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기존 저층 건축물 내진성능 확보기술 개발. 제2권 , 저층건축물의 성능평가·검증 및 내진보강 활성화 방안 / 소방방재청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소방방재청, 2011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가능함
형태사항
xxi, 486 : 삽화, 표 ; 27 cm
제어번호
MONO1201210070
주기사항
"자연재해저감기술개발사업단"의 세부과제임
주관기관: 부산대학교 지진방재연구센터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제6장 내진보강 상세별 내진성능 검증실험 24

6.1. 조적조 건축물 24

6.1.1. 조적조 건축물 내진보강 연구 현황 및 적용사례 분석 25

6.1.1.1. 내진보강방안 연구 현황 25

6.1.1.2. 내진보강 적용사례 39

6.1.2. 내진보강 방안 제시 51

6.1.2.1. 국내 기존 조적조 건축물의 구조형식 분석 53

6.1.2.2. 기존 조적벽체의 외벽 보강공법 비교 54

6.1.2.3. 기존 조적벽체의 내벽 보강공법 비교 57

6.1.3. 내진보강 상세별 내진성능검증 실험 66

6.1.3.1. 실험개요 67

6.1.3.2. 재료실험 67

6.1.3.3. 조적벽체의 정적 내진성능 평가 실험 88

6.2. RC조 건축물 113

6.2.1. RC조 건축물 내진보강 연구현황 및 적용사례 분석 113

6.2.1.1. 내진보강방안 연구현황 113

6.2.1.2. 적용사례 123

6.2.2. 내진보강 방안 제시 및 보강 원리 125

6.2.2.1. 국내 기존 RC조 건축물의 구조형식 분석 125

6.2.2.2. 구조형식별 내진보강 원리 및 내진보강 공법 제안 125

6.2.3. RC조 내진성능 검증 실험 133

6.2.3.1. 프레임 구조 134

6.2.3.2. 허리벽 프레임 구조 159

6.2.3.3. 필로티 구조의 내진보강 기법 및 성능평가 188

6.3. 소결 248

6.4. 참고문헌 250

제7장 내진성능 평가절차 지침 272

7.1. 내진성능 평가절차 제안 272

7.1.1. 일반사항 272

7.1.1.1. 내진성능 평가절차 272

7.1.1.2. 건축물에 요구되는 성능수준 273

7.1.1.3. 지진위험도 275

7.1.1.4. 보강후의 내진성능 평가 277

7.1.2. 예비 평가 278

7.1.2.1. 일반사항 278

7.1.2.2. 시스템별 평가절차 278

7.1.2.3. 성능수준의 판정 284

7.1.3. 2단계 상세평가 286

7.1.3.1. 일반사항 286

7.1.3.2. 시스템별 평가절차 286

7.1.3.3. 성능수준의 판정 306

7.1.3.4. 2단계 상세평가법 분석 307

7.1.4. 3단계 정밀평가 308

7.1.4.1. 일반사항 308

7.1.4.2. 해석방법 308

7.1.4.3. 평가절차 311

7.1.4.4. 성능수준의 판정 314

7.1.4.5. 3단계 정밀평가법 분석 315

7.2. 내진성능 평가절차 검증 316

7.2.1. 대상구조물 선정 316

7.2.2. 성능평가 요약 322

7.2.2.1. 1단계 예비평가 요약 322

7.2.2.2. 2단계 상세평가 요약 325

7.2.2.3. 3단계 정밀평가 요약 330

7.2.3. 평가 종합 332

7.3. 소결 332

7.4. 참고문헌 333

제8장 구조형식별 내진보강 상세 및 보강기법 334

8.1. 조적조 334

8.1.1. 조립식 강판밴드 보강공법 336

8.1.1.1. 사용재료 336

8.1.1.2. 시공 순서 337

8.1.1.3. 보강상세와 설계원칙 337

8.1.2. 경사 픽스 보강공법 337

8.1.2.1. 사용재료 338

8.1.2.2. 시공순서 339

8.1.2.3. 보강상세와 설계원칙 340

8.2. RC조 341

8.2.1. 개요 341

8.2.2. 보강 순서도 341

8.2.2. 순수 프레임 구조 344

8.2.2.1. 일반사항 344

8.2.1.2. 섬유패널 보강공법의 개요 344

8.2.1.3. 보강재료 346

8.2.1.4. 보강 설계 348

8.2.1.5. 보강 시공 348

8.2.2. 허리벽 프레임 구조 350

8.2.2.1. 일반사항 350

8.2.2.2. 창호형 제진댐퍼 보강공법의 개요 및 구성 351

8.2.2.3. 보강재료 353

8.2.2.4. 보강설계 355

8.2.2.5. 보강시공 358

8.2.3. 필로티 구조 360

8.2.3.1. 일반사항 360

8.2.3.2. 제진댐퍼 보강공법의 개요 및 구성 360

8.2.3.4. 보강재료 365

8.2.3.4. 보강설계방법 368

8.2.3.5. 보강시공 373

8.3. 철골조 377

8.3.1. 개요 377

8.3.2. 철골조 내진보강의 특징 377

8.3.2.1. 철골조 내진보강의 장점 377

8.3.2.2. 철골조 내진보강의 단점 378

8.3.3. 소성변형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보강방법 379

8.3.3.1. 접합부의 내력확보 380

8.3.3.2. 판요소의 국부좌굴 381

8.3.3.3. 부재의 횡좌굴 381

8.3.4. 내력의 향상을 위한 보강방법 382

8.3.5. 모멘트 저항시스템에 대한 보강방법 384

8.3.5.1. 부적합한 모멘트 및 전단력 부담능력에 대한 보강방안 384

8.3.5.2. 작은보 큰보의 패널지역 부담능력 향상 385

8.3.5.3. 초과변형의 방지 386

8.3.6. 가새골조 시스템에 의한 보강방법 386

8.3.6.1. 집중 철골 가새골조[steel concentrically braced frames] 387

8.3.6.2. 소선[rod] 또는 다른 인장가새 388

8.3.6.3. 편심가새 389

8.3.7. 보강재 추가 [Adding Supplemental Members] 389

8.3.7.1. 수평력에 저항하는 수직부재의 추가 389

8.4. 목조 391

8.4.1. 개요 391

8.4.2. 수직재 하부보강공법 391

8.4.2.1. 기초, 토대 보강법 391

8.4.2.2. 하부보강공법 392

8.4.2.3. 시트부착 내진보강시스템 392

8.4.2.4. 외부부착 홀 다운공법 393

8.4.2.5. 도괴방지공법 393

8.4.2.6. 앵커로프 보강공법 394

8.4.2.7. GD 베이스 다운 앵커 공법 395

8.4.2.8. 목조기둥 내진시스템 395

8.4.3. 외부지지 보강공법 396

8.4.3.1. 내진 폴 396

8.4.3.2. 내진 가드닝 테라스 397

8.4.3.3. 벽의 보강공법(기존벽 보강공법) 397

8.4.3.4. 스텐 브레이스 시스템 399

8.4.3.5. 벽 보강 세트 400

8.4.3.6. 토탈 그립시스템 400

8.4.3.7. 벽 개구부 브레이스 내진시스템 401

8.4.3.8. 8개 개구부형태 내진보강벽 402

8.4.4. 벽 외부 보강공법 402

8.4.4.1. 시가벽 402

8.4.4.2. 외부 부착 스텐 brace공법 403

8.4.4.3. FIX-WALL 시스템 403

8.4.5. 접합부 보강공법, 부재교환 404

8.4.5.1. AK 조인트 404

8.4.5.2. 홈코넥터 공법 405

8.4.5.3. 개구부 보강공법 405

8.4.6. 목조 면진 및 제진공법 408

8.4.6.1. 면진공법 408

8.4.6.2. 제진공법 409

8.5. 참고문헌 412

제9장 저층 건축물의 내진보강 활성화 방안 414

9.1. 개요 414

9.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414

9.1.2. 연구의 내용과 방법 416

9.1.2.1. 연구의 내용 416

9.1.2.1. 연구의 방법 417

9.1.3. 연구의 구성과 흐름 418

9.2. 현행제도 현황과 개선의 필요성 420

9.2.1. 현행제도 개관 420

9.2.1.1. 기존 건축물의 내진보강 대책추진 대상 423

9.2.1.2. 기존 건축물의 내진보강 대책추진 방법 426

9.2.2. 현행제도 개선의 필요성 431

9.2.2.1. 기존의 민간소유 건축물의 내진보강 지원 절차 등 431

9.2.2.2. 내진성능 평가와 내진보강 기술 분야 433

9.2.2.3. 내진대책 예산 및 재원확보 분야 436

9.3. 내진보강 활성화 단기 방안 438

9.3.1. 현행제도의 대안 438

9.3.1.1. 기존의 민간소유 건축물의 내진보강 지원 절차 등 438

9.3.1.2. 내진성능 평가와 내진보강 기술 분야 442

9.3.1.3. 내진대책 예산 및 재원확보 분야 446

9.3.1.4. 지진재해대책법의 보완을 위한 착안사항 448

9.3.2. 현행제도의 개선방안 건의 457

9.3.2.1. 지진재해대책법 시행령 개정[안] 457

9.3.2.2. 지진재해대책법 시행규칙 개정[안] 458

9.4. 내진보강 활성화 중·장기 방안 462

9.4.1. 현행제도의 발전방향 462

9.4.1.1. 내진보강 대책 관련 기술기준의 제정방안 462

9.4.1.2. 기존의 민간소유 건축물 내진보강 지원방안 463

9.4.1.3. 현행제도의 발전지향 목표 479

9.4.2. 저층 건축물의 내진성능 인증제도[안] 486

9.4.2.1. 목적 486

9.4.2.2. 방법과 절차 486

9.4.2.3. 인증제도[안]의 구성요소 489

9.4.2.4. 저층건축물의 내진성능 인증제 도입 건의안 490

9.5. 소결 497

9.6. 참고문헌 502

제10장 결론 504

표 6.1.1. 국외 보강공법의 특징 28

표 6.1.2. 국외 보강공법의 장·단점 요약 32

표 6.1.3. 국내 보강공법의 특징 34

표 6.1.4. 국내 보강공법의 장·단점 요약 37

표 6.1.5. 이탈리아의 내진보강 기법 39

표 6.1.6. 보강 기법의 항목별 비교평가 53

표 6.1.7. 조적벽체의 쌓기 방법 분포 54

표 6.1.8. 앵커삽입 보강공법 55

표 6.1.9. 하이픽스 보강공법 56

표 6.1.10. 내벽 보강공법의 공사비 및 공사기간 57

표 6.1.11. 내벽 보강공법의 내진성능 58

표 6.1.12. 기존 보강공법과 제안공법의 장·단점 비교 63

표 6.1.13. 재료 시험체 일람 68

표 6.1.14. 배합비에 따른 모르타르 압축강도 시험결과 71

표 6.1.15. 조적 개체 압축강도 시험 결과 71

표 6.1.16. 배합비에 따른 프리즘 압축강도 시험결과 73

표 6.1.17. 각 층별 조적조 벽체에 작용하는 축 응력산출 (1.0B 공간쌓기) 77

표 6.1.18. 시멘트 벽돌의 배합비별 전단강도 87

표 6.1.19. 소성 벽돌의 배합비별 전단강도 88

표 6.1.20. 벽체 시험체 일람 89

표 6.1.21. 측정목적 및 사용 변위계 용량 93

표 6.1.22. 시험체별 파괴모드 94

표 6.1.23. 시험체별 주요구조 성능 104

표 6.1.24. 벽체 및 조적개체의 전단 응력 비교 110

표 6.2.1. 내진보강 기법에 따른 분류 114

표 6.2.2. 실험체 형상에 따른 분류 115

표 6.2.3. 연도별 연구 건수 115

표 6.2.4. 내진보강 기법에 따른 분류 116

표 6.2.5. 실험체 형상에 따른 분류 116

표 6.2.6. 내진보강 기법에 따른 분류 117

표 6.2.7. 실험체 형상에 따른 분류 117

표 6.2.8. 내진보강 기법에 따른 분류 119

표 6.2.9. 실험체 형상에 따른 분류 119

표 6.2.10. 내진보강 기법에 따른 분류 121

표 6.2.11. 실험체 형상에 따른 분류 123

표 6.2.12. 내진보강공법의 대표적 적용 사례 124

표 6.2.13. 구조형식별 분포 현황 125

표 6.2.14. 구조형식별 파괴모드 및 내진보강 원리 126

표 6.2.15. 실험체의 형상 및 치수 135

표 6.2.16. 콘크리트의 강도시험 결과 137

표 6.2.17. 철근의 인장시험 결과 137

표 6.2.18. 규준식에 의한 계산값 146

표 6.2.19. 계산값-실험값 비교 147

표 6.2.20. PG 패널의 시험결과 150

표 6.2.21. 에폭시의 시험결과 150

표 6.2.22. 보강전과 후의 강도 비교 154

표 6.2.23. 보강전과 후의 강성 비교 154

표 6.2.23. 실험체의 연성계수 156

표 6.2.24. 설계용 밑면전단력 및 최대 밑면전단력 157

표 6.2.25. 실험체의 강도계수 157

표 6.2.26. 지진력 저항시스템에 대한 설계계수 158

표 6.2.27. 시험체의 반응수정계수 158

표 6.2.28. 보강전과 후의 반응수정계수 158

표 6.2.29. RC 골조의 내력 계산값 160

표 6.2.30. 콘크리트의(크리트의) 압축시험 결과 161

표 6.2.31. 철근의 인장시험 결과 162

표 6.2.32. 강재의 인장시험 결과 166

표 6.2.33. 강재댐퍼의 정적가력 실험결과 167

표 6.2.34. 강재댐퍼의 이력거동에 의해 흡수된 에너지 170

표 6.2.35. 센서종류별 수량 및 주요제원 177

표 6.2.36. 실험 단계별 가진파의 예상 수준 179

표 6.2.37. 절대가속도의 실험결과 181

표 6.2.38. 부재별 상대변위 실험결과 184

표 6.2.39. 대상 필로티 건축물 바닥구조도 및 일반사항 190

표 6.2.40. 대상 필로티 건축물의 성능 191

표 6.2.41. 기준 실험체의 목표성능 및 설계성능 192

표 6.2.42. 콘크리트의 시험결과 194

표 6.2.43. 철근의 시험결과 195

표 6.2.44. 진동 실험용 가진 단계별 정보 198

표 6.2.45. 단계별 입력파 및 출력파의 최대가속도 199

표 6.2.46. 가진 단계별 최대가속도 및 층간 응답비 200

표 6.2.47. 비보강 실험체의 변위응답 실험결과 203

표 6.2.48. 가진 스케일별 하중 및 1층 층간변위 205

표 6.2.49. 가진단계별 파괴형상 210

표 6.2.50. 보강실험체 변수 216

표 6.2.51. 강재 인장시험 결과 217

표 6.2.52. 변수별 보강 실험체 가진 단계 217

표 6.2.53. 변위응답의 실험값과 계산값 비교 219

표 6.2.54. 변수별 실험체의 성능 220

표 6.2.55. 가진 단계별 입력파 및 출력파의 최대가속도 221

표 6.2.56. 가진 단계별 최대가속도 응답 223

표 6.2.57. 가진 단계별 최대변위 응답 227

표 6.2.58. 단계별 댐퍼의 최대변위 및 환산 1층 최대 층변위 230

표 6.2.59. 가진 단계별 최대하중 및 층별 최대변위 233

표 6.2.60. 가진 단계별 파괴형상 241

표 6.2.61. 보강 유무에 따른 필로티층의 층간변위 비교 244

표 7.1.1. 요구성능수준 274

표 7.1.2. 지진구역 275

표 7.1.3. 지반증폭계수 Fa(이미지참조) 276

표 7.1.4. 지반증폭계수 Fv(이미지참조) 276

표 7.1.5. 철근콘크리트구조 건축물의 건설연도별 기본값 279

표 7.1.6. 기둥의 평균전단응력 280

표 7.1.7. 전단벽의 종류에 따른 단면적 및 전단응력 산정 280

표 7.1.8. 조적채움벽의 전단응력 281

표 7.1.9. 조적조 평균전단응력 283

표 7.1.10. 재료노후화에 따른 강도 보정계수 283

표 7.1.11. 철근콘크리트조의 성능수준 판정을 위한 DCR 기준 285

표 7.1.12. 조적조 성능수준 판정을 위한 DCR 기준 285

표 7.1.13. 기존평가법과의 차이점 285

표 7.1.14. 연직부재의 분류 287

표 7.1.15. 조적조의 전단응력도 291

표 7.1.16. 인성지표 산정 293

표 7.1.17. 항목의 분류 및 G, R 일람 294

표 7.1.18. 기본조사의 감점수 집계표 ( 층) 300

표 7.1.19. 조적조 평균전단응력 302

표 7.1.20. 항목의 분류 및 G, R 일람 303

표 7.1.21. 경년지표 산정용 감점수 집계표 305

표 7.1.22. γ 계수값 306

표 7.1.23. 철근콘크리트조의 성능수준 판정 307

표 7.1.24. 조적조의 성능수준 판정 307

표 7.1.25. 기존평가법과의 차이점 307

표 7.1.26. 3단계 정밀평가의 내진성능수준 판정기준 315

표 7.1.27. 기존평가법과의 차이점 315

표 7.2.1. 대상구조물 316

표 7.2.2. ○○동 조적조 단독주택 예비평가 결과 322

표 7.2.3. ○○동 필로티형 다세대주택 예비평가 결과 322

표 7.2.4. ○○동 ○○빌딩(근린생활시설) 예비평가 결과 323

표 7.2.5. ○○초등학교 별관동 예비평가 결과 323

표 7.2.6. ○○초등학교 예비평가 결과 324

표 7.2.7. 조적조 단독주택에 대한 상세평가 결과 325

표 7.2.8. 필로티형 다세대 주택에 대한 상세평가 결과 326

표 7.2.9. 근린생활시설에 대한 상세평가 결과 327

표 7.2.10. RC모멘트골조 학교(C1L1) 건물에 대한 상세평가 결과 328

표 7.2.11. RC모멘트골조 학교(C1L2) 건물에 대한 상세평가 결과 329

표 7.2.12. 5개 검토 구조물에 대한 정밀평가 결과 330

표 7.2.13. 성능평가 결과 332

표 8.2.1. 에폭시 주입제 및 실링제 성상 347

표 8.2.2. 앵커볼트 종류 347

표 8.2.3. 부재별 강재의 종류 353

표 8.2.4. 에폭시 주입제 및 실링제 성상 354

표 8.2.5. 제진댐퍼의 구성 362

표 8.2.5. 강종에 따른 물성치 365

표 8.2.6. 고장력 볼트 물성치 366

표 8.2.7. 무수축 몰탈 및 초속경 몰탈의 특성 366

표 8.2.7. 에폭시 주입제 및 실링제 성상 367

표 8.2.9. 강종에 따른 물성치 368

표 8.3.1. 내력 향상을 위한 내진보강(KAJIMA건설 제공) 383

표 9.2.1. 기존 시설물에 대한 내진보강대책 수립·추진에 관련된 현행 법령 개관 420

표 9.2.2. 기존 건축물에 대한 내진보강 대책수립·추진의 대상건축물 423

표 9.2.3. 내진대책 대상 중 공공과 민간 건축물의 분포 426

표 9.3.1. 시특법에 따른 기존시설물의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 제도의 현황 443

표 9.4.1. 건축물의 구조재료 및 용도별 내진보강비와 재산세 비교표 465

표 9.4.2. 지방교부세법에 따른 재해대책수요 특별교부세 관련 규정 현황 467

표 9.4.3.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에 따른 재난관리기금 관련 규정 현황 469

표 9.4.4. 재난관리기금 관련 조례 제정 및 운영 현황 470

표 9.4.5. 지방재정법에 따른 보조금 관련 규정 현황 473

표 9.4.6. 지방자치단체의 보조금 관리 및 지원 조례 제정 현황 473

표 9.4.7. 공동주택 관리 지원 조례의 대표적인 보조금 지원 대상 475

그림 6.1.1. 연구 흐름도 27

그림 6.1.2. 지붕에 철근콘크리트 테두리보 신설 40

그림 6.1.3. 벽체-슬래브 앵커링 40

그림 6.1.4. 단면증설 보강 40

그림 6.1.5. 불량시공시 지진피해 사례 40

그림 6.1.6. 스티칭과 그라우팅 41

그림 6.1.7. 스티칭과 그라우팅 적용사례-이탈리아 41

그림 6.1.8. 조적벽체 접합부 긴결 및 앵커타이 보강-폴란드 41

그림 6.1.9. 앵커타이 및 내부 버팀골조 보강-폴란드 42

그림 6.1.10. 조적벽체 외부 버팀골조 보강-일본 43

그림 6.1.11. 조적벽체 접합부 긴결 및 외부 버팀골조 보강-일본 43

그림 6.1.12. 어도비 메쉬 보강-페루 44

그림 6.1.13. 지진 피해사례 및 내진보강 기법-인도 45

그림 6.1.14. 수평밴드를 이용한 내진보강 기법-인도 45

그림 6.1.15. 수직밴드를 이용한 내진보강 기법-인도 46

그림 6.1.16. 강판 및 시멘트 그라우팅을 이용한 접합부 보강-미국 47

그림 6.1.17. 와이어 메쉬를 이용한 개구부 인방 보강-미국 47

그림 6.1.18. 벽체 전면보강-미국 48

그림 6.1.19. 접합부 보강-미국 48

그림 6.1.20. 볼트공간에 강봉을 이용한 내진보강-이란 48

그림 6.1.21. 나선형 철물압입공법 개념도 49

그림 6.1.22. 나선형 철물의 줄눈암입 보강공법 개념도 50

그림 6.1.23. 조립식 강판밴드 보강공법 형태 60

그림 6.1.24. 경사 픽스 보강공법 순서도 61

그림 6.1.25. 상하부 경사 픽스 보강공법 상세 62

그림 6.1.26. 경사 픽스 보강공법 전체 투시도 62

그림 6.1.27. 뉴질랜드(뉴질랜트) 크라이스트처지 지진시의 조적조 건축물 피해상황 66

그림 6.1.28. 조립식 강판밴드 보강법 66

그림 6.1.29. 재료시험과 벽체실험과의 상관관계 개념도 67

그림 6.1.30. 배합비별 모르타르 최종파괴 상황 69

그림 6.1.31. 배합비별 모르타르 압축강도 응력-변위 곡선 70

그림 6.1.32. 조적개체 최종파괴 상황 71

그림 6.1.33. 조적개체 응력-변위 곡선 72

그림 6.1.34. 시멘트 벽돌의 배합비별 최종파괴 상황 73

그림 6.1.35. 소성 벽돌의 배합비별 최종파괴 상황 74

그림 6.1.36. 시멘트 및 소성 벽돌 배합비별 응력-변위 곡선 75

그림 6.1.37. 조적벽체의 사인장 전단강도 실험 설치도 77

그림 6.1.38. 조적벽체의 순수 전단강도 실험 설치도 77

그림 6.1.39. 축력 산정시 사용한 도면 77

그림 6.1.40. 시멘트 및 소성벽돌 45° 1:1 시험체의 최종파괴 상황 및 응력-변위곡선 78

그림 6.1.41. 시멘트 및 소성벽돌 45° 1:3 시험체의 최종파괴 상황 및 응력-변위곡선 79

그림 6.1.42. 시멘트 및 소성벽돌 45° 1:5 시험체의 최종파괴 상황 및 응력-변위곡선 80

그림 6.1.43. 시멘트 및 소성벽돌 60° 1:3 시험체의 최종파괴 상황 및 응력-변위곡선 81

그림 6.1.44. 시멘트 및 소성벽돌 30° 1:3 시험체의 최종파괴 상황 및 응력-변위곡선 82

그림 6.1.45. 시멘트 및 소성벽돌 60° 1:5 시험체의 최종파괴 상황 및 응력-변위곡선 83

그림 6.1.46. 시멘트 및 소성벽돌 30° 1:5 시험체의 최종파괴 상황 및 응력-변위곡선 84

그림 6.1.47. 순수전단 시험 최종파괴 상황 85

그림 6.1.48. 배합비 1:1에 대한 순수전단 응력-변위 곡선 85

그림 6.1.49. 배합비 1:3에 대한 순수전단 응력-변위 곡선 86

그림 6.1.50. 배합비 1:5에 대한 순수전단 응력-변위 곡선 86

그림 6.1.51. 무보강 시험체 89

그림 6.1.52. 보강 시험체 90

그림 6.1.53. 시험체 설치상황 92

그림 6.1.54. 가력 변위이력 92

그림 6.1.55. 시험체 변위량 계측위치 93

그림 6.1.56. 조적벽체 파괴모드 94

그림 6.1.57. M-Non-N 시험체 최종파괴 상황 97

그림 6.1.58. M-Win-N 시험체 최종파괴 상황 98

그림 6.1.59. M-Non-R 시험체 최종파괴 상황 99

그림 6.1.60. M-Win-R 시험체 최종파괴 상황 100

그림 6.1.61. M-Non-N-2 시험체 최종파괴 상황 101

그림 6.1.62. 무보강 시험체의 하중-변위곡선 105

그림 6.1.63. 보강 시험체의 하중-변위곡선 105

그림 6.1.64. 무보강 전면벽 시험체의 하중-변위곡선 (2차실험) 105

그림 6.1.65. 전면벽 시험체의 포락곡선 비교 109

그림 6.1.66. 개구부 시험체의 포락곡선 비교 109

그림 6.1.67. 전면벽 시험체 1차와 2차 실험의 포락곡선 비교 109

그림 6.1.68. 각 시험체의 골격곡선 비교 109

그림 6.1.69. 시험체별 강성 저하율 111

그림 6.1.70. 시험체별 누적에너지 소산량 112

그림 6.2.1. 연도별 국내 연구현황 114

그림 6.2.2. 연도별 국외 연구현황 115

그림 6.2.3. 년대별 내진보강공법 연구의 추이 123

그림 6.2.4. PG 패널의 형상 및 시공방법 128

그림 6.2.5. 창호형 제진댐퍼 형상 130

그림 6.2.6. 유강혼합구조의 하중변위 관계 131

그림 6.2.7. 병렬구조에서의 입력 하중 132

그림 6.2.8. 대상모델-1(○○사단 생활관)의 평면도 및 골조도 135

그림 6.2.9. 대상모델-2(○○ 아파트)의 평면도 및 골조도 135

그림 6.2.10. 실험체의 입면도 및 부재 단면도 136

그림 6.2.11. 가력장치 및 실험체 설치상황 138

그림 6.2.12. 가력방법 139

그림 6.2.13. Strain Gauge의 위치 및 번호 139

그림 6.2.14. 실험체 1의 접합부 최종 파괴형상 141

그림 6.2.15. 실험체 2의 접합부 최종 파괴형상 142

그림 6.2.16. 하중-변위 관계 142

그림 6.2.17. 실험체 1의 주요부위 하중-변형률 관계 144

그림 6.2.18. 실험체 2의 주요부위 하중-변형률 관계 144

그림 6.2.19. 실험체의 기둥 보수방법 148

그림 6.2.20. 실험체의 접합부 보강방법 149

그림 6.2.21. PG 패널의 형상 및 시공방법 150

그림 6.2.22. 보강 실험체 1의 최종 파괴형상 151

그림 6.2.23. 보강 실험체 2의 최종 파괴형상 152

그림 6.2.24. 보강 실험체의 하중-변위 관계 153

그림 6.2.25. 탄성 변형에너지와 비탄성 변형에너지 156

그림 6.2.26. 기준 실험체의 형상 및 치수 160

그림 6.2.27. 가력 사이클 162

그림 6.2.28. 실험체 설치도 163

그림 6.2.29. 변위계 및 스트레인게이지 부착위치 163

그림 6.2.30. 실험체의 최종 파괴형상 164

그림 6.2.31. 실험체의 하중-변위 관계 164

그림 6.2.32. 기둥 철근의 하중-변형률 관계 165

그림 6.2.33. 강재댐퍼의 슬릿 및 전체 형상 및 치수 166

그림 6.2.34. 강재댐퍼의 최종 파괴형상 168

그림 6.2.35. 강재댐퍼의 하중-변위 관계 168

그림 6.2.36. 슬릿댐퍼의 하중-변형률 관계 169

그림 6.2.37. 강재댐퍼의 이력곡선 분해 170

그림 6.2.38. 유강 혼합구조의 원리 171

그림 6.2.39. 보강 실험체의 형상 및 치수 172

그림 6.2.40. 보강 실험체의 최종 파괴형상 173

그림 6.2.41. 보강 실험체의 하중-변위 관계 174

그림 6.2.42. 단조가력의 하중-변위 관계 추정곡선 174

그림 6.2.43. 실험체의 하중-철근 변형률 관계 174

그림 6.2.44. 보강 실험체의 슬릿댐퍼 변형률 175

그림 6.2.45. 수평 부재각에 따른 주요 부위의 변형률 추이 175

그림 6.2.46. 실험체의 에너지 흡수량 176

그림 6.2.47. 비보강 및 보강 실험체의 진동대 설치상황 177

그림 6.2.48. 진동대 실험의 계측위치 178

그림 6.2.49. El-Centro(NS) 지진파의 가속도 이력 178

그림 6.2.50. 비보강 및 보강 골조의 최종 파괴형상 180

그림 6.2.51. 주요 가진시 입력파 및 출력파의 비교 182

그림 6.2.52. 보의 응답가속도(El-Centro NS 100%) 182

그림 6.2.53. 보의 응답가속도(El-Centro NS 167%) 183

그림 6.2.54. 보강 골조 보의 응답가속도(El-Centro NS 300%) 183

그림 6.2.55. 주요 가진시 부재별 응답가속도 비 183

그림 6.2.56. 보의 응답변위(El-Centro NS 100%) 185

그림 6.2.57. 보의 응답변위(El-Centro NS 167%) 185

그림 6.2.58. 보의 응답변위(El-Centro NS 300%) 186

그림 6.2.59. 주요 가진시 부재별 상대변위 비교 186

그림 6.2.60. 가진 스케일별 최대변위응답 186

그림 6.2.61. 주요 부위 최대변형률 187

그림 6.2.62. 실험체 형상 및 치수 193

그림 6.2.63. El-Centro NS 지진파 195

그림 6.2.64. 가진 단계별 VE 197

그림 6.2.65. 에너지등가속도 스펙트럼 198

그림 6.2.66. 가진 단계별 입력파와 출력파의 시각이력 비교 199

그림 6.2.67. 가진 단계별 각 층의 부위별 가속도 시각이력 200

그림 6.2.68. 주요 가진시 층별 절대가속도 202

그림 6.2.69. 가진 단계별 각층의 변위 응답 시각이력 203

그림 6.2.70. 주요 가진시 층별 최대 변위 204

그림 6.2.71. 가진 단계별 각층의 하중-변위 관계 206

그림 6.2.72. 가진 단계별 입력에너지 이력 208

그림 6.2.73. 가진 단계별 입력 에너지 및 누적에너지 208

그림 6.2.74. 가진 단계별 에너지등가속도(VE) 이력(이미지참조) 209

그림 6.2.75. 가진 단계별 입력 에너지등가속도 및 누적 에너지등가속도 209

그림 6.2.76. 균열상황(El-Centro 100%) 210

그림 6.2.77. 균열상황(El-Centro 120%) 211

그림 6.2.78. 균열상황(El-Centro 150%) 211

그림 6.2.79. 최종 균열상황 212

그림 6.2.80. 누적입력에너지에 따른 손상 213

그림 6.2.81. 전체 보강계획 215

그림 6.2.82. 제진댐퍼의 형상 및 치수 215

그림 6.2.83. 댐퍼 변수별 동적응답 218

그림 6.2.84. 댐퍼변수별 응답저감율 220

그림 6.2.85. 입력파와 출력파의 가속도 이력 비교 222

그림 6.2.86. 단계별 각 층의 가속도 응답 시각이력 224

그림 6.2.87. 주요 가진시 층별 가속도응답 비교 226

그림 6.2.88. 단계별 각 층의 변위응답 시각이력 228

그림 6.2.89. 가진 단계별 각층의 최대변위 230

그림 6.2.90. 단계별 댐퍼 변위 응답 시각이력 231

그림 6.2.91. 주요 가진시 댐퍼의 잔류변형 및 누적변형 232

그림 6.2.92. 단계별 각 층의 하중-변위 관계 233

그림 6.2.93. 단계별 댐퍼의 하중-변위 관계 236

그림 6.2.94. 단계별 1층 층간변위 및 댐퍼의 환산 1층 층변위 비교 238

그림 6.2.95. 가진 단계별 입력에너지 이력 239

그림 6.2.96. 가진 단계별 입력에너지 및 누적에너지 239

그림 6.2.97. 가진 단계별 입력에너지등가속도 이력 240

그림 6.2.98. 가진 단계별 입력에너지등가속도 및 누적에너지등가속도 240

그림 6.2.99. El-Centro NS 150% 가진시 균열상황 241

그림 6.2.100. El-Centro NS 180% 가진시 균열상황 241

그림 6.2.101. El-Centro NS 200% 가진시 균열상황 242

그림 6.2.102. El-Centro NS 220% 가진시 균열상황 243

그림 6.2.103. 입력에너지에 따른 손상 243

그림 6.2.104. 보강 유무에 따른 가진 단계별 가속도 응답 비교 245

그림 6.2.105. 보강 유무에 따른 가진 단계별 변위응답 비교 245

그림 6.2.106. 보강 전후의 누적입력에너지에 따른 손상정도 246

그림 6.2.107. 지진규모에 따른 필로티 구조의 손상예측곡선 247

그림 7.1.1. 내진성능평가 절차 흐름도 273

그림 7.1.2. 설계스펙트럼 가속도(KBC2009) 277

그림 7.1.3. 기둥의 순높이 (h0)(이미지참조) 287

그림 7.1.4. 소성힌지 특성 모델 310

그림 7.1.5. 가속도-변위 응답스펙트럼(ADRS) 311

그림 7.1.6. 유효강성의 계산 313

그림 7.2.1. 대상 구조물 형상 - URM 317

그림 7.2.2. 대상 구조물 구조모델 형상 - C5L 317

그림 7.2.3. 대상 구조물 1층(상), 기준층(하) 평면도 - C5L 318

그림 7.2.4. 대상 구조물 구조모델 형상 - C2L2 319

그림 7.2.5. 대상 구조물 기준층 평면도 - C1L1 319

그림 7.2.6. 대상 구조물 구조모델 형상 - C1L1 320

그림 7.2.7. 대상 구조물 평면도 - C1L1 320

그림 7.2.8. 대상 구조물 구조모델 형상 - C1L2 321

그림 7.2.9. 대상 구조물 평면도 - C1L2 321

그림 8.1.1. 치장벽돌의 유무에 따른 조적조 건축물의 내진보강공법 335

그림 8.1.2. 조립식 강판밴드 보강공법 336

그림 8.1.3. 경사 픽스 보강공법 338

그림 8.1.4. 픽스 상세도 339

그림 8.1.5. 픽스 압입 상세도 339

그림 8.1.6. 경사 픽스 보강공법 시공 순서 340

그림 8.2.1. 내진보강 계획 및 시공 순서도 342

그림 8.2.2. 성능 매트릭스에 따른 성능 평가 343

그림 8.2.3. PG패널을 이용한 접합부 보강 공법 345

그림 8.2.4. 보-기둥 접합부 섬유보강패널 시공순서 349

그림 8.2.5. 철근콘크리트 골조에 적용한 강재댐퍼시스템의 형상 352

그림 8.2.6. 슬릿플레이트댐퍼의 형상 및 이상화 352

그림 8.2.7. 제진댐퍼보강 예 361

그림 8.2.8. 제진댐퍼의 구성 362

그림 8.2.9. 지지판 형상의 예 363

그림 8.2.10. 접합부의 형상 예 364

그림 8.2.11. 기둥보강 제진댐퍼의 형상 예 364

그림 8.2.12. 댐퍼 설치 단면 364

그림 8.2.13. 댐퍼부의 직렬연결 369

그림 8.2.14. 슬릿플레이트댐퍼의 형상 및 이상화 372

그림 8.2.15. 제진댐퍼 시공순서 375

그림 8.3.1. 철골조의 보강예 378

그림 8.3.2. 브레이스 보강에 의한 기초의 부상 379

그림 8.3.3. 변형능력 향상에 의한 내진성능 확보 380

그림 8.3.4. 철골접합부의 보강 예 380

그림 8.3.5. 압축력을 받을 경우 381

그림 8.3.6. 폭두께비의 개선보강 381

그림 8.3.7. 횡보강재의 예 382

그림 8.3.8. 내력향상에 의한 내진성능 확보 382

그림 8.3.9. K형 브레이스와 개구부 382

그림 8.3.10. 모멘트 연결부에 대한 기존 작은보의 변경 385

그림 8.3.11. 기존 기둥의 보강 385

그림 8.3.12. 기존 작은보의 보강 386

그림 8.3.13. 가새의 형태 387

그림 8.3.14. 기존 X형 가새의 추가나 교체 388

그림 8.3.15. 추가된 보강의 예 390

그림 8.4.1. 기초, 토대 보강법 시공순서 392

그림 8.4.2. 하부보강공법 392

그림 8.4.3. 시트부착공법과 철물부착공법의 비교 393

그림 8.4.4. 외부부착 홀다운 공법 393

그림 8.4.5. 도괴방지공법 394

그림 8.4.6. 앵커로프 보강공법 395

그림 8.4.7. GD 베이스 다운 앵커 공법 395

그림 8.4.8. 목조기둥 내진시스템 396

그림 8.4.9. 내진 폴 보강공법의 예 397

그림 8.4.10. 내진 가드닝 테라스 397

그림 8.4.11. 기존벽 보강공법 398

그림 8.4.12. 벽 보강공법 399

그림 8.4.13. 스텐 브레이스 시스템 399

그림 8.4.14. 스텐 브레이스 시스템 시공 예 400

그림 8.4.15. 벽보강 세트 시공 예 400

그림 8.4.16. 토탈 그립 시스템 401

그림 8.4.17. 벽 개구부 브레이스 내진시스템 설치 예 401

그림 8.4.18. 8개 개구부 형태 내진보강벽 402

그림 8.4.19. 시가벽 시공개념 402

그림 8.4.20. 외부 부착 스텐 brace 공법 403

그림 8.4.21. FIX-WALL 시스템 403

그림 8.4.22. 철근을 이용하여 조인트 형성 404

그림 8.4.23. 기존 철물을 이용한 방법대체 404

그림 8.4.24. AK조인트를 이용한 부재의 교환 405

그림 8.4.25. 홈코넥터 공법 405

그림 8.4.26. 알루미늄 합금제 내진보강재 시공 406

그림 8.4.27. 내진개구부 프레임 406

그림 8.4.28. 유리 내진패널 407

그림 8.4.29. IAU형 면진시스템 시공방법 408

그림 8.4.29. 하이브리드 제진공법 409

그림 8.4.30. H주택 시공예 (내벽부착사진) 409

그림 8.4.31. 제진 쇠장식 시공 예 410

그림 8.4.32. 쇠장식에 의한 감쇠효과 410

그림 8.4.33. 맞춤댐퍼 설치 예 411

그림 9.1.1. 내진보강 활성화 방안 연구의 흐름도 419

그림 9.2.1. 저층 건축물의 내진보강 대책수립 및 추진 절차 428

그림 9.2.2. 기존의 민간소유 건축물에 대한 내진보강 지원 절차 438

그림 9.4.1. 재난관리기금 관련 조례 제정 및 운영 현황 471

그림 9.4.2. 이주지원 및 주택임차비용 융자 제도운영 현황 471

그림 9.4.3. 지방자치단체의 보조금 관리 및 지원 조례 제정 현황 474

그림 9.4.4. 지방자치단체의 보조금 지원 제도 현황 476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T000035660 전자형태로만 열람가능함 v.2 이용불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