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연구요약 5
Ⅰ. 서론 1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4
가. 우리나라의 교육에 대한 영문 소개자료 분석 14
나. 외국의 교육에 대한 소개자료 분석 14
다. 우리나라의 교육에 대한 외국인들의 요구 조사 14
라. ‘한국의 교육(Eduacation in Korea)' 자료 개발 15
3. 연구 방법 15
가. 국내외 교육 소개 자료 및 관련 문헌 분석 15
나. 관계 전문가 협의회 15
Ⅱ. 수요자의 요구 및 선행 자료 분석 16
1. 수요자 분석 17
가. 외국인 방문객 현황 17
나. 수요자의 요구 분석 18
2. 선행자료 분석 19
가. 평가원의 소개자료 19
나. 교과부의 소개자료 39
다. KEDI의 소개 자료 48
Ⅲ. 한국의 교육(Education in Korea) 소개 자료의 특징 51
1. 자료 개발 절차 52
2. 자료의 구성 및 특징 53
가. 외적 체계 53
나. 내적 체계 54
3. 자료의 예시 51
가. 브로슈어 사례 62
나. 본 책자 사례 67
Ⅳ. 결론 및 제언 71
1. 요약 및 결론 72
2. 제언 75
참고문헌 76
부록 78
[부록 1] 2007-2012 KICE 내방객 현황 79
[부록 2] 한국의 교육(본 책자 자료) 93
1. Education in Korea: Introduction 93
2. The National Curriculum of Korea 97
3. Teaching and Learning, and Teacher Education in Korea 116
4. The Textbook System in Korea 136
5. Achievement Assessment of Students 158
6.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170
7. National English Ability Test 182
판권기 2
[그림 Ⅱ-2-1] KICE 웹페이지 e-book 캡쳐화면 20
[그림 Ⅱ-2-2] 이미지 비주얼 활용 30
[그림 Ⅱ-2-3] 다이어그램의 활용 30
[그림 Ⅱ-2-4] 표, 그래프의 활용 31
[그림 Ⅱ-2-5] 'KICE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TION' 표지 32
[그림 Ⅱ-2-6] 페이지 연혁 그래프 32
[그림 Ⅱ-2-7] President's Statement 34
[그림 Ⅱ-2-8] 중간 도비라 35
[그림 Ⅱ-2-9] 가독성 확보 이미지에 대한 예시 35
[그림 Ⅱ-2-10] Share Our Vision for Coprosperity의 책자 앞, 뒤 표지 41
[그림 Ⅱ-2-11] Share Our Vision for Coprosperity의 목차 41
[그림 Ⅱ-2-12] Share Our Vision for Coprosperity의 구성 42
[그림 Ⅱ-2-13] Share Our Vision for Coprosperity의 분류 구성 부분 42
[그림 Ⅱ-2-14] Share Our Vision for Coprosperity의 특이사항 43
[그림 Ⅱ-2-15] Positive Changes의 표지 43
[그림 Ⅱ-2-16] PART1 구성 페이지 46
[그림 Ⅱ-2-17] 그래프활용 예시 46
[그림 Ⅱ-2-18] 도식화 활용 예시 47
[그림 Ⅱ-2-19] 'The Main Terms' 47
[그림 Ⅱ-2-20] INDEX 페이지 48
[그림 Ⅱ-2-21] 한국교육개발원: KEDI의 영문판 웹사이트의 메인화면 49
[그림 Ⅱ-2-22] Home ] Education in Korea ] Korean Education Series 이동화면 50
[그림 Ⅲ-1-1] 한국의 교육(Education in Korea) 자료 개발의 절차 52
1. Education in Korea: Introduction 95
Figure 1. The School System and Curriculums of Korea 95
2. The National Curriculum of Korea 97
Figure 1. Level and Status of National Curriculum 97
Figure 2. Changes in National Curriculum Revision 98
Figure 3. History of the Korean National Curriculum 99
Figure 4. Main Direction of the 2009 Revised Curriculum 101
Figure 5. Areas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to Secure Curricular Autonomy 103
Figure 6. Five Areas of the Nuri Curriculum 105
Figure 7. Link between Preschool and Public Education 106
Figure 8. Areas of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114
Figure 9. National Curriculum Information Center Website 115
3. Teaching and Learning, and Teacher Education in Korea 118
Figure 1. Overview of KICE Teaching and Learning Division 118
4. The Textbook System in Korea 148
Figure 1. Development Procedure of Government-designated Books 148
Figure 2. Development and Review Process of Authorized Books 151
Figure 3. Textbook Revision and Modification Procedure 154
Figure 4. Authorized Book Selection and Ordering Procedure 156
5. Achievement Assessment of Students 161
Figure 1. Assessment Model for the NAEA 161
Figure 2. Rate of Progress by Subject 165
Figure 3. Trends in Academic Achievement Assessment Results by School Level 167
7. National English Ability Test 182
Fig1. Objective of the NEAT 182
Fig2. Current Status of the NEAT 185
Fig3/Figure4. NEAT IBT System Diagram 198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1842219 | 379.51 -13-16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
0001842220 | 379.51 -13-16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