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떫은감의 수출 상품화 및 시장개척 연구 / 산림청 인기도
발행사항
[대전] : 산림청, 2012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 가능함
형태사항
253 p. : 삽화, 표 ; 30 cm
제어번호
MONO1201306448
주기사항
주관연구기관: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주관연구책임자: 석현덕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보고서 요약서

요약문

SUMMARY

Contents

목차

제1장 연구개요 20

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0

2절 선행연구 검토 20

1. 농산물 수출 분야 20

2. 임산물 수출 분야 21

3. 떫은감 상품개발 및 소비 분야 21

3절 연구 방법 22

제2장 떫은감 수급 및 수출입동향 24

1절 국제 수급동향 24

2절 국내 수급동향 24

1. 재배면적 24

2. 생산량 25

3. 수출입 동향 27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31

1절 떫은감 기능성 및 상품화 개발 연구(제1 세부과제) 31

1. 떫은감을 이용한 국내 가공품 개발현황 31

2. 떫은감 가공품 개발현황 32

3. 떫은감 가공 상품의 수출 현황 40

4. 수출상품계획 41

5. 수출상품개발 47

6. 관련기술개발 54

2절 떫은감 수출전문조직 조성 및 운영 프로그램 개발(제2 세부과제) 59

1. 수출전문단지 조직화의 필요성 및 목적 59

2. 상주시 조직화 실태 59

3. 농산물 수출전문조직 사례 66

4. 해외 수출전문조직 운영사례 80

5. 탈삽감 수출전문조직 구성 114

6. 탈삽감 가공제품(감말랭이) 수출전문조직 구성 125

3절 떫은감 수출유망시장 발굴 및 시장개척 연구(제3 세부과제) 130

1. 떫은감 수출 가능국 조사 130

2. 미국 131

3. 일본 141

4. 싱가포르 147

5. 대만 152

6. 태국 159

7. 말레이시아 164

8. 홍콩 167

4절 떫은감 수출 유망시장 발굴(제3 세부과제) 171

1. 떫은감 수출 유망시장 발굴 171

2. 미국 173

3. 일본 194

4. 싱가포르·말레이시아 218

제4장 세부과제별 연구목표와 달성내용 234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235

1절 떫은감 상품 수출확대 전략 235

1. 미국 235

2. 일본 241

3. 싱가포르·말레이시아 246

2절 수출전문조직 활성화를 위한 추진과제 250

1. 수출전문조직 기능 강화 250

2. 수출시장 확대 및 수출물량 공급기능 수행 251

제6장 참고문헌 252

표 2-1. 세계 감 수급 동향 24

표 2-2. 한국의 떫은감 재배면적 동향 25

표 2-3. 한국의 떫은감 생산량 동향 26

표 3-1. 과실 가공실태 31

표 3-2. 과실류 가공 현황(2008년) 32

표 3-3. 품종별 냉동홍시 특성 35

표 3-4. 국가전체/농식품 수출비교 41

표 3-5. 연도별 청도군 아이스홍시, 감말랭이, 반건시 수출현황 41

표 3-6. 떫은감 이용 상품에 대한 컨셉 개발결과(서구형) 44

표 3-7. 떫은감 이용 상품에 대한 컨셉 개발결과(한류형) 45

표 3-8. 곶감 고추장 소비자 조사 결과 52

표 3-9. 곶감 고추장 영양성분 조사 결과 53

표 3-10. 곶감 고추장 제조과정 58

표 3-11. 상주시 감 생산자 단체 현황 59

표 3-12. 감 부산물 활용방안 62

표 3-13. 감 클러스터 사업단 참여조직 및 역할 62

표 3-14. 생산자와 수출업체간 역할 68

표 3-15. 농축산물 수출액 및 변화 81

표 3-16. 원예수출공사의 품목별 조직 기능 85

표 3-17. 품목별 생산자 조직 85

표 3-18. Turners&Growers 그룹 주요 회사 89

표 3-19. 제스프리 10대 성공요인 94

표 3-20. 호주 농/원예 산물 총 수출액과 주요 품목별 수출액 현황 98

표 3-21. 주요 수출 대상 국가별 수출 현황 98

표 3-22. 호주 원예협회 102

표 3-23. 2000/01회계연도 호주 원예협회 주요 자조금 사업 내역 103

표 3-24. 호주사과의 주요 수출 국가 111

표 3-25. 호주 오렌지의 주요 수출 국가 111

표 3-26. 호주 포도의 주요 수출 국가 112

표 3-27. 정원농장의 탈삽감 수출내역 114

표 3-28. 수출(입)실적 126

표 3-29. 판매실적 126

표 3-30. 미국의 주요 국가별 감(건조) 수입 현황 132

표 3-31. 일본 감의 연도별 생산동향 141

표 3-32. 일본 감의 주산지별 생산동향 142

표 3-33. 주요 국가별(한국, 중국) 일본의 감(건조) 수입현황 143

표 3-34. 싱가포르 감 수입 동향 147

표 3-35. 싱가포르 감 수입 시기 148

표 3-36. 싱가포르 대형 유통업체 현황 150

표 3-37. 대만의 주요 국가별 감 수입 동향 154

표 3-38. 대만의 국가별 감(신선) 수입실적 155

표 3-39. 대만 주요 식품 판매업체 현황 158

표 3-40. 태국 과실류 생산동향 159

표 3-41. 주요 국가별(한국, 중국) 태국의 감(건조) 수입동향 160

표 3-42. 태국의 국가별 감 수입실적 161

표 3-43. 태국 대형 식료품 분야 주요 업체현황(2007년 말) 163

표 3-44. 말레이시아 기타 과실류 수입 현황 165

표 3-45. 주요 국가별(한국, 중국) 홍콩의 감(건조) 수입 동향 167

표 3-46. 홍콩의 국가별 감 수입실적 168

표 3-47. 대형유통업체 점포수 연도별 추정치 170

표 3-48. 조사대상 소매점 스낵류 매출액 174

표 3-49. 미국 온라인 소매 유통시장 규모 177

표 3-50. 건강스낵으로 간주되는 식품(조사 대상: 18세 이상 성인 2000명) 179

표 3-51. 미국 현지 납품 성공 사례 184

표 3-52. 메이플 시럽 생산액 188

표 3-53. 아가베시럽과 일반벌꿀 비교 190

표 3-54. 연도별 곶감 생산량 및 출하량 194

표 3-55. 일본 곶감의 도매가격 199

표 3-56. 고추장 품질기준 205

표 3-57. 일본 곶감의 도매가격 212

표 3-58. 감 수입 국가별 판매가격(2009년) 220

표 3-59. 감 수입 국가별 판매가격 224

표 3-60. 성숙정도별 탈삽전 과실품질 226

표 3-61. 성숙정도별 탈삽 후 당도 변화 226

표 3-62. 성숙정도별 탈삽 후 연화과 발생율 227

표 3-63. 품종별 CO₂ 탈삽 후 품질 227

표 3-64. 탈삽처리 후 경도변화 228

표 3-65. 탈삽처리 후 삽미변화 228

표 5-1. 미국 식품 박람회 종류 및 일정 238

표 5-2. 친환경 식료품에 부착되는 공인 라벨들 241

표 5-3. 싱가포르 감 수입 국가별 판매가격 248

표 5-4. 말레이시아 감 수입 국가별 판매가격 248

그림 1-1. 연구추진 흐름도 23

그림 2-2. 지역별 떫은감 생산 동향 27

그림 2-3. 떫은감 수출 추이 28

그림 2-4. 떫은감 품목별 수출 추이 28

그림 2-5. 떫은감 수입 추이 30

그림 3-1. 감말랭이와 반건시 33

그림 3-2. 감와인과 와인터널 34

그림 3-3. 아이스 홍시와 낱개로 포장된 제품 35

그림 3-4. 감식초와 감식초화이바 36

그림 3-5. 청도반시 화장품과 비누 37

그림 3-6. 감비타민과 감청국환 38

그림 3-7. 감국수, 감냉면, 감떡국, 감수제비 38

그림 3-8. 감 장아찌 39

그림 3-9. 감물염색 공정 및 제품 40

그림 3-10. 떫은(떪은) 감 이용 상품의 개발과정 42

그림 3-11. 상품에 대한 Concept 개발 43

그림 3-12. 서구형 농산물 상품개발 사례(머루와인) 44

그림 3-13. 고추장의 인지도 사례(비빔밥, 떡볶이) 45

그림 3-14. 감말랭이 46

그림 3-15. 청도 반시 비니거 젤리 47

그림 3-16. 청도 홍시 잼 48

그림 3-17. 반 곶감 크림 48

그림 3-18. 메이플시럽 강정 에너지바 49

그림 3-19. 홍시 라떼 50

그림 3-20. 곶감 고추장 51

그림 3-21. 탈삽 기술 55

그림 3-22. 탈삽 기술 56

그림 3-23. 곶감 분말화 기술 57

그림 3-24. 곶감 고추장 제조 57

그림 3-25. 곶감 수출용 포장 단위 및 포장상자 61

그림 3-26. 감 부산물로 만든 가공제품 원료(감분말, 농축액, 슬러시) 63

그림 3-27. 상주 곶감 선별장 및 유통센터 65

그림 3-28. 품목별 대표조직과 수출조직 연계 강화도 67

그림 3-29. 농식품 수출선도조직 수출사업 추진 절차도 74

그림 3-30. 농산물 원예전문생산단지 실태평가 체계 78

그림 3-31. 뉴질랜드의 세계 주요 시장 80

그림 3-32. 뉴질랜드 개요 81

그림 3-33. 2009년 원예산물 수출액(매 6월 기준, FOB 기준) 82

그림 3-34. 뉴질랜드 키위산업 동향 82

그림 3-35. 키위수출지역 및 국가별수출액 변화추이('00~'10) 83

그림 3-36. 뉴질랜드 사과산업 동향 83

그림 3-37. 뉴질랜드 기타 과실류 동향 84

그림 3-38. 뉴질랜드 채소류 동향 84

그림 3-39. 뉴질랜드 화훼, 종자, 구근류 동향 84

그림 3-40. 제스프리의 고객과 농가 관계도 87

그림 3-41. 제스프리의 5대 집중 분야 88

그림 3-42. 제스프리 혁신 우선순위 88

그림 3-43. 사과를 이용한 음식 요리법 소개 91

그림 3-44. 소매점 프로모션 91

그림 3-45. JAZZ의 독특함, 개성, 활발함을 살린 웹사이트 92

그림 3-46. Facebook, Youtube, Twitter 홍보 92

그림 3-47. 프리미엄 사과를 추구하는 ENVY 이미지 광고 92

그림 3-48. 호주 원예 산물 수출 물량-과일 및 채소 2007 97

그림 3-49. 호주 원예 산물 수출 품목별 비중-과일 및 견과류 97

그림 3-50. 호주 원예협회 자조금 사업 관련 기구와 역할 100

그림 3-51. 호주 원예협회 2001년 자조금 펀드 구성내용 103

그림 3-52. 2009 회계 연도 호주원예협회 보고서에 제출된 자조금 사업 금액 비율 104

그림 3-53. 2009 회계 연도 호주원예협회 보고서에 제출된 자조금 사업 프로젝트 수 104

그림 3-54. 호주 원예협회 소속 회원들의 상호 및 로고 105

그림 3-55. 호주 원예협회 조직 구성도 107

그림 3-56. 호주원예협회 Australia Fresh Programme인터넷 사이트 109

그림 3-57. 호주원예 수출협회 인터넷 사이트 109

그림 3-58. 호주 사과의 월별 수출량 110

그림 3-59. 호주 오렌지의 월별 수출량 111

그림 3-60. 호주 포도의 월별 수출량 112

그림 3-61. 호주 농산물 수출의 해외마케팅 사례(싱가포르) 112

그림 3-62. Australia fresh 국가 브랜드 사용 지침 및 사례 1 113

그림 3-63. Australia fresh 국가 브랜드 사용 지침 및 사례 2 113

그림 3-64. 떫은감 수출전문조직 MOU 체결 및 선적식 118

그림 3-65. 감 가공제품(감말랭이) 수출전문조직 MOU 체결 및 선적식 128

그림 3-66. 감 가공제품(감말랭이) 해외홍보, 판촉사진 129

그림 3-67. 미국 유통 신선 감 133

그림 3-68. 미국 유통 감 가공 식품 1 134

그림 3-69. 미국 유통 감 가공 식품 2 135

그림 3-70. 미국 유통 건조 감 136

그림 3-71. 미국 유통 감 관련 제품 136

그림 3-72. 미국 내 과실류 유통경로 137

그림 3-73. 미국 내 판매되는 떫은감 식품류 138

그림 3-74. 미국 감(건조) 수입통관 절차 139

그림 3-75. 일본 감 주산지별 생산비율 142

그림 3-76. 일본 감 가공 상품 144

그림 3-77. 싱가포르 감 유통구조 148

그림 3-78. 대만 재배 떫은감 품목 152

그림 3-79. 대만 곶감 재배농가 현장 152

그림 3-80. 대만 유통 단감 종류 155

그림 3-81. 대만 내 유통되는 감 관련 식품 156

그림 3-82. 대만 유통 감 가공 식품 156

그림 3-83. 대만 감 유통경로 157

그림 3-84. 말레이시아 감 유통구조 165

그림 3-85. 홍콩 농식품 유통경로 169

그림 3-86. 미국내 한국식품 유통업체 175

그림 3-87. 미국 전체 유통시장 내 온라인 소매 유통시장 성장추이 178

그림 3-88. 건강스낵(트레일믹스, 에너지바) 1 181

그림 3-89. 건강스낵(트레일믹스, 에너지바) 2 182

그림 3-90. 저함유 및 추가 기능에 대한 중요도 183

그림 3-91. 미국내에서 성공한 견과류 강정 185

그림 3-92. 종류별 시럽 및 스위트너 187

그림 3-93. 메이플 시럽 생산 동향 189

그림 3-95. 아가베 시럽 종류 192

그림 3-96. 일본의 곶감 생산 주산지 195

그림 3-97. 미나미 신쥬농협의 이찌다곶감 포장 196

그림 3-98. 이찌다곶감의 품질규격 및 상품(2등급) 197

그림 3-99. 신슈 시모이나 과일직판(信州下伊那 くだもの 直販)장 198

그림 3-100. 일본 오다도매시장 반건조 안뽀곶감 가격 199

그림 3-101. 일본 도매시장 도근조생 곶감 가격 200

그림 3-102. 일본 도매시장 건조 이찌다곶감 가격 200

그림 3-103. 재래시장의 중국산 곶감 및 가격 201

그림 3-104. 일본 온라인 시장 브랜드별 고추장 점유율 206

그림 3-105. 일본 내 판매 중인 일본산 고추장 제품 207

그림 3-106. 일본 고추장 500g 제품 가격대 210

그림 3-107. 일본 고추장 300g 제품 가격대 210

그림 3-108. 일본 고추장 120g 제품 가격대 211

그림 3-109. 싱가포르에서 판매되는 감 제품 219

그림 3-110. 말레이시아에서 판매되는 감 223

그림 3-111. 저장온도 15℃에서 곶감의 품질변화 230

그림 3-112. 저장온도 2℃에서 곶감의 품질변화 230

그림 3-113. 저장온도 -20℃에서 곶감의 품질변화 231

그림 3-114. 저장온도 -25℃에서 곶감의 품질변화 231

그림 5-1. 미국 소비자의 식료품 선택시 주요 관심사항 240

그림 5-2. 일본의 소비스타일 분석 241

그림 5-3. 한국의 고추장 수출액 추이 243

그림 5-4. 일본의 소형 식료품 사례 245

초록보기 더보기

 I. 제목

"떫은감의 수출상품화 및 시장개척 연구"

II.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세계적으로 떫은감 생산량은 증가 추세이나 생산국이 한정되어 있다. 세계 소비는 생산국 위주로 이루어질 뿐 교역량은 생산량의 1%에도 미치지 못할 만큼 매우 적다. 그러나 시장개방화가 확대됨에 따라 임산물 국제교역 물량도 증가하고 있으며, 수출시장에서 자국 임산물 시장 비중을 확대시키기 위한 국가 간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다. 따라서 국내 임산물에 대한 수요를 유지하고 해외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국내 떫은감 생산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주산지(청도군, 영동군)의 특화상품 개발 지원으로 식재면적이 증가하여 남부지방의 중요한 소득 작물이 되고 있다. 단감은 수확 후 바로 유통되어 생과로 이용되고 있는 반면, 떫은감은 탄닌 물질로 인해 탈삽 후 생과로 일부 이용되거나 연시 혹은 곶감으로 유통된다. 최근에는 감분말, 감절편, 감식초, 와인, 아이스홍시 등의 다양한 가공품이 개발되어 수출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및 중국의 곶감 수출 실적이 있는 국가와 한국 단감 주요 수출전략국가, 감 관련 가공품이 존재하는 국가, 주 소비층이 교포인 시장 외의 국가를 대상으로 감 생산·수출입 동향과 소비·유통 체계를 살펴보고 떫은감 진출이 가능한 유망국가를 선정한다. 또한 유망국가 내에서 떫은감 가공품이 진출할 수 있는 상품의 시장동향 및 수출여건을 파악하여 국가별 수출확대 전략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II. 연구개발 내용 및 범위

본 연구의 제1세부과제인 '떫은감 기능성 및 상품화 개발 연구'에서는 떫은감의 기능성 가공품을 개발하고, 떫은감 가공제품의 상품성 제고기술을 개발하여 최종적으로 수출용 가공품을 개발한다.

제2세부과제 '떫은감 수출전문단지 조성 및 운영 프로그램 개발 연구'는 떫은감 수출전문단지 및 조직 육성을 위해 수출전문단지 조성 및 임가 조직화를 위한 기술지원과 수출전문단지 관리 및 경영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제3세부과제인 '떫은감 수출유망시장 발굴 및 시장개척 연구'는 떫은감 수출시장의 개척을 위해 떫은감 수출 유망시장을 발굴하고, 수출 및 마케팅 전략을 수립한다.

IV. 연구개발 결과

세계 감 생산량은 2010년 404만 톤인데 대부분 중국에서 생산되며 국제교역 규모는 생산량의 1% 수준으로 매우 낮다. 2010년 우리나라 떫은감 재배면적은 16,564ha, 생산량은 10만톤 가량으로 1997년 이후 급속히 증가하고 있어 향후 수출증대를 위한 수출기반 강화가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는 수출 상품화 및 시장개척뿐 아니라 농가와 수출업체의 수출기능을 강화할 수 있는 수출전문조직 결성이 필요하다.

현재 탈삽감은 동남아지역으로 시장을 확대할 수 있는 잠재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며 단감이 출하되기 이전에 선적하여 틈새시장 및 틈새기간을 활용해야 한다. 또한 탈삽기술의 개발과 장비 제작이 요구되는데 이는 수출업체와 정부에서 관심을 가지고 지원해 줄 필요성이 있다. 품질이 관리된 수출물량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서는 수출용 떫은감의 공급기능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는 떫은감 전문생산단지의 조성 및 관리가 필요하다. 또한 수출전문조직이 수출하는 물량을 전문생산단지에서 공급할 수 있도록 시스템화 해야 한다.

떫은감의 탈삽감 수출을 활성화하기 위해 도주영농조합과 에버굿은 감 수출확대를 위한 공동의 목표를 설정하고 공동 노력하자는 의미의 수출전문조직 구성의 협정을 체결(MOU)하였고 첫 수출이 이루어졌다. 감가공제품(감말랭이) 수출전문조직은 수출업체인 엘림무역과 생산자조직인 도주영농조합법인이 수출전문조직으로 구성하고 양 기관이 MOU를 체결하였다. 이후 말레이시아에 국내 첫 감말랭이를 수출하고 현지 대형 유통업체와 연계한 특판 행사를 열어 신규시장을 개척하였다.

떫은감 수출 시장을 개척하기 위해 한국 및 중국 감(건조)의 수출실적이 있고 감 관련 가공품이 존재하고 주 소비층이 교포외의 민족이 존재하는 미국, 일본, 싱가포르, 대만, 태국, 말레이시아, 홍콩에 대해 살펴보았다. 인지도가 있는 국가는 한국산 감과 공동마케팅이나 중국산 곶감류 와의 차별화 전략으로 진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고 감 관련 가공품이 존재하는 국가에 맞는 가공품 개발로 한국 떫은감의 부가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미국, 일본, 싱가포르 및 말레이사아를 수출유망시장으로 선정하고 떫은감 및 관련 식품의 생산·소비·수출입·유통 동향을 파악하여 각 시장별 수출확대전략을 수립하였다.

첫째, 미국 소비자들은 최근 경기침체 이후 구매 식품의 가치, 다양성, 편의성과 안정성을 추구하는 경향을 보이며 바쁜 생활 습관으로 간편식 시장이 매우 커졌다. 이와 함께 건강 증진에도 관심을 기울이고 있어 건강스낵과 시럽류 시장의 발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떫은감을 첨가한 건강스낵과 천연 당시럽으로 미국 시장에 진출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우선적으로 교포마켓 점유를 확대하고 현지화하여 수요 저변을 확보하여야 한다. 소포장에서는 중국산과 가격차별로 수익성을 높이고 벌크푸드로 스낵재료용 공급망을 점유할 수 있다. 미국시장 진출시에는 유통업체 및 마케팅 에이전트를 활용하여 까다로운 통관절차를 통과할 수 있을 것이다. 떫은감의 영양성을 강조하여 웰빙식품으로 홍보하기 위해 식품안전 공인인증을 획득하는 방법이 있다.

둘째, 국산 곶감의 일본시장 진출은 저가의 중국산 곶감과의 가격차로 인해 고품질·고부가가치 제품 생산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국내의 원료감 생산임가와 가공업체는 대부분 영세한 규모이므로 생산자 조직화와 체계적인 지원을 통해 고품질의 곶감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한류의 영향으로 한국식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고추장, 라면, 김치, 통조림, 김 등의 수출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흐름을 감가공제품의 마케팅에 잘 활용한다면 큰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감 분말을 첨가한 감고추장은 감의 기능성을 부각시키는 홍보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일본 내에서 한국식품을 취급하던 기존의 유통망을 활용한다면 떫은감 가공품의 일본 수출에 있어서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현재 싱가포르·말레이시아 수입회사들의 한국산 감에 대한 인지도는 크지 않지만 최근 한류로 인한 한국의 인지도 향상으로 향후 수출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감말랭이의 경우 수출상대국 소비자들의 선호에 따른 포장방식과 유통기한 연장 가공방식이 개선된다면 수출확대에 도움이 될 것이다. 탈삽감의 경우 탈삽기술의 개선과 탈삽시기의 조절 등으로 이스라엘산 샤론감 수준의 신선도가 유지된다면 다른 수출경쟁국의 제품보다 당도와 크기, 종교적인 문제 등에서 경쟁력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V. 연구결과 활용에 대한 건의

제1세부과제의 떫은감 분말가루 및 시럽을 이용한 다양한 가공품 개발은 수출상품화 개발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탈삽기술의 개발은 향후 동남아시아를 비롯한 아시아지역의 탈삽감 수출의 기초기술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가공기술을 이용하여 타 임산물 및 농산물 가공전략에 활용하는 것도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제2세부과제의 수출전문조직 육성에 대한 운영방안 및 연구실적은 산지유통 조직화를 위한 교육·홍보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떫은감 타 주산지의 규모화·조직화를 위한 선행 연구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며, 수출선도조직 육성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제3세부과제와 유망시장 유사가공품 분석은 그 내용을 토대로 임산물수출의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수출 전략국 진출 및 현지화 방안 마련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여야 할 것이다.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T000037271 전자형태로만 열람 가능함 이용불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