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기후변화에 따른 자연재난 환경변화예측 및 방재기준에 미치는 영향 연구. 제1권 : 기후변화를 고려한 방재기준 설정방안 / 소방방재청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소방방재청, 2011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 가능함
형태사항
xxxii, 625 p. : 삽화, 표 ; 27 cm
제어번호
MONO1201214647
주기사항
"자연재해저감기술개발사업단"의 연구과제임
주관연구기관: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구책임자: 김형수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보고서 요약서]

요약문

SUMMARY

목차

제I편 서론 43

1.1. 연구개발의 필요성 45

1.1.1. 연구의 필요성 45

1.1.2. 국내외 연구동향 및 기존 연구의 문제점 48

1.2. 연구목표 및 내용 63

제II편 기후변화를 고려한 방재시설기준 설정방안 연구 67

제1장 기후변화를 고려한 강우 분야 영향 분석 69

1.1. 서론 69

1.1.1. 연구목표 및 내용 69

1.2.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71

1.2.1. 대상 관측소 및 기간 분류 71

1.2.2. 극치통계분석 73

1.2.3. 비시나리오 및 시나리오적 방법 122

1.2.4. 지점빈도해석 134

1.2.5. 지역빈도해석 147

1.2.6. 일자료의 시간분해 158

1.2.7. 카오스 분해의 적용성 검토 168

제2장 기후변화를 고려한 적설 및 교통 분야 영향 분석 191

2.1. 서론 191

2.1.1. 연구목표 및 내용 191

2.2. 기후변화가 극한적설에 미치는 영향 평가 194

2.2.1. 관측 적설의 통계분석 194

2.2.2. 기후변화 시나리오 및 기후모형 검증 206

2.2.3. 목표기간별 적설빈도해석 206

2.3. 국내제설방법 고찰 244

2.3.1. 기존도로 제설방법 244

2.3.2. 맞춤형 제설방법 244

2.3.3. 도로제설방법 246

2.4. 제설 시스템 고찰 251

2.4.1. 제설제 251

2.4.2. 제설장비 254

2.4.3. 제설시스템 261

2.5. 편익산정을 위한 VDF함수 개발 263

2.5.1. 개요 263

2.5.2. 교통량-지체함수의 특성 263

2.5.3. 기존연구 고찰 265

2.5.4. 추정방법 266

2.5.5. 추정결과 268

2.6. 적설에 따른 불편익 산정 270

2.6.1. 분석방법론 270

2.6.2. 분석 대안 설정 270

2.6.3. 적설로 인한 불편익산정 274

제3장 기후변화를 고려한 강풍 분야 영향 분석 277

3.1. 서론 277

3.1.1. 연구개발의 필요성 277

3.1.2. 연구목표 및 내용 283

3.2.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285

3.2.1. 강풍 기본풍속도 평가기법 285

3.3.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296

3.3.1. 자료 수집 296

3.3.2. 비시나리오에 의한 기본풍속도 평가 기술 328

3.3.3. IPCC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의한 기본풍속도 평가 기술 382

3.3.4. 내풍 방재 기준 검토 505

제4장 기후변화를 고려한 해수면 분야 영향 분석 513

4.1. 서론 513

4.1.1. 연구개발의 필요성 513

4.1.2. 연구목표 및 내용 515

4.2.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515

4.2.1. 국내 기술개발 현황 515

4.2.2. 국외 기술 개발 현황 517

4.3.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519

4.3.1. 개요 519

4.3.2. 해수면 변화 예측을 위한 수치모형의 개발 조건 521

4.3.3. 지역해양순환모형(ReMOM) 개발 523

4.3.4. 시나리오 소개 526

4.3.5. 연구에 사용된 IPCC 모델 526

4.4. 결과 및 분석 528

4.4.1. 시나리오 A1B 528

4.4.2. 시나리오 B1 540

4.4.3. 경계자료로 들어간 GFDL_CM2.1의 해수면높이, 해수면온도, 표층해류 변화 도식 552

4.4.4. 결과 555

4.5. 기후변화를 고려한 방재기준 개선안 559

제5장 기후변화를 고려한 방재기준 재설정을 위한 연구 561

5.1. 기후변화에 따른 방재기준 재설정 방안 561

5.1.1. 국내 방재기준의 조사 및 문제점 분석 561

5.1.2. 외국의 기후변화를 고려한 방재기준 재설정 노력 582

5.1.3. 기후변화를 고려한 방재기준 재설정 방안 587

5.2. 기후변화를 고려한 방재기준 가이드라인의 작성 598

표 I-1.1. 기후변화 관련 부처별 연구개발 내용 49

표 I-1.2. 연구내용 및 범위 64

표 II-1.1. 대상 관측지점 72

표 II-1.2. 유의성 검토 (P-value, 남한) 82

표 II-1.3. 건조 지속기간 (CDD) 84

표 II-1.4. SDII (강우강도) 87

표 II-1.5. 50mm이상 강우관측 횟수 (R50mm) 90

표 II-1.6. 80mm이상 강우관측 횟수 (R80mm) 93

표 II-1.7. 지속기간 1일 최대 강우량 (Rx1day) 96

표 II-1.8. 지속기간 5일 최대 강우량 (Rx5day) 99

표 II-1.9. 유의성 검토 (P-value, 북한) 109

표 II-1.10. 건조 지속기간 (CDD) 110

표 II-1.11. SDII (강우강도) 112

표 II-1.12. 50mm이상 강우관측 횟수 (R50mm) 114

표 II-1.13. 80mm이상 강우관측 횟수 (R50mm) 116

표 II-1.14. 지속기간 1일 최대 강우량 (Rx1day) 118

표 II-1.15. 지속기간 5일 최대 강우량 (Rx1day) 120

표 II-1.16. SIR 알고리즘 빈도해석 125

표 II-1.17. Bootstrap 알고리즘 빈도해석 127

표 II-1.18. 국가별 기후변화 모형 (AR4 시나리오 중 선택된 시나리오) 130

표 II-1.19. 모집단의 매개변수와 표본 통계량 136

표 II-1.20. 확률분포형의 확률밀도함수 또는 누가분포함수 137

표 II-1.21. 미래 확률강우량의 변동성 및 증가율 141

표 II-1.22. 지점별-빈도별 목표기간별 증가율 (일강우) 142

표 II-1.23. 지점별-빈도별 목표기간별 증가율(일강우) 〈북한지점〉 144

표 II-1.24. 군집분석 결과 154

표 II-1.25. 지역별-빈도별 목표기간별 증가율 (지역빈도해석, 일강우) 156

표 II-1.26. 시간적 해상도별 강우자료의 통계적 특성 168

표 II-1.27. 상관계수 (서울, 1992~1995, 24h-12h) 170

표 II-1.28. 제곱근 오차 (서울, 1992~1995, 24h-12h) 171

표 II-1.29. 상관계수 (서울, 1992~1995, 12h-6h) 171

표 II-1.30. 제곱근 오차 (서울, 1992~1995, 12h-6h) 171

표 II-1.31. 상관계수 (서울, 1992~1995, 6h-3h) 172

표 II-1.32. 제곱근 오차 (서울, 1992~1995, 6h-3h) 172

표 II-1.33. 서울지점의 카오스 분해 적용 결과 176

표 II-1.34. 지역별-시간별-빈도별 목표기간별 증가율 (1번 지역) 177

표 II-1.35. 지역별-시간별-빈도별 목표기간별 증가율 (2번 지역) 178

표 II-1.36. 지역별-시간별-빈도별 목표기간별 증가율 (3번 지역) 179

표 II-1.37. 지역별-시간별-빈도별 목표기간별 증가율 (4번 지역) 180

표 II-1.38. 지역별-시간별-빈도별 목표기간별 증가율 (5번 지역) 181

표 II-1.39. 지역별-시간별-빈도별 목표기간별 증가율 (6번 지역) 182

표 II-1.40. 지역별-시간별-빈도별 목표기간별 증가율 (7번 지역) 183

표 II-1.41. 지역별-시간별-빈도별 목표기간별 증가율 (8번 지역) 184

표 II-1.42. 지역별-시간별-빈도별 목표기간별 증가율 (9번 지역) 185

표 II-1.43. 지역별-시간별-빈도별 목표기간별 증가율 (10번 지역) 186

표 II-1.44. 지역별-시간별-빈도별 목표기간별 증가율 (11번 지역) 187

표 II-1.45. 지역별-시간별-빈도별 목표기간별 증가율 (12번 지역) 188

표 II-1.46. 지역별-시간별-빈도별 목표기간별 증가율 (13번 지역) 189

표 II-1.47. 지역별-시간별-빈도별 목표기간별 증가율 (종합) 190

표 II-2.1. 모집단의 매개변수와 표본 통계량 194

표 II-2.2. 최심신적설량 관측지점 및 관측기간 195

표 II-2.3. 관측자료를 이용한 대표지점의 기간별 평균 및 분산 증감량 분석 196

표 II-2.4. 관측자료를 이용한 대표지점의 기간별 이상치 및 임계치 증감률 분석 198

표 II-2.5. 관측자료를 이용한 기간별 강설의 증감량 분석 199

표 II-2.6. 관측 최심신적설량에 의한 빈도별 확률적설량 202

표 II-2.7. 관측 최심신적설량에 의한 빈도별 확률적설량 203

표 II-2.8. 시나리오에 의한 빈도별 확률적설량 (목표기간 I) 208

표 II-2.9. 시나리오에 의한 빈도별 확률적설량 (목표기간 II) 210

표 II-2.10. 시나리오에 의한 빈도별 확률적설량 (목표기간 III) 212

표 II-2.11. 시나리오에 의한 빈도별 확률적설량 (목표기간 IV) 214

표 II-2.12. 시나리오에 의한 목표기간별 확률적설량 (20년 빈도) 216

표 II-2.13. 시나리오에 의한 목표기간별 확률적설량 (30년 빈도) 219

표 II-2.14. 시나리오에 의한 목표기간별 확률적설량 (50년 빈도) 222

표 II-2.15. 시나리오에 의한 목표기간별 확률적설량 (80년 빈도) 225

표 II-2.16. 시나리오에 의한 목표기간별 확률적설량 (100년 빈도) 228

표 II-2.17. 시나리오에 의한 목표기간별 확률적설량 (200년 빈도) 231

표 II-2.18. 시나리오에 의한 목표기간별 확률적설량 (300년 빈도) 234

표 II-2.19. 시나리오에 의한 목표기간별 확률적설량 (500년 빈도) 237

표 II-2.20. 군집화 결과 242

표 II-2.21. 군집화된 지역빈도 해석결과 242

표 II-2.22. 일 적설량에 대한 재현기간별 확률적설량 243

표 II-2.23. 적설량 및 적설하중에 의한(때란) 피해현상 243

표 II-2.24. 기존제설방법 244

표 II-2.25. 작업수준 결정을 위한 도로등급 245

표 II-2.26. 도로등급에 따른 제설 수준 246

표 II-2.27. 적설량에 따른 도로 제설방법 247

표 II-2.28. 일반구간 제설제 살포기준 248

표 II-2.29. 상습결빙구간 제설제 살포기준 249

표 II-2.30. 차로별 제설제 살포순서 250

표 II-2.31. 차로별 리무빙 작업방법 250

표 II-2.32. 제설제 종류 및 장단점 252

표 II-2.33. 습염 살포 기준 253

표 II-2.34. 융설제 비교 254

표 II-2.35. 제설장비 비교 260

표 II-2.36. 제설시스템 비교 262

표 II-2.37. 전국 기반의 도로 유형별 VDF 함수 파라미터 값 264

표 II-2.38. 강우·강설에 따른 교통량 및 속도 감소율 266

표 II-2.39. 추정결과 요약 269

표 II-2.40. 분석대안 설정 271

표 II-2.41. 군집화 및 지역빈도 해석결과 271

표 II-2.42. 지역빈도해석에 의한 재현기간별 확률적설량 273

표 II-2.43. 차종별 차량운행비용 회귀계수 및 결정계수 275

표 II-2.44. 차량 1대당 평균 통행시간가치 (전국권: 2007년 기준) 276

표 II-2.45. 불편익산정결과 276

표 II-3.1. 연차별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284

표 II-3.2. GCM 출력 데이터의 변수 290

표 II-3.3. 매분기상자료 2진수 파일의 포맷 296

표 II-3.4. 정시기상자료 2진수 파일의 포맷 298

표 II-3.5. 일별기상자료 2진수 파일의 포맷 299

표 II-3.6. 연별기상자료 필드 301

표 II-3.7. 지상관측지점별 연별기상자료의 기간 302

표 II-3.8. 기상관측지점일람표 이력 필드 305

표 II-3.9. 상세기상관측지점일람표의 필드 306

표 II-3.10. RSMC 최상경로 포맷: 전문 영역 (Header Line) 308

표 II-3.11. RSMC 최상경로 포맷: 자료 영역 (Data Lines) 309

표 II-3.12. 연구에 사용된 RSMC 최상 경로에 대한 DB 필드 311

표 II-3.13. 본 연구에서 수집한 토지피복지도 312

표 II-3.14. 1975, 1980년 시점 토지피복도의 구분 312

표 II-3.15. 1985, 1990, 1995, 2000년 시점 토지피복도의 구분 313

표 II-3.16. 토지피복지도의 투영 (Projection) 계수 313

표 II-3.17. 각국의 GCM Models 322

표 II-3.18. CGCM의 위도 좌표 325

표 II-3.19. CGCM의 경도 좌표 326

표 II-3.20. GCM 변수의 설명 327

표 II-3.21. 토지피복지도 구분별 지표조도 가중치 330

표 II-3.22. 지표조도 가중치의 산술평균에 따른 지표조도구분 330

표 II-3.23. 지형에 의한 풍속 할증 계수 339

표 II-3.24. 지형에 의한 풍속할증계수(Kzt) 적용범위, m(이미지참조) 340

표 II-3.25. Z01=0.07m와 다른 지표조도길이 (Z0)에 대한 u*/u*1(이미지참조) 351

표 II-3.26. 68개 관측 지점 균일 풍속에 대한 극치 분석 결과 354

표 II-3.27. 9개 분석 지점에 대한 태풍 시뮬레이션에 의한 재현기간풍속 372

표 II-3.28. 통계적 축소법과 동적 축소법의 장·단점 383

표 II-3.29. 강릉과 서산 다중선형회귀모델에 최종 선택된 NCEP 변수 388

표 II-3.30. 강릉과 서산 실측 풍속과 교정기간 풍속의 통계치 비교 390

표 II-3.31. 미래 풍속 예측 46개 지역 392

표 II-3.32. 미래 풍속 예측 추가 15개 지역 424

표 II-3.33. 10분 평균풍속의 재현주기별 극대치 풍속추출 425

표 II-3.34. 3초 돌풍풍속의 재현주기별 극대치 풍속추출 427

표 II-3.35. CPD/CPD0에 영향을 미치는 6가지 인자의 상관계수와 그에 따른 기여도 493

표 II-3.36. 지역별 KBC 및 CGCM&TMCS의 기본풍속 509

표 II-3.37. 도로교설계기준과 CGCM&TMCS의 기본풍속 비교 512

표 II-5.1. 행정기관별 주요 방재시설물 설계기준 (행자부, 2003) 562

표 II-5.2. 시설물의 기능 및 소관기관별 분류 563

표 II-5.3. 방재시설물의 주요인자 564

표 II-5.4. 국토해양부와 관련된 설계 빈도 기준 565

표 II-5.5. 환경부와 관련된 설계 빈도 기준 567

표 II-5.6. 기타 설계 빈도 기준 568

표 II-5.7. 도시지역 배수구역에 대한 설계홍수량 산정 방법 569

표 II-5.8. 적설 관련 용어 570

표 II-5.9. 신적설량의 표현 기준 571

표 II-5.10. 대설주의보 및 경보 발표기준 571

표 II-5.11. 적설량 및 적설 하중에 의한 피해 현상 기준 572

표 II-5.12. 고속도로 적설 유형별 통행제한 기준 572

표 II-5.13. 일반국도 적설 유형별 통행제한 기준 573

표 II-5.14. 지역별 도로 현황 574

표 II-5.15. 지역빈도해석에 의한 재현기간별 확률적설량 576

표 II-5.16. 작업수준 결정을 위한 도로등급 577

표 II-5.17. 도로등급에 따른 제설 수준 578

표 II-5.18. 제설제 및 장비 구입비용 579

표 II-5.19. 특별 적응 전략의 제안 (일본 국토교통성, 2008. 6) 583

표 II-5.20. 기후변화에 대한 적응 및 완화 (일본 국토교통성, 2008. 6) 584

표 II-5.21. 기후변화 영향을 고려한 강우 등에 대한 가중치 586

표 II-5.22. 설계빈도 조정 방안 587

표 II-5.23. 소하천시설기준의 설계주요인자 589

표 II-5.24. 사전재해영향성검토의 설계주요인자 590

표 II-5.25. 기후변화 영향을 고려한 미래 설계강우량의 보정 (예시 : 서울지역) 593

표 II-5.26. 기후변화 영향을 고려한 미래 설계강우량의 보정 (서울 예시) 594

표 II-5.27. 군집화된 지역빈도 해석결과 595

표 II-5.28. 적설량 및 적설하중에 의한(때란) 피해현상 596

표 II-5.29. 일 적설량에 대한 재현기간별 확률적설량 596

그림 I-1.1. 전세계적인 자연재해 발생현황 (좌: 재해의 발생건수, 우: 연간피해액) 45

그림 I-1.2. 온실가스 배출 저감에 따른 향후 기후변화 전망치, IPCC(2001) 46

그림 I-1.3. 기후변화에 따른 미국과 캐나다의 평균풍속 분포와 평균풍속의 변화 52

그림 I-1.4. 기후변화에 의한 빈도별 확률강우량의 변화 (영국, Flower et al (2005)) 56

그림 I-1.5. 기후변화에 따른 미국과 캐나다의 평균풍속 분포(2050yr)와 시기별 평균풍속의 변화 58

그림 I-1.6. 기후변화가 수자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도별 연구방향 60

그림 I-1.7. 지역별 풍속 기준, 100년 재현주기 (왼쪽 - 국내, 오른쪽 - 호주) 62

그림 II-1.1. 전체 연구 흐름도 (강우) 70

그림 II-1.2. 남·북한 전역 (강우관측소) 71

그림 II-1.3. 강우강도 (남한) 76

그림 II-1.4. 50mm이상 강우관측 횟수 (남한) 77

그림 II-1.5. 80mm이상 강우관측 횟수 (남한) 78

그림 II-1.6. 건조 지속기간 (남한) 79

그림 II-1.7. 지속기간 1일 최대 강우량 (남한) 80

그림 II-1.8. 지속기간 5일 최대 강우량 (남한) 81

그림 II-1.9. 강우강도 (북한) 103

그림 II-1.10. 50mm이상 강우관측 횟수 (북한) 104

그림 II-1.11. 80mm이상 강우관측 횟수 (북한) 105

그림 II-1.12. 건조 지속기간 (북한) 106

그림 II-1.13. 지속기간 1일 최대 강우량 (북한) 107

그림 II-1.14. 지속기간 5일 최대 강우량 (북한) 108

그림 II-1.15. Bootstrap 과정 124

그림 II-1.16. 빈도해석 산정 결과의 불확실성(SIR) 126

그림 II-1.17. 빈도해석 산정 결과의 불확실성(Bootstrap) 128

그림 II-1.18. SRES storyline(stoyline) 설명 및 시나리오별 이산화탄소 배출량 129

그림 II-1.19. 기후모형별 한반도 주변 격자 130

그림 II-1.20. Quantile mapping 134

그림 II-1.21. 빈도해석의 일반적 절차 135

그림 II-1.22. 확률강우량도 (지점빈도해석, 한반도전역)_1 145

그림 II-1.23. 확률강우량도 (지점빈도해석, 한반도전역)_2 146

그림 II-1.24. 불일치 척도의 기본 개념 (Hosking and Wallis, 1997) 148

그림 II-1.25. 자료의 불일치 척도의 분석 152

그림 II-1.26. 지역의 동질성 검정 153

그림 II-1.27. 적정분포형 선정 및 적합도 검정 155

그림 II-1.28. 확률강우량도(지역빈도해석, 일강우) 157

그림 II-1.29. 위상공간 (m=1, τ=1) (Sivakumar, 2007) 161

그림 II-1.30. 유출량의 위상공간 (Sivakumar, 2007) 161

그림 II-1.31. 거리(r) 에 따른 상관함수 계산 개념 (Sivakumar, 2007) 162

그림 II-1.32. 거리(r)에 따른 상관적분결과(랜덤자료) 163

그림 II-1.33. 위상공간차원에 따른 상관지수 164

그림 II-1.34. Concept of The Weights 165

그림 II-1.35. Chaotic Disaggregation 165

그림 II-1.36. 상관적분 (서울, 24h→12h) 169

그림 II-1.37. 상관적분 (서울, 12h→6h) 169

그림 II-1.38. 상관적분 (서울, 6h→3h) 169

그림 II-1.39. 상관지수 (서울) 169

그림 II-1.40. 최적의 Nearest Neighbor의 개수 (서울, 24h→12h) 172

그림 II-1.41. 최적의 Nearest Neighbor의 개수 (서울, 12h→6h) 173

그림 II-1.42. 최적의 Nearest Neighbor의 개수 (서울, 6h→3h) 173

그림 II-1.43. 최적의 위상공간 차원 (서울, 24h→12h) 173

그림 II-1.44. 최적의 위상공간 차원 (서울, 12h→6h) 174

그림 II-1.45. 최적의 위상공간 차원 (서울, 6h→3h) 174

그림 II-1.46. 분해결과 (서울, 24h→12h) 175

그림 II-1.47. 분해결과 (서울, 12h→6h) 175

그림 II-1.48. 분해결과 (서울, 6h→3h) 175

그림 II-2.1. 기후변화를 고려한 적설 방재기준 재설정 과정 193

그림 II-2.2. 평균 및 분산 196

그림 II-2.3. 임계치 및 이상치 197

그림 II-2.4. 대설주의보 및 대설경보 199

그림 II-2.5. 빈도해석의 일반적 절차 201

그림 II-2.6. 1971-2008 관측자료 20년빈도 204

그림 II-2.7. 1971-2008 관측자료 30년빈도 204

그림 II-2.8. 1971-2008 관측자료 50년빈도 204

그림 II-2.9. 1971-2008 관측자료 80년빈도 204

그림 II-2.10. 1971-2008 관측자료 100년빈도 205

그림 II-2.11. 1971-2008 관측자료 200년빈도 205

그림 II-2.12. 1971-2008 관측자료 300년빈도 205

그림 II-2.13. 1971-2008 관측자료 500년빈도 205

그림 II-2.14. 1971-2010 20년빈도 218

그림 II-2.15. 2011-2040 20년빈도 218

그림 II-2.16. 2041-2070 20년빈도 218

그림 II-2.17. 2071-2100 20년빈도 218

그림 II-2.18. 1971-2010 30년빈도 221

그림 II-2.19. 2011-2040 30년빈도 221

그림 II-2.20. 2041-2070 30년빈도 221

그림 II-2.21. 2071-2100 30년빈도 221

그림 II-2.22. 1971-2010 50년빈도 224

그림 II-2.23. 2011-2040 50년빈도 224

그림 II-2.24. 2041-2070 50년빈도 224

그림 II-2.25. 2071-2100 50년빈도 224

그림 II-2.26. 1971-2010 80년빈도 227

그림 II-2.27. 2011-2040 80년빈도 227

그림 II-2.28. 2041-2070 80년빈도 227

그림 II-2.29. 2071-2100 80년빈도 227

그림 II-2.30. 1971-2010 100년빈도 230

그림 II-2.31. 2011-2040 100년빈도 230

그림 II-2.32. 2041-2070 100년빈도 230

그림 II-2.33. 2071-2100 100년빈도 230

그림 II-2.34. 1971-2010 200년빈도 233

그림 II-2.35. 2011-2040 200년빈도 233

그림 II-2.36. 2041-2070 200년빈도 233

그림 II-2.37. 2071-2100 200년빈도 233

그림 II-2.38. 1971-2010 300년빈도 236

그림 II-2.39. 2011-2040 300년빈도 236

그림 II-2.40. 2041-2070 300년빈도 236

그림 II-2.41. 2071-2100 300년빈도 236

그림 II-2.42. 1971-2010 500년빈도 239

그림 II-2.43. 2011-2040 500년빈도 239

그림 II-2.44. 2071-2100 500년빈도 239

그림 II-2.45. 2041-2070 500년빈도 239

그림 II-2.46. 제설작업절차 244

그림 II-2.47. 덤프트럭 254

그림 II-2.48. 다목적 제설차 255

그림 II-2.49. 그레이더 256

그림 II-2.50. 노면결빙 파쇄기 256

그림 II-2.51. 스노우 블로우어 257

그림 II-2.52. 스노우 컷터 257

그림 II-2.53. 제설삽날 258

그림 II-2.54. 제설제 살포기 259

그림 II-2.55. 통행비용함수 파라미터 추정 매크로 수행도 268

그림 II-2.56. 재추정된 파라미터의 교통량 증가에 따른 통행속도 변화 269

그림 II-2.57. 1971~2010 100년 빈도 272

그림 II-2.58. 2011~2040 100년 빈도 272

그림 II-2.59. 2041~2070 100년 빈도 272

그림 II-2.60. 2071~2100 100년 빈도 272

그림 II-3.1. 10년간의 자연재해 유형별 피해 규모 (재해연보) 277

그림 II-3.2. 최근 30년간 태풍에 의한 피해액 (US달러, 1970~2006) 278

그림 II-3.3. 강풍에 의한 사유시설물 피해 278

그림 II-3.4. 기후변화에 의한 지구 온난화와 태풍 중심기압의 변화 279

그림 II-3.5. 기후변화에 따른 미국과 캐나다의 평균풍속 분포와 평균풍속의 변화 281

그림 II-3.6. 기본풍속도(KBC 2009) 282

그림 II-3.7. IPCC 종합보고서 및 GCM 전산모사에 따른 미래의 풍속도 283

그림 II-3.8. 설계를 위한 미국의 기본풍속도 (ASCE 7-05) 285

그림 II-3.9. 호주의 풍속 지역 구분도 (AS/NZS, 2002) 286

그림 II-3.10. GCM 데이터의 축소기법 적용의 필요성 288

그림 II-3.11. GCM 데이터의 축소기법 290

그림 II-3.12. 통계적 축소기법의 예 (위, linear regression모형; 아래 Weather typing 모형) 291

그림 II-3.13. GCM 데이터를 이용한 통계적 축소기법과 실측데이터의 비교 검증 (프랑스의 예) 292

그림 II-3.14. 10년 기간에 대한 열대성 저기압의 진로. 293

그림 II-3.15. 북태평양 해구 294

그림 II-3.16. 22세기 최근 20년간에 대한 20세기의 최근 20년간의 해구별 열대성 저기압의 발생빈도의 백분율 증가 (Emanuel 등 2008) 295

그림 II-3.17. RSMC 최상경로 다운로드 가능한 도쿄 태풍 센터 홈페이지 307

그림 II-3.18. 1975-토지피복지도 314

그림 II-3.19. 1980-토지피복지도 315

그림 II-3.20. 1985-토지피복지도 316

그림 II-3.21. 1990-토지피복지도 317

그림 II-3.22. 1995-토지피복지도 318

그림 II-3.23. 2000-토지피복지도 319

그림 II-3.24. 수치고도모형(DEM, 2001년기준) 320

그림 II-3.25. 행정구역도 (2001년 기준) 321

그림 II-3.26. CGCM의 그리드(grid) 간격 323

그림 II-3.27. CGCM의 그리드(grid) 간격 324

그림 II-3.28. 한반도 주변의 9개 NCEP 및 CGCM 지점 324

그림 II-3.29. 북(N)쪽 풍상측에 대한 지표조도 모형 331

그림 II-3.30. 북동(NE)쪽 풍상측에 대한 지표조도모형 332

그림 II-3.31. 동(E)쪽 풍상측에 대한 지표조도모형 333

그림 II-3.32. 남동(SE)쪽 풍상측에 대한 지표조도모형 334

그림 II-3.33. 남쪽(S) 풍상측에 대한 지표조도모형 335

그림 II-3.34. 남서(SW)쪽 풍상측에 대한 지표조도모형 336

그림 II-3.35. 서(W)쪽 풍상측에 대한 지표조도모형 337

그림 II-3.36. 북서(NW)쪽 풍상측에 대한 지표조도모형 338

그림 II-3.37. 산, 언덕 지형과 풍속할증 영역 341

그림 II-3.38. 경사지지형과 풍속할증 영역 341

그림 II-3.39. 북(N)쪽 풍상측에 대한 지형할증모형 342

그림 II-3.40. 북동(NE)쪽 풍상측에 대한 지형할증모형 343

그림 II-3.41. 동(E)쪽 풍상측에 대한 지형할증모형 344

그림 II-3.42. 남동(SE)쪽 풍상측에 대한 지형할증모형 345

그림 II-3.43. 남(S)쪽 풍상측에 대한 지형할증모형 346

그림 II-3.44. 남서(SW)쪽에 대한 지형할증모형 347

그림 II-3.45. 서(W)쪽 풍상측에 대한 지형할증모형 348

그림 II-3.46. 북서(NW)쪽 풍상측에 대한 지형할증모형 349

그림 II-3.47. 68개 지점의 백년빈도 풍속 및 극치분포 적합성의 오차 358

그림 II-3.48. 지점별 100년빈도 풍속 360

그림 II-3.49. 빈도분석에 의한 30년 빈도 균일강풍모형 361

그림 II-3.50. 빈도분석에 의한 50년 빈도 균일강풍모형 362

그림 II-3.51. 빈도분석에 의한 100년 빈도 균일강풍모형 363

그림 II-3.52. 빈도분석에 의한 200년 빈도 균일강풍모형 364

그림 II-3.53. 태풍시뮬레이션을 위한 9개 분석 지점 365

그림 II-3.54. V(z=10,r)/ V(z=10,Rmax)의 비율(이미지참조) 369

그림 II-3.55. 확장 V(z=10,r)/ V(z=10,Rmax)의 비율(이미지참조) 370

그림 II-3.56. Fujii(1998)가 구분한 일본의 세 영역 371

그림 II-3.57. 태풍시뮬레이션에 의한 30년빈도 균일강풍모형 373

그림 II-3.58. 태풍 시뮬레이션에 의한 50년 빈도 균일강풍모형 374

그림 II-3.59. 태풍 시뮬레이션에 의한 100년 빈도 균일강풍모형 375

그림 II-3.60. 태풍 시뮬레이션에 의한 200년 빈도 균일강풍모형 376

그림 II-3.61. 30년 빈도 균일강풍모형 378

그림 II-3.62. 50년 빈도 균일강풍모형 379

그림 II-3.63. 100년 빈도 균일강풍모형 380

그림 II-3.64. 200년 빈도 균일강풍모형 381

그림 II-3.65. 미래 온실가스 배출 시나리오(Synthesis Report, 2007) 384

그림 II-3.66. 시간지연을 고려한 9개 NCEP 지점에서의 결정계수값 387

그림 II-3.67. 시간 지연 효과로 인한 상관계수 증가 389

그림 II-3.68. 시간 지연 효과로 인한 결정계수의 상승 389

그림 II-3.69. 강릉과 서산 교정기간 풍속과 실측풍속의 확률밀도함수 390

그림 II-3.70. 강릉과 서산의 분위수대조도 391

그림 II-3.71. 강릉과 서산 100년 재현 주기 극한 풍속 392

그림 II-3.72. 강릉 지역의 Box Plot 393

그림 II-3.73. 추풍령 지역의 Box Plot 393

그림 II-3.74. 제주 지역의 Box Plot 394

그림 II-3.75. 목포 지역의 Box Plot 394

그림 II-3.76. 부산 지역의 Box Plot 395

그림 II-3.77. 서울 지역의 Box Plot 395

그림 II-3.78. 인천 지역의 Box Plot 396

그림 II 3.79. 포항 지역의 Box Plot 396

그림 II-3.80. 청주 지역의 Box Plot 397

그림 II-3.81. 군산 지역의 Box Plot 397

그림 II-3.82. 서산 지역의 Box Plot 398

그림 II-3.83. 속초 지역의 Box Plot 398

그림 II-3.84. 보령 지역의 Box Plot 399

그림 II-3.85. 거제 지역의 Box Plot 399

그림 II-3.86. 장흥 지역의 Box Plot 400

그림 II-3.87. 남해 지역의 Box Plot 400

그림 II-3.88. 완도 지역의 Box Plot 401

그림 II-3.89. 강화 지역의 Box Plot 401

그림 II-3.90. 영덕 지역의 Box Plot 402

그림 II-3.91. 영주 지역의 Box Plot 402

그림 II-3.92. 울진 지역의 Box Plot 403

그림 II-3.93. 거창 지역의 Box Plot 403

그림 II-3.94. 광주 지역의 Box Plot 404

그림 II-3.95. 구미 지역의 Box Plot 404

그림 II-3.96. 대관령 지역의 Box Plot 405

그림 II-3.97. 대구 지역의 Box Plot 405

그림 II-3.98. 대전 지역의 Box Plot 406

그림 II-3.99. 밀양 지역의 Box Plot 406

그림 II-3.100. 보은 지역의 Box Plot 407

그림 II-3.101. 부안 지역의 Box Plot 407

그림 II-3.102. 서귀포 지역의 Box Plot 408

그림 II-3.103. 성산 지역의 Box Plot 408

그림 II-3.104. 수원 지역의 Box Plot 409

그림 II-3.105. 순천 지역의 Box Plot 409

그림 II-3.106. 여수 지역의 Box Plot 410

그림 II-3.107. 울릉 지역의 Box Plot 410

그림 II-3.108. 울산 지역의 Box Plot 411

그림 II-3.109. 원주 지역의 Box Plot 411

그림 II-3.110. 전주 지역의 Box Plot 412

그림 II-3.111. 제천 지역의 Box Plot 412

그림 II-3.112. 진주 지역의 Box Plot 413

그림 II-3.113. 천안 지역의 Box Plot 413

그림 II-3.114. 춘천 지역의 Box Plot 414

그림 II-3.115. 충주 지역의 Box Plot 414

그림 II-3.116. 통영 지역의 Box Plot 415

그림 II-3.117. 남해 지역의 Box Plot 415

그림 II-3.118. ASOS의 평균 풍속 지도 416

그림 II-3.119. ASOS의 최대 풍속 지도 417

그림 II-3.120. 2011~2040 평균 풍속 지도 418

그림 II-3.121. 2011~2040 최대 풍속 지도 419

그림 II-3.122. 2041~2070 평균 풍속 지도 420

그림 II-3.123. 2041~2070 최대 풍속 지도 421

그림 II-3.124. 2071~2100 평균 풍속 지도 422

그림 II-3.125. 2071~2100 최대 풍속 지도 423

그림 II-3.126. ASOS 10분평균 30년 재현주기 극대풍속 429

그림 II-3.127. CGCM 2011-2040 10분평균 30년 재현주기 극대풍속 430

그림 II-3.128. CGCM 2041-2070 10분평균 30년 재현주기 극대풍속 431

그림 II-3.129. CGCM 2071-2100 10분평균 30년 재현주기 극대풍속 432

그림 II-3.130. ASOS 10분평균 50년 재현주기 극대풍속 433

그림 II-3.131. CGCM 2011-2040 10분평균 50년 재현주기 극대풍속 434

그림 II-3.132. CGCM 2041-2070 10분평균 50년 재현주기 극대풍속 435

그림 II-3.133. CGCM 2071-2100 10분평균 50년 재현주기 극대풍속 436

그림 II-3.134. ASOS 10분평균 100년 재현주기 극대풍속 437

그림 II-3.135. CGCM 2011-2040 10분평균 100년 재현주기 극대풍속 438

그림 II-3.136. CGCM 2041-2070 10분평균 100년 재현주기 극대풍속 439

그림 II-3.137. CGCM 2071-2100 10분평균 100년 재현주기 극대풍속 440

그림 II-3.138. 2011-2040 10분평균 30년 재현주기 극대풍속의 변동 441

그림 II-3.139. 2041-2070 10분평균 30년 재현주기 극대풍속의 변동 442

그림 II-3.140. 2071-2100 10분평균 30년 재현주기 극대풍속의 변동 443

그림 II-3.141. 2011-2040 10분평균 50년 재현주기 극대풍속의 변동 444

그림 II-3.142. 2041-2070 10분평균 50년 재현주기 극대풍속의 변동 445

그림 II-3.143. 2071-2100 10분평균 50년 재현주기 극대풍속의 변동 446

그림 II-3.144. 2011-2040 10분평균 100년 재현주기 극대풍속의 변동 447

그림 II-3.145. 2041-2070 10분평균 100년 재현주기 극대풍속의 변동 448

그림 II-3.146. 2071-2100 10분평균 100년 재현주기 극대풍속의 변동 449

그림 II-3.147. ASOS 3초돌풍 30년 재현주기 극대풍속 450

그림 II-3.148. CGCM 2011-2040 3초돌풍 30년 재현주기 극대풍속 451

그림 II-3.149. CGCM 2041-2070 3초돌풍 30년 재현주기 극대풍속 452

그림 II-3.150. CGCM 2071-2100 3초돌풍 30년 재현주기 극대풍속 453

그림 II-3.151. ASOS 3초돌풍 50년 재현주기 극대풍속 454

그림 II-3.152. CGCM 2011-2040 3초돌풍 50년 재현주기 극대풍속 455

그림 II-3.153. CGCM 2041-2070 3초돌풍 50년 재현주기 극대풍속 456

그림 II-3.154. CGCM 2071-2100 3초돌풍 50년 재현주기 극대풍속 457

그림 II-3.155. ASOS 3초돌풍 100년 재현주기 극대풍속 458

그림 II-3.156. CGCM 2011-2040 3초돌풍 100년 재현주기 극대풍속 459

그림 II-3.157. CGCM 2041-2070 3초돌풍 100년 재현주기 극대풍속 460

그림 II-3.158. CGCM 2071-2100 3초돌풍 100년 재현주기 극대풍속 461

그림 II-3.159. 태풍 시뮬레이터 구성요소 다이어그램 463

그림 II-3.160. 태풍 시뮬레이터 464

그림 II-3.161. 태풍 시뮬레이션 결과 아카이브 양식 464

그림 II-3.162. 모의 태풍 아카이브를 통한 재현기간 풍속맵 생성기 465

그림 II-3.163. 아카이브 최대/최소 SST 맵(하좌, 하우)과 미래 최대/최소 SST 맵(상좌, 상우) 467

그림 II-3.164. 태풍 시뮬레이션 관심 영역의 과거 태풍 진로 (왼쪽부터 WB, SB, EB 태풍 진로) 468

그림 II-3.165. 초기조건모형 (위에서 아래로 WB, SB, EB, 좌에서 우로 초기위치, 초기거리, 초기방향, 초기CPD) 469

그림 II-3.166. 본 연구의 대상영역 471

그림 II-3.167. 과거이력태풍 중 WB태풍 472

그림 II-3.168. 과거이력태풍 중 SB태풍 472

그림 II-3.169. 과거이력태풍 중 EB태풍 472

그림 II-3.170. L=100 km인 경우의 평균적인 태풍진로와 기여 표본 개수의 분포 473

그림 II-3.171. L=300 km인 경우의 평균적인 태풍진로와 기여 표본 개수의 분포 473

그림 II-3.172. L=500 km인 경우의 평균적인 태풍진로와 기여 표본 개수의 분포 473

그림 II-3.173. 첫 번째 지점에서의 경로 방향 475

그림 II-3.174. 수평방향으로 현재(n)와 이전(n+1)단계에서의 관계 475

그림 II-3.175. 수직방향으로 현재(n)와 이전(n+1)단계에서의 관계 475

그림 II-3.176. LAG별 회귀계수 476

그림 II-3.177. 두 번째 지점에서의 경로 방향 477

그림 II-3.178. 태풍 진로 검증을 위한 격자 477

그림 II-3.179. 방향 SB의 이력태풍들과 모의태풍들의 비교검증 478

그림 II-3.180. 방향 WB의 이력태풍들과 모의태풍들의 비교검증 479

그림 II-3.181. 방향 EB의 이력태풍들과 모의태풍들의 비교검증 480

그림 II-3.182. 대상 영역에서 태풍 YANCY(1993)의 이동 경로 484

그림 II-3.183. 대상 영역에서의 태풍 MAEMI(2003) 이동 경로 484

그림 II-3.184. 태풍 표본 129개의 CPD0 10mb 구간별 분포 485

그림 II-3.185. 대상영역 경계별 CPD0 구분에 대한 빈도 485

그림 II-3.186. 강한 태풍 표본에 대한 여러 하부영역에서의 산술평균 SST와 태풍 강도와의 상관관계 487

그림 II-3.187. 강한 태풍 표본에 대한 여러 하부영역의 산술평균 SST/SST0와 태풍 강도와의 상관관계 487

그림 II-3.188. 약한 태풍 표본에 대하여 여러 가지 하부영역 SST에 대한 태풍 강도와의 상관관계 488

그림 II-3.189. 약한 태풍 표본에 대하여 여러 가지 하부영역의 SST/SST0에 대한 태풍 강도와의 상관관계 488

그림 II-3.190. 강한 태풍 표본에 대하여 다양한 영역에서의 OOR에 따른 태풍 강도와의 상관관계 489

그림 II-3.191. 강한 태풍 표본에 대하여 다양한 영역에서의 OOR/OOR0에 따른 태풍 강도와의 상관관계 489

그림 II-3.192. 약한 태풍 표본에 대하여 다양한 영역에서의 OOR에 따른 태풍 강도와의 상관관계 490

그림 II-3.193. 약한 태풍 표본에 대하여 다양한 영역에서의 OOR/OOR0에 따른 태풍 강도와의 상관관계 491

그림 II-3.194. 강한 태풍 표본에 대한 태풍 강도와 이동경과시간 및 위도와의 상관관계 492

그림 II-3.195. 약한 태풍 표본에 대한 태풍 강도와 이동경과시간 및 위도와의 상관관계 492

그림 II-3.196. 강한 태풍에 대한 경험적 모형과 RSMC 최상경로의 CPD/CPD0 관계: 다중상관계수는 0.89, 결정계수는 0.79, 관측수는 315개 494

그림 II-3.197. 약한 태풍에 대한 경험적 모형과 RSMC 최상경로의 CPD/CPD0 관계: 다중상관계수는 0.51, 결정계수는 0.26, 관측수는 255개 495

그림 II-3.198. 강한 태풍에 대한 경험적 모형과 RSMC 최상경로의 CPD 관계: 상관계수는 0.95, 결정계수는 0.90, 관측수는 315개 495

그림 II-3.199. 약한 태풍에 대한 경험적 모형과 RSMC 최상경로의 CPD 관계: 상관계수는 0.92, 결정계수는 0.85, 관측수는 255개 496

그림 II-3.200. CECIL(198211) 태풍에 대한 본 연구의 경험적 모형(Present)과 RSMC의 최상경로에 의한 CPD 비교 497

그림 II-3.201. ALEX(198708) 태풍에 대한 본 연구의 경험적 모형(Present)과 RSMC의 최상경로에 의한 CPD 비교 497

그림 II-3.202. KIT(198508) 태풍(EB)에 대한 본 연구의 경험적 모형(Present)과 RSMC의 최상경로에 의한 CPD 비교 498

그림 II-3.203. RUSA(200215) 태풍(SB)에 대한 본 연구의 경험적 모형(Present)과 RSMC의 최상경로에 의한 CPD 비교 498

그림 II-3.204. SAM(199910) 태풍에 대한 본 연구의 경험적 모형(Present)과 RSMC의 최상경로에 의한 CPD 비교 499

그림 II-3.205. DIANMU(201004) 태풍에 대한 본 연구의 경험적 모형(present)과 RSMC의 최상경로에 의한 CPD 비교 500

그림 II-3.206. KOMPASU(201007) 태풍에 대한 본 연구의 경험적 모형(present)과 RSMC의 최상경로에 의한 CPD 비교 500

그림 II-3.207. MALOU(201009) 태풍에 대한 본 연구의 경험적 모형(present)과 RSMC의 최상경로에 의한 CPD 비교 501

그림 II-3.208. Archive-Max-SST Map 기반 태풍 시뮬레이션에 의한 재현기간 100년의 풍속지도 504

그림 II-3.209. Archive-Min-SST Map 기반 태풍 시뮬레이션에 의한 재현기간 100년의 풍속지도 504

그림 II-3.210. Future-Max-SST Map 기반 태풍 시뮬레이션에 의한 재현기간 100년의 풍속지도 504

그림 II-3.211. Future-Min-SST Map 기반 태풍 시뮬레이션에 의한 재현기간 100년의 풍속지도 504

그림 II-3.212. CGCM 축소기법에 의한 기본풍속도 506

그림 II-3.213. 태풍 시뮬레이션을 통한 기본풍속도 507

그림 II-3.214. CGCM과 TMCS의 최대 기본풍속도 508

그림 II-4.1. 국립해양조사원에서 조사한 한반도 해수면 연간 상승률 516

그림 II-4.2. CM2.1(IPCC)에서 사용된 저해상도 수심 (격자간격:1도) 524

그림 II-4.3. 본 연구에서 사용하는 고해상도 수심 (격자간격:0.2도) 524

그림 II-4.4. 연구지역 525

그림 II-4.5. SRES A1B 시나리오를 이용한 북서태평양에서의 해수면온도 시계열 (약 2.7℃ 상승) 528

그림 II-4.6. SRES A1B 시나리오를 이용한 북서태평양에서의 해수면높이 시계열 (약 28cm 상승) 528

그림 II-4.7. 2010년의 해수면온도변화 529

그림 II-4.8. 2040년의 해수면온도변화 529

그림 II-4.9. 2070년의 해수면온도변화 529

그림 II-4.10. 2100년의 해수면온도변화 529

그림 II-4.11. 2010년의 해수면높이변화 530

그림 II-4.12. 2040년의 해수면높이변화 530

그림 II-4.13. 2070년의 해수면높이변화 530

그림 II-4.14. 2100년의 해수면높이변화 530

그림 II-4.15. 2010년의 표층해류변화 531

그림 II-4.16. 2040년의 표층해류변화 531

그림 II-4.17. 2070년의 표층해류변화 531

그림 II-4.18. 2100년의 표층해류변화 531

그림 II-4.19. SRES A1B 시나리오를 이용한 북서태평양에서의 해수면온도 시계열 (약 3℃ 상승) 532

그림 II-4.20. SRES A1B 시나리오를 이용한 북서태평양에서의 해수면높이 시계열 (약 31cm 상승) 532

그림 II-4.21. 2010년의 해수면온도변화 533

그림 II-4.22. 2040년의 해수면온도변화 533

그림 II-4.23. 2070년의 해수면온도변화 533

그림 II-4.24. 2100년의 해수면온도변화 533

그림 II-4.25. 2010년의 해수면높이변화 534

그림 II-4.26. 2040년의 해수면높이변화 534

그림 II-4.27. 2070년의 해수면높이변화 534

그림 II-4.28. 2100년의 해수면높이변화 534

그림 II-4.29. 2010년의 표층해류변화 535

그림 II-4.30. 2040년의 표층해류변화 535

그림 II-4.31. 2070년의 표층해류변화 535

그림 II-4.32. 2100년의 표층해류변화 535

그림 II-4.33. SRES A1B 시나리오를 이용한 북서태평양에서의 해수면온도 시계열.(약 3.8℃ 상승) 536

그림 II-4.34. SRES A1B 시나리오를 이용한 북서태평양에서의 해수면높이 시계열. (약 35cm 상승) 536

그림 II-4.35. 2010년의 해수면온도변화 537

그림 II-4.36. 2040년의 해수면온도변화 537

그림 II-4.37. 2070년의 해수면온도변화 537

그림 II-4.38. 2100년의 해수면온도변화 537

그림 II-4.39. 2010년의 해수면높이변화 538

그림 II-4.40. 2040년의 해수면높이변화 538

그림 II-4.41. 2070년의 해수면높이변화 538

그림 II-4.42. 2100년의 해수면높이변화 538

그림 II-4.43. 2010년의 표층해류변화 539

그림 II-4.44. 2040년의 표층해류변화 539

그림 II-4.45. 2070년의 표층해류변화 539

그림 II-4.46. 2100년의 표층해류변화 539

그림 II-4.47. SRES B1 시나리오를 이용한 북서태평양에서의 해수면온도 시계열 (약 1.5℃ 상승) 540

그림 II-4.48. SRES B1 시나리오를 이용한 북서태평양에서의 해수면높이 시계열 (약 19cm 상승) 540

그림 II-4.49. 2010년의 해수면온도변화 541

그림 II-4.50. 2040년의 해수면온도변화 541

그림 II-4.51. 2070년의 해수면온도변화 541

그림 II-4.52. 2100년의 해수면온도변화 541

그림 II-4.53. 2010년의 해수면높이변화 542

그림 II-4.54. 2040년의 해수면높이변화 542

그림 II-4.55. 2070년의 해수면높이변화 542

그림 II-4.56. 2100년의 해수면높이변화 542

그림 II-4.57. 2010년의 표층해류변화 543

그림 II-4.58. 2040년의 표층해류변화 543

그림 II-4.59. 2070년의 표층해류변화 543

그림 II-4.60. 2100년의 표층해류변화 543

그림 II-4.61. SRES B1 시나리오를 이용한 북서태평양에서의 해수면온도 시계열 (약 2.2℃ 상승) 544

그림 II-4.62. SRES B1 시나리오를 이용한 북서태평양에서의 해수면높이 시계열 (약 21cm 상승) 544

그림 II-4.63. 2010년의 해수면온도변화 545

그림 II-4.64. 2040년의 해수면온도변화 545

그림 II-4.65. 2070년의 해수면온도변화 545

그림 II-4.66. 2100년의 해수면온도변화 545

그림 II-4.67. 2010년의 해수면높이변화 546

그림 II-4.68. 2040년의 해수면높이변화 546

그림 II-4.69. 2070년의 해수면높이변화 546

그림 II-4.70. 2100년의 해수면높이변화 546

그림 II-4.71. 2010년의 표층해류변화 547

그림 II-4.72. 2040년의 표층해류변화 547

그림 II-4.73. 2070년의 표층해류변화 547

그림 II-4.74. 2100년의 표층해류변화 547

그림 II-4.75. SRES A1B 시나리오를 이용한 북서태평양에서의 해수면온도 시계열 (약 2.7℃ 상승) 548

그림 II-4.76. SRES A1B 시나리오를 이용한 북서태평양에서의 해수면높이 시계열 (약 29cm 상승) 548

그림 II-4.77. 2010년의 해수면온도변화 549

그림 II-4.78. 2040년의 해수면온도변화 549

그림 II-4.79. 2070년의 해수면온도변화 549

그림 II-4.80. 2100년의 해수면온도변화 549

그림 II-4.81. 2010년의 해수면높이변화 550

그림 II-4.82. 2040년의 해수면높이변화 550

그림 II-4.83. 2070년의 해수면높이변화 550

그림 II-4.84. 2100년의 해수면높이변화 550

그림 II-4.85. 2010년의 표층해류변화 551

그림 II-4.86. 2040년의 표층해류변화 551

그림 II-4.87. 2070년의 표층해류변화 551

그림 II-4.88. 2100년의 표층해류변화 551

그림 II-4.89. A1B의 해수면온도변화 552

그림 II-4.90. B1의 해수면온도변화 552

그림 II-4.91. A1B의 해수면높이변화 553

그림 II-4.92. B1의 해수면높이변화 553

그림 II-4.93. A1B의 표층해류변화 554

그림 II-4.94. B1의 표층해류변화 554

그림 II-4.95. 시나리오 A1B 북서태평양에서의 해수면 온도 변화 시계열. 555

그림 II-4.96. 시나리오 B1 북서태평양에서의 해수면 온도 변화 시계열. 555

그림 II-4.97. 시나리오 A1B 북서태평양에서의 해수면 온도변화 (3개 모형 평균) 556

그림 II-4.98. 시나리오 B1 북서태평양에서의 해수면 온도변화 (3개의 모형 평균) 556

그림 II-4.99. 시나리오 A1B 북서태평양에서의 해수면 높이 변화 시계열. 557

그림 II-4.100. 시나리오 B1 북서태평양에서의 해수면 높이 변화 시계열. 557

그림 II-4.101. 시나리오 A1B 북서태평양에서의 해수면 높이 변화 분포도 (3개 모형 평균) 558

그림 II-4.102. 시나리오 B1 북서태평양에서의 해수면 높이 변화 분포도 (3개 모형 평균한) 558

그림 II-5.1. 기본풍속도(KBC 2009) 581

그림 II-5.2. Planning Policy Statement 25 586

그림 II-5.3. 기후변화를 고려한 소하천시설기준의 방재관련 기준 재설정 방안 588

그림 II-5.4. 기후변화를 고려한 사전재해영향성검토의 방재관련 기준 재설정 방안 589

그림 II-5.5. 미래 목표기간별 확률강우량의 증가율 592

그림 II-5.6. 지역빈도해석에 의한 목표적설량도 (50년 빈도) 597

그림 II-5.7. 기후변화를 고려한 기본하중도 활용 관련 설문조사 결과 598

그림 II-5.8. 기후변화를 고려한 방재기준 가이드라인의 목차 및 내용 599

초록보기 더보기

I. 연구제목

기후변화에 따른 자연재난 환경변화예측 및 방재기준에 미치는 영향연구

II. 연구목적

본 연구는 기후변화를 고려한 확률강우량도, 확률적설하중도, 기본풍속도, 해수면 상승에 따른 방재기준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재해의 변화양상 분석을 기초로 기후변화 적응기법을 후진국에 적용함으로서 기후변화를 고려한 세계 위험도 저감의 새로운 비전과 전략을 제시한다.

III. 연구대용

1. 기후변화를 고려한 방재기준 설정방안 연구

가.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강우패턴의 변화 평가

나.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강설패턴의 변화 평가 및 교통영향평가

다.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강풍패턴의 변화 평가

라. 기후변화에 따른 한반도주변 해역의 해수면변화 상세 예측 및 영향 분석

마. 기후변화를 고려한 방재시설기준 재설정 방안을 마련

2. 기후변화에 대한 국내외 재해양상 분석에 따른 적응기법 및 실천전략 연구

가. 기후변화로 인한 재해의 변화양상 분석: 전 지구적, 대륙별

나. 우리나라를 포함한 방재 선진국의 재해경감을 위한 기후변화 적응기법 개발현황 분석 및 후진국 적용방안 제시

다. 현재 개발되어 있는 IT 및 GT의 "재해경감을 위한 기후변화적응" 분야 활용방안 제시

라. 효고실행계획 이후의 "기후변화를 고려한 세계재해경감" 전략을 선도할 수 있는 새로운 비젼 및 실행전략 제시

IV. 주요 연구성과

1. 기후변화를 고려한 기본하중도(확률강우량도, 확률적설하중도, 기본풍속도, 해수면 상승예측도) 작성

2. 기후변화를 고려한 방재기준 가이드라인 작성

3. 기후변화로 인한 재해 변화양상 분석 결과 제시

4. 재해경감을 위한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IT, GT 활용 방안 마련

5. 효고실행계획 이후 세계재해 경감을 위한 비전 및 실행전략 제시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T000036020 전자형태로만 열람 가능함 v.1 이용불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