 5.87. 침수성저류조 이후 침수분석 408

표 5.88. 토지지역분류에 따른 대응방안 410

표 5.39. 그린루프 방법 적용 전·후 비교 413

표 5.90. 비구조물적 대책 적용 전·후 비교 413

표 5.91. 관로증설 대응 이후 침수분석 416

표 5.92. 학교운동장 저류조 개황 416

표 5.93. 학교운동장 저류조 대응 이후 침수분석 417

표 5.94. 공원 내 연못 및 저류조 개황 418

표 5.95. 공원 내 수조 및 연못 대응 이후 침수분석 418

표 5.96. 유역 내 빈공간을 활용해서 연못 및 저류조 개황 419

표 5.97. 유역 빈 공간 내 수조 및 연못 대응 이후 침수분석 419

표 5.98. 사방댐 개황 420

표 5.99. 토지지역분류에 따른 대응방안 422

그림 2.1. 국내 한강의 홍수예보시스템의 체계 38

그림 2.2. 국내의 호우 발생 시 상황관리 메커니즘 39

그림 2.3. 경남 밀양시 위성영상재해지도 44

그림 2.4. 국내의 홍수교육 예시 45

그림 2.5. 서울시 서소문청사 옥상 지붕(지봉)저류 개념도 49

그림 2.6. 서울 장충공영주차장의 지붕저류 50

그림 2.7. 서울 성내빌딩 옥상의 그린루프 50

그림 2.8. 미국의 홍수위험지도 제작과정 53

그림 2.9. 실시간 홍수범람지도 제작 절차 55

그림 2.10. 실시간 홍수범람지도 제작 결과 예시도 55

그림 2.11. 영국 환경청의 홍수지도 62

그림 2.12. 영국의 국토·도시계획체계 63

그림 2.13. 니스도시의 PPR 지도 70

그림 2.14. Paillon 계곡 유역 지도 71

그림 2.15. 생태저류지 전경 74

그림 2.16. 토지이용계획도 및 도시 녹화 74

그림 2.17. 2012년 AKNZ 교육상황 76

그림 2.18. 침수상정구역도 작성순서 77

그림 2.19. 침수상정구역도 작성 예시도 78

그림 2.20. 일본의 홍수재해지도 사례 예시도 79

그림 2.21. 연구를 통해 제안된 호주의 홍수교육 체계 87

그림 2.22. 홍수교육의 체제 88

그림 2.23. 유역현황도 89

그림 2.24. IRMA-SPONGE 모식도 90

그림 2.25. 홍수방어 및 조절 대책 91

그림 2.26. 제방의 종류 92

그림 2.27. 우수 유출억제 시설 93

그림 2.28. 빗물저류조 예시도 94

그림 2.29. 슈퍼제방의 개념 I 95

그림 2.30. 슈퍼제방의 개념 II 96

그림 2.31. Myousyouji 조절지의 침수 전·후 현황 97

그림 2.32. Meguro River에 적용한 다목적 조정지 98

그림 2.33. 동경도의 홍수에 대한 정보 제공 화면 98

그림 2.34. 닛산스타디움의 필로티 및 홍수량 저류 99

그림 2.35. 수도권 지하저류조 100

그림 2.36. 템스강의 이동식 하굿둑 101

그림 2.37. 유럽연합 홍수위험지도의 예시 102

그림 3.1. 능동대처 및 연계운영 원칙과 자연과 공존 원칙 104

그림 3.2. 능동대처 및 연계운영의 6가지의 탄력적 기본원칙 105

그림 3.3. 자연과 공존의 4가지 탄력적 홍수대응 원칙 109

그림 3.4. 도시 내 그린루프의 모습 114

그림 3.5. 강우발생 10시간 이후의 호우저류 상황도 114

그림 3.6. 침투통과 침투지하트렌치와의 조합 116

그림 3.7. 침투통과 침투측구와의 조합 116

그림 3.8. 홍수교육의 효과 분석 123

그림 3.9. 홍수교육에 따른 지역사회 기능 124

그림 3.10. 홍수예·경보시간에 따른 경보의 정확도 127

그림 3.11. 홍수예·경보시간에 따른 홍수피해저감 정도 128

그림 3.12. 홍수예·경보시스템에 따른 기대효과 128

그림 3.13. 일본의 홍수위험지도의 효과 130

그림 3.14. 일본 코오리야마시의 홍수위험지도의 효과 131

그림 3.15. 하천확폭 모식도 139

그림 3.16. 인천시 송도 미추홀공원 지상 연못 143

그림 3.17. 포틀랜드 빗물정원 모습도 143

그림 4.1. 하수관망유출의 일반적 과정 155

그림 4.2. SRES 시나리오의 스토리라인 163

그림 4.3. SRES 시나리오의 이산화탄소 배출량 165

그림 4.4. RCM 자료 산출 과정 175

그림 4.5. RCM 자료 산출 과정 176

그림 4.6. 빈도해석의 일반적 절차 177

그림 4.7. 비구조물적 대응방안 제시 179

그림 4.8. 임시적인 분리 가능한 구조물 183

그림 4.9. 그린루프 설계 절차 196

그림 4.10. 불투수 지표면의 증가에 따른 물순환 양상 변화 197

그림 4.11. 생태 저류지 모습 198

그림 4.12. 농경지 저류 200

그림 4.13. 인공습지 모식도 201

그림 4.14. 시화호 갈대습지 201

그림 4.15. 동탄예당마을 푸르지오 내 지상연못 202

그림 4.16. 통합홍수예보시스템 체계도 211

그림 4.17. 구조물적 대응방안 제시 215

그림 4.18. 빗물펌프장의 수문설계 절차 217

그림 4.19. 우수저장조 모습 220

그림 4.20. 침투시설의 배치계획도 222

그림 4.21. 침투성포장 모습 223

그림 4.22. 유입시설의 예시 224

그림 4.23. Bore-hole법을 이용하는 시험시설 224

그림 4.24. 극한홍수대응방안 제시 226

그림 5.1. 인천광역시의 위치도 232

그림 5.3. 고정시간과 임의시간의 개념 242

그림 5.4. 인천지역 환산계수 비교 243

그림 5.5. MOUSE에서의 유역형상 254

그림 5.6. MOUSE에서의 시간-면적곡선 254

그림 5.7. 비선형 저류 방정식 개념도 255

그림 5.8. 선형 저류 방정식 개념도 256

그림 5.9. Unit Hydrograph Surface Runoff model 개념도 257

그림 5.10. 관로 내 흐름해석의 기본형 258

그림 5.11. MOUSE에 적용된 관 내부 유량 증가도 259

그림 5.12. Branch matrix 연산 개요도 260

그림 5.13. 대상유역내 소유역분할도 263

그림 5.14. 대상유역내 유출계수 분포도 265

그림 5.15. 대상유역의 관거 현황도 267

그림 5.16. 대상지역 내 조위표 269

그림 5.17. 인천교 유수지 인근 개략도 272

그림 5.18. 유수지 내 우수 배제 체계 273

그림 5.19. 지속시간별 유수지유입 유량 비교 276

그림 5.20. 임계지속시간(1)에서 20년 빈도 모의 시 유수지 수위변화 276

그림 5.21. MOUSE 모형의 관망구성도 278

그림 5.22. 20년 빈도 임계지속시간시 50분 침수지역 279

그림 5.23. 석남배수분구 침수지역 분포도 280

그림 5.24. 석남배수분구 A위치에 대한 수위종단면도 280

그림 5.25. 석남배수분구 B위치에 대한 수위종단면도 281

그림 5.26. 석남배수분구 분포도 281

그림 5.27. 석남배수분구 C위치에 대한 수위종단면도 282

그림 5.28. 석남배수분구 D위치에 대한 수위종단면도 282

그림 5.29. 20년 빈도 80분 침수지역 위치도 283

그림 5.30. 강화배수분구A지역 침수지역 분포도 283

그림 5.31. 강화배수분구에 대한 수위종단면도 284

그림 5.32. 석남배수분구 침수지역 분포도 284

그림 5.33. 석남배수분구 A위치에 대한 수위종단면도 285

그림 5.34. 석남배수분구 B위치에 대한 수위종단면도 285

그림 5.35. 석남배수분구 C위치에 대한 수위종단면도 286

그림 5.36. SRES 스토리라인 설명 및 시나리오별 이산화탄소 배출량 289

그림 5.37. 빈도해석의 일반적 절차 291

그림 5.38. 확률강우량도(지점빈도해석, 목표I) 305

그림 5.39. 확률강우량도(지점빈도해석, 목표II) 306

그림 5.40. 확률강우량도(지점빈도해석, 목표III) 307

그림 5.41. 확률강우량도(지점빈도해석, 목표IV) 308

그림 5.42. 확률강우량도(지점빈도해석, 한반도전역) 309

그림 5.43. 인천교의 현재 침수지역 위치도(20년빈도, 임계지속시간 50분) 313

그림 5.44. 인천교의 2001-2040년 침수지역 위치도(20년빈도, 임계지속시간 50분) 313

그림 5.45. 인천교의 2041-2100년 침수지역 위치도(20년빈도, 임계지속시간 50분) 314

그림 5.46. 인천교의 침수지역 위치분포도 314

그림 5.47. 석남배수분구 침수지역 20년 빈도 지속시간 50분에 분포도(I) 315

그림 5.48. 석남배수분구 A지점의 현재 및 미래 관로 침수 모의결과 315

그림 5.49. 현재 및 미래 B지점에서 관로 침수수위 모의결과 316

그림 5.50. 가좌배수분구 침수지역 분포도(20년 빈도 임계지속시간 50분) 317

그림 5.51. 가좌배수분구 C지점의 현재 및 미래 관로침수 모의결과 317

그림 5.52. 현재 및 미래 D지점에서 관로 침수수위 모의결과 318

그림 5.53. 그린루프의 구성도 324

그림 5.54. 인천시 석남3동 도시 빌딩 325

그림 5.55. 인천교 빌딩분포도 326

그림 5.56. 강우시작10시간 뒤에 그린루프에 의한 유출감소 327

그림 5.57. 인천교 매립지의 빌딩옥상면적 가상도 327

그림 5.58. 임계지속시간 50분에 확률강우량 가상도 328

그림 5.59. 그린루프 적용 전 홍수모의도 329

그림 5.60. 그린루프 적용 후 홍수모의도 329

그림 5.61. 연별 도시지역 추세 설명도 331

그림 5.62. 완충녹지 적용 후 홍수모의도 333

그림 5.63. 그린루프 및 완충녹지 후 홍수모의도 333

그림 5.64. 홍수교육의 효과분석 335

그림 5.65. 홍수경보시간에 따른 홍수위 및 피해상황 분석결과 335

그림 5.66. 20년빈도 50분 강우 시 침수현황 338

그림 5.67. 50년빈도 50분 강우 시 침수현황 338

그림 5.68. 100년빈도 50분 강우 시 침수현황 339

그림 5.69. 200년빈도 50분 강우 시 침수현황 339

그림 5.70. 구조물적인 대응방안 적용 전 홍수모의도 340

그림 5.71. A지역의 증설관로 위치도 341

그림 5.72. B지역의 증설관로 위치도 341

그림 5.73. 관로증설 후 홍수모의도 343

그림 5.74. 운동장 지하저류조의 사례 344

그림 5.75. 학교운동장 지하저류조 적용 후 침수모의도 345

그림 5.76. 미추홀 공원에 적용된 공원 저류 346

그림 5.77. 석남배수구역 내 석남완충녹지공원 346

그림 5.78. 가좌근린공원 347

그림 5.79. 주인공원 347

그림 5.80. 석남완충녹지공원 내 수조 및 연못 모식도 349

그림 5.81. 가좌완충녹지공원 내 수조 및 연못 모식도 350

그림 5.82. 공원 내 수조 및 연못 적용 후 모의도 350

그림 5.83. 인천시 서구 가좌동 북항주변에 위치한 나대지 351

그림 5.84. 인천시 서구 석남동 222 부근 녹지화 352

그림 5.85. 석남녹지공원 녹지화 352

그림 5.86. 목재장 지하저류조 위치 및 현장사진 353

그림 5.87. 기좌1동 나대지 위치도 354

그림 5.88. 목재공간 및 나대지의 저류 시설 적용 후 모의도 355

그림 5.89. 사방댐1 위치도 및 사진 356

그림 5.90. 사방댐 2 위치도 356

그림 5.91. 사방댐 3 위치지도 357

그림 5.92. 사방댐 적용 후 모의도 358

그림 5.93. 침투성 저류조1 위성사진 위치도 359

그림 5.94. 침투성 저류조2 위성사진 위치도 360

그림 5.95. 침투성 저류조 적용 후 모의도 361

그림 5.96. 그린루프 적용 전 홍수모의도 363

그림 5.97. 그린루프 적용 후 침수예측 모의 결과 363

그림 5.98. 완충녹지 적용 후 침수예측 366

그림 5.99. A지역 관로 증설 배치도 367

그림 5.100. B지역 관로 증설 배치도 367

그림 5.101. C지역 관로 증설 배치도 368

그림 5.102. D지역 관로 증설 배치도 368

그림 5.103. 관로증설 후에 모의결과 370

그림 5.104. 학교운동장 지하저류조 적용 후 침수모의도 371

그림 5.105. 공원 내 수조 및 연못 적용 후 모의도 373

그림 5.106. 목재공간 및 나대지 활용 후 모의도 374

그림 5.107. 사방댐 적용 후 모의도 375

그림 5.108. 증설 방안 적용위치도 391

그림 5.109. 관로증설 후 홍수모의도 392

그림 5.110. 신석초등학교의 위치 및 학교운동장모습 393

그림 5.111. 석남서초등학교의 위치 및 학교운동장모습 394

그림 5.112. 인천천마초등학교의 위치 및 학교운동장모습 395

그림 5.113. 경인여자고등학교의 위치 및 학교운동장모습 395

그림 5.114. 인천봉화초등학교의 위치 및 학교운동장모습 396

그림 5.115. 학교운동장 지하저류조 홍수위 모의도 397

그림 5.116. 저류조 적용 후 홍수위 모의도 397

그림 5.117. 나대지 및 목재공간 활용한 후 홍수위 모의도 398

그림 5.118. 가좌완충녹지공간 저류조 및 연못 설치한 위치지도 399

그림 5.119. 가좌완충녹지공간 내 저류조 및 연못 설치 후 홍수위 모의도 400

그림 5.120. 녹지 활용 공간 위치지도 401

그림 5.121. 동구어린이교통공원 및 국민운동장 활용 후 홍수위 모의도 402

그림 5.122. 가좌1동 녹지 활용공간 저류조 위치도 402

그림 5.123. 인천북항 주변 나대지 활용 후 홍수위 모의도 403

그림 5.124. 사방댐을 설치한 후 홍수위 모의도 404

그림 5.125. 관로개량 위치지도 405

그림 5.126. 개량해야 한 관로의 홍수위 모의도 405

그림 5.127. 관로개량 후 홍수위 모의도 406

그림 5.128. 침투성저류조 활용 후 침수모의도 407

그림 5.129. 침투성 저류조 홍수위 모의도 408

그림 5.130. 숭의4동 저류조 위성사진 위치도 409

그림 5.131. 최종 침수모의효과도 410

그림 5.132. 현재 탄력적인 홍수 대응방안 종합 411

그림 5.133. 미래 대응방안 적용 전 침수모의 412

그림 5.134. 그린루프 적용 후 침수예측 모의 결과 413

그림 5.135. 완충녹지 적용 후 침수예측 모의결과 414

그림 5.136. 관로증설 위치도 415

그림 5.137. 관로증설 적용 후 침수예측 모의결과 415

그림 5.138. 학교 운동장 지하저류조 적용 후 침수예측 모의결과 417

그림 5.139. 공원 내 수조 및 연못 적용 후 침수예측 모의결과 418

그림 5.140. 나대지(내대지)를 활용한 후 침수예측 모의결과 420

그림 5.141. 사방댐 적용 후 모의결과 421

그림 5.142. 미래 탄력적인 홍수 대응방안 종합 423

초록보기 더보기

I. 연구제목

기후변화를 고려한 도시지역 내 탄력적 극한홍수 대응방안

II. 연구목적

1. 기후변화에 의한 극한 기상재해 중 극한홍수에 초점을 두어 홍수발생에 따른 피해증가와 기존 대응체계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탄력적 대응 방안 제시

2. 과거의 구조물 위주의 홍수대응에서 벗어나 기후변화에 따른 강우 변화량을 산정하고, 도심특성을 분석하여 탄력적 대응능력 방안을 제시하며, 이를 바탕으로 시범도시에 직접 적용 사례를 제시하여 극한홍수에 대응하는 최적의 선택이 가능하도록 함

III. 연구내용

1. 기후변화를 고려한 도시지역 내 강우량 및 총수량변화 분석

2. 국·내외 홍수방어 적용사례를 조사 및 분석

3. 극한홍수에 대응할 수 있는 비구조물적 및 구조물적 방안 제시

4. 극한홍수 대응 방안에 단계적 적용 방법 제시

5. 탄력적 홍수대응 방법 검토

6. 탄력적 홍수대응 개념과 원칙의 제시 및 적용

7. 탄력적 홍수 피해 저감 대책 도출

8. 극한홍수 대응 방안 실제 적용 사례 제시

IV. 주요 연구성과

1. 국내·외 홍수방어 적용 사례 체계화

2. 탄력적 홍수 대응 대책 제시

3. 계획 및 설계 시 탄력적 홍수 대응 방안 적용 방법 제시

4. 탄력적 홍수 대응 적용 사례 제시

5. 극한홍수량 예측시 다양한 적용인자와 한계점을 고려하여 최적의 대응 방향을 제시하여 더욱 현실적인 홍수위험과 예경보를 실현

6. 예측불가능한 홍수피해에 대한 탄력적이고 안정적인 홍수대응 및 예방 체계를 실현

7. 홍수에 탄력적인 도시문화를 조성하여 홍수피해 저감과 혁신적 설계기술 등의 파급효과 유발

8. 연구결과에 대한 적극적 홍보와 가이드라인 제시를 통하여 의사결정권자들이 이 극한홍수와 연관된 계획 수립시 홍수 피해 발생 또는 홍수피해 저감을 위한 탄력적인 대응이 가능토록 조치가 가능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T000039185 전자형태로만 열람 가능함 전자자료 이용불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