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재난현장 보건안전유해인자 분석 연구 및 소방업무종사자 특수건강진단 모델개발 / 소방방재청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소방방재청, 2011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 가능함
자료실
전자자료
형태사항
xxvi, 1090 p. : 삽화, 사진, 표 ; 26 cm
제어번호
MONO1201120506
주기사항
"차세대핵심소방안전기술개발사업"의 세부과제임
연구책임자: 안연순
주관연구기관: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요약문

SUMMARY

목차

제1장 서론 55

1.1. 연구배경 55

1.2. 연구목적 및 목표 57

1.3. 연구의 틀 58

제2장 연구방법 및 연구곁과 60

2.1. 소방업무종사자 안전사고 특성분석 및 예측기술개발 60

2.1.1. 기존의 안전사고 예방관련 연구 및 자료 60

2.1.2. 연구의 범위 및 내용 62

2.1.3. 연구결과 65

가. 소방공무원의 직무체계분석 65

나. 재난유형별 안전사고 특성분석 74

다. 재난유형별 안전사고 예측기술 제안 217

2.2. 소방업무종사 직무별 노출 유해인자 분석 334

2.2.1. 연구배경 및 목적 334

2.2.2. 연구방법 334

가. 물리적 유해인자 336

나. 화학적 유해인자 336

다. 인간공학적 유해인자 345

라. 화학적 유해인자의 생물학적모니터링 350

마. 기타 353

2.2.3. 연구결과 356

가. 국내·외 연구동향 356

나. 연구결과 373

2.2.4. 고찰 433

가. 물리적 유해인자 433

나. 화학적 유해인자 433

다. 인간공학적 유해인자 437

라. 생물학적모니터링 438

마. 기타 440

2.2.5. 화재현장 유해인자 관리방안 442

가. 화학적 유해요인 442

나. 인간공학적 유해요인 448

2.3. 소방업무종사자 건강장해의 임상의학적 평가 452

2.3.1. 문헌 검토를 통한 건강장해 평가 453

가. 국내연구결과 요약 453

나. 국외 연구결과 요약 458

2.3.2. 임상의학적 검사 및 생물학적 시료 측정을 통한 건강장해 평가 466

가. 연구 목적 466

나. 연구 대상 및 방법 466

다. 연구 결과 487

마. 고찰 및 결론 569

2.4. 소방업무종사자 건강 평가를 위한 자료 분석(역학적 평가) 579

2.4.1. 소방업무종사자 건강실태 설문조사 579

가.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 579

나. 연구결과 588

2.4.2. 소방업무종사자 건강진단 자료 분석 660

가. 연구방법 660

나. 연구결과; 일반건강진단 분석결과 665

다. 일반건강진단 분석결과 요약 707

2.4.3. 소방업무종사자 입원자료 분석 709

가. 연구대상 및 방법 709

나. 연구결과: 소방업무종사자 입원자료 분석 710

다. 입원자료 분석결과 요약 790

2.4.4. 소방업무종사자 암발생 분석 792

가. 연구대상 및 방법 792

나. 연구결과 793

다. 암 등록자료 분석결과 요약 799

2.4.5. 소방업무종사자 사망원인 분석 800

가.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 800

나. 사망원인 자료 분석결과 요약 809

2.5. 특수건강진단 모형 개발 810

2.5.1. 우리나라 소방공무원 건강진단 현황 810

가. 연구 배경 810

나. 연구 방법 811

다. 연구 결과 812

2.5.2. 소방공무원 건강진단 개선(안) 818

가. 연구 방법 818

나. 연구 결과 834

다. 소방관 건강진단 최종(안) 846

2.5.3. 소방업무종사자 건강진단기관 기준 885

가. 소방관서의 건강진단기관 선정 문제점 886

나. 소방업무종사자 건강진단기관 선정의 개선방향 888

다. 적정 보건관리를 위한 건강진단기관 선정 등 소방업무종사자 건강진단의 선행조건 891

2.6. 소방업무종사자 보건관리모형 895

2.6.1. 우리나라 소방업무종사자 보건관리제도 현황 895

가. 산업안전보건법과 소방업무종사자 보건관리 895

나. 소방공무원 건강보호를 위한 소방방재청 보건관리제도화 노력 896

2.6.2. 미국, 영국, 일본 등 선진국의 소방업무종사자 보건관리제도 현황 898

가. 미국의 소방공무원 안전보건제도 899

나. 일본의 소방공무원 보건관리제도 909

2.6.3. 우리나라 소방공무원 안전보건관리(안) 제안 928

가. 소방공무원 안전보건관리 지침(안) 제안 928

나. 소방업무종사자 보건관리(안) 제안 950

2.6.4. 소방업무종사자 보건관리를 위한 전산화 방안 제안 952

가. 서론 952

나. 전산화 방법 957

다. 전산화 연구결과 958

라. 전산화시 고려할 사항 977

마. 현 산업보건 system 분석 977

제3장 연구결과 활용에 대한 정책적 제언 978

3.1. 소방공무원 생애주기별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시행 978

3.2. 근골격계질환, 스트레스 관련 정신과질환 등 업무관련성 질병 예방 프로그램 및 공상 체계 보완 979

3.3. 여성 소방공무원 모성 보호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시행 980

3.4. 각종 업무관련성이 의심되는 암에 대한 건강진단, 예방대책 수립 및 추적 연구를 통한 공상 확대 기반 마련 980

3.5. 제안된 건강진단제도 정착을 위한 예산 등의 지원 강화 981

3.6. 소방공무원 안전보건관리 체계의 조속한 수립 및 시행 982

참고문헌 983

부록 1005

〈부록 1. 안전사고 예측기술 시각화 자료〉 1005

〈부록 2. 소방공무원 건강실태 조사 설문지〉 1049

〈부록 3. 소방공무원 건강검진 조사 설문지〉 1085

〈부록 4. 소방공무원 건강검진 조사 설문지〉 1092

〈부록 5. 건강진단 결과의 산업의학적 평가〉 1116

〈부록 6. 설문지〉 1118

1. 계통별 문진표 1119

2. 근골격계 증상조사표 1125

3. 수면 습관 질문지(PSQI-K) 1127

4. 외상후스트레스 장애 설문지 (IES-R) 1129

5. 우울증설문지 (BDI) 1130

〈부록 7. 국토해양부 고시 제2009-884호〉 1133

표 2.1. 소방공무원의 외근근무 분류 및 직무 66

표 2.2. 소방현장활동 안전사고 기본원인 76

표 2.3. 순직자 발생현황(1945~2008) 77

표 2.4. 공상자 발생현황(1945~2008) 78

표 2.5. 2008년도 순직자 및 공상자 발생현황 78

표 2.6. 최근 5년간 순직자 및 공상자 발생현황 79

표 2.7. 최근 5년간 업무유형별 순직자 발생현황 79

표 2.8. 최근 5년간 업무유형별 공상자 발생현황 80

표 2.9. 최근 5년간 순직자 및 공상자 계급별 발생현황(2003~2007년) 80

표 2.10. 최근 5년간 순직자 및 공상자 연령별 발생현황(2003~2007년) 81

표 2.11. 최근 5년간 순직자 및 공상자 근무년수 발생현황(2003~2007년) 81

표 2.12. 최근 10년간 순직자 유형별 발생현황(사망원인) 82

표 2.13. 화재출동 시 공상현황(2000~2008년) - 서울 84

표 2.14. 화재현장의 공상현황(2000~2008년) - 서울 86

표 2.15. 화재귀소 시 공상현황(2000~2008년) - 서울 86

표 2.16. 구조활동 시 공상현황(2000~2008년) - 서울 89

표 2.17. 구급활동 시 공상현황(2000~2008년) - 서울 91

표 2.18. 장비점검 시 공상현황(2000~2008년) - 서울 93

표 2.19. 교육훈련 시 공상현황(2000~2008년) - 서울 95

표 2.20. 체육활동 시 공상현황(2000~2008년) - 서울 96

표 2.21. 일반업무 시 공상현황(2000~2008년) - 서울 98

표 2.22. 전체 공상유형(2000~2008년) - 서울 99

표 2.23. 화재활동 시 순직현황(1946~2008년) - 서울 100

표 2.24. 구조·구급활동 시 순직현황(1946~2008년) - 서울 101

표 2.25. 일반업무 시 순직현황(1946~2008년) - 서울 102

표 2.26. 기타 순직현황(1946~2008년) - 서울 102

표 2.27. 전체 순직유형(1946~2008년) - 서울 103

표 2.28. 순직자 연도별 현황 103

표 2.29. 화재출동 시 공상현황(2000~2009년) - 경기도 105

표 2.30. 화재현장에서의 공상현황(2000~2009년) - 경기도 107

표 2.31. 화재귀소 시 공상현황(2000~2009년) - 경기도 108

표 2.32. 구조활동 시 공상현황(2000~2009년) - 경기도 109

표 2.33. 구급활동 시 공상현황(2000~2009년) - 경기도 111

표 2.34. 장비점검 시 공상현황(2000~2009년) - 경기도 112

표 2.35. 교육훈련 시 공상현황(2000~2009년) - 경기도 113

표 2.36. 체육활동 시 공상현황(2000~2009년) - 경기도 114

표 2.37. 일반업무 시 공상현황(2000~2009년) - 경기도 116

표 2.38. 전체 공상현황(2000~2009년) - 경기도 117

표 2.39. 순직현황(2000~2009년) - 경기도 118

표 2.40. 설문 응답자의 구성 및 응답배분 138

표 2.41. 재난현장에서의 안전사고 유형 139

표 2.42. 재난현장에서 안전사고의 발생 원인 140

표 2.43. 소방직원의 공무재해 수(평성 16년-2004년) 157

표 2.44. 안전사고 유형별 Matrix 216

표 2.45. 센드위치 패널(SP)의 종류와 구성 266

표 2.46. 센드위치 패널(SP)의 화재실험 결과 267

표 2.47. 유해인자 측정대상 화재현황 337

표 2.48. 유해인자별 측정 및 분석방법 339

표 2.49. 유기용제 분석조건 340

표 2.50. 산류 분석조건 341

표 2.51. PAH 분석조건 342

표 2.52. 알데하이드류 분석조건 343

표 2.53. 화재현장 화학적 유해인자 측정 및 분석장비 344

표 2.54. 심박수에 따른 작업부하 분류 345

표 2.55. %MTHR에 따른 육체적 작업강도(ACSM 분류) 346

표 2.56. OWAS, RULA, REBA 각 점수별 위험수준 350

표 2.57. 생물학적 모니터링 조사대상 350

표 2.58. 소변 중 1-OHP 및 2-naphthol 분석조건 351

표 2.59. 소변 중 뮤콘산 분석조건 352

표 2.60. 현장출동 소방관의 노출계수 354

표 2.61. Formaldehyde와 benzo(a)pyrene의 발암력 및 단위위해도 355

표 2.62. 화재현장 유해물질 농도(자료원: 김정만 등(2006)) 356

표 2.63. FTIR을 이용한 바닥마감재의 연소가스 농도(ppm) 358

표 2.64. FTIR을 이용한 벽장식재의 연소가스 농도(ppm) 358

표 2.65. FTIR을 이용한 벽마감재의 연소가스 농도(ppm) 358

표 2.66. 연소시 발생하는 유해가스 종류 및 유래 359

표 2.67. 패널별 연소가스 함량 360

표 2.68. 소방관의 생물학적 모니터링 결과(자료원; Edelman 2003) 365

표 2.69. 대조군과 소방관의 혈청 중금속 농도비교(자료원; Al-Malki, 2009) 366

표 2.70. 화재현장 노출 유해물질 조사결과 문헌자료(계속) 368

표 2.71. 측정 기간 동안의 평균소음 및 최대소음 373

표 2.72. 펌프차의 출동 상황별 평균소음 및 최대소음 374

표 2.73. 조사차의 출동 상황별 평균소음 및 최대소음 374

표 2.74. 구급차의 출동 상황별 평균소음 및 최대소음 375

표 2.75. 구조차의 출동 상황별 평균소음 및 최대소음 376

표 2.76. 화재현장에서의 화학적 유해인자 농도 380

표 2.77. 화재현장에서의 화학적 유해인자 농도- 다환방향족탄화수소 381

표 2.78. 화재현장에서의 화학적 유해인자 농도 382

표 2.79. 각 화재현장별 화학적 유해인자 농도(계속) 383

표 2.80. 조사 대상자의 신체부위별 근골격계 증상 호소 387

표 2.8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직무 특성에 따른 근골격계 증상 호소(NIOSH I) 388

표 2.82.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직무 특성에 따른 근골격계 증상 호소(NIOSH II) 390

표 2.83.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직무 특성에 따른 근골격계 증상 호소(NIOSH III) 391

표 2.84. 직무별 심박수 변이 392

표 2.85. 소방공무원 장비현황 조사 394

표 2.86. 직무별 주 작업내용 395

표 2.87. 각 직무별 작업분석결과 397

표 2.88. 전체 중금속 농도 423

표 2.89. 흡연 유무에 따른 중금속 농도 424

표 2.90. 주 업무별 중금속 농도 425

표 2.91. 전체 대상자의 작업 전·후 생물학적 모니터링 결과 426

표 2.92. 흡연 유무에 따른 전체 대상자의 작업 전·후 생물학적 모니터링 결과 427

표 2.93. 동일 소방대원의 작업 전·후 생물학적 모니터링 결과 428

표 2.94. 흡연 유무에 따른 동일 소방대원의 작업 전·후 생물학적 모니터링 결과 429

표 2.95. 조사대상자의 유해인자 노출 경험 431

표 2.96. 포름알데히드의 초과발암위해도 432

표 2.97. 벤조(a)피렌의 초과발암위해도 432

표 2.98. 검사항목별 연구 참여자 수 467

표 2.99. 지역별 일반적 특성 487

표 2.100. 직무별 일반적 특성 488

표 2.101. 지역별 일반적 특성 세부 분포 490

표 2.102. 직무별 일반적 특성 세부 분포 491

표 2.103. 연령군별 흡연상태 492

표 2.104. 지역별 피부질환 증상 유병률 493

표 2.105. 직무별 피부질환 증상 유병률 493

표 2.106. 지역별 두통 및 뇌종양 관련 증상 유병률 494

표 2.107. 직무별 두통 및 뇌종양 관련 증상 유병률 495

표 2.108. 지역별 심혈관질환 증상 유병률 496

표 2.109. 직무별 심혈관질환 증상 유병률 496

표 2.110. 호흡기 증상 유병률 497

표 2.111. 흡연상태에 따른 호흡기 증상 유병률 498

표 2.112. 직무별 호흡기 증상 유병률 498

표 2.113. 지역별 생식기 질환 유병률 499

표 2.114. 직무별 생식기 질환 유병률 499

표 2.115. 지역별 신경학적 증상 유병률 500

표 2.116. 직무별 신경학적 증상 유병률 502

표 2.117. 지역별 호흡기 증상 유병률 505

표 2.118. 직무별 호흡기 증상 유병률 507

표 2.119. 지역별 소화기 증상 유병률 509

표 2.120. 직무별 소화기 증상 유병률 510

표 2.121. 지역별 순환기 증상 유병률 511

표 2.122. 직무별 순환기 증상 유병률 511

표 2.123. 지역별 피부증상 유병률 512

표 2.124. 직무별 피부증상 유병률 512

표 2.125. 이비인후과/안과 증상 유병률 513

표 2.126. 연령군별 청력저하 유병률 514

표 2.127. 연령군별 이명 유병률 514

표 2.128. 근무년수별 청력저하 유병률 515

표 2.129. 근무년수별 이명 유병률 515

표 2.130. 직무별 이비인후과 및 안과 증상 유병률 516

표 2.131. 비뇨생식기 증상 유병률 516

표 2.132. 직무별 비뇨생식기 증상 유병률 517

표 2.133. 질환 위험군 517

표 2.134. PTSD 위험군의 특성 518

표 2.135. 외상적 스트레스 경험 및 직무스트레스와 PTSD 증상 520

표 2.136. PTSD 증상과 스트레스 호르몬 비교 521

표 2.137. 레질리언스와 PTSD증상과의 관계 522

표 2.138. 알코올 사용장애 위험군의 특성 523

표 2.139. 알코올 사용장애와 스트레스 및 수면의 질 525

표 2.140. 떨림 검사 비교 526

표 2.141. 흔들림 검사 비교 526

표 2.142. 리듬 검사 비교 527

표 2.143. 최대 주파수 검사 528

표 2.144. 반응시간 검사 528

표 2.145. 직무별 떨림검사 결과 비교 529

표 2.146. 직무별 흔들림 검사 결과 비교 530

표 2.147. 직무별 리듬 검사 결과 비교 531

표 2.148. 최대 주파수 검사 532

표 2.149. 직무별 반응시간 검사 결과 비교 532

표 2.150. 손발 떨림 결과 534

표 2.151. 행동 둔화 증상과 리듬 및 최대주파수 검사 결과 비교 535

표 2.152. 어지럼증이나 현기증과 흔들림 검사 결과비교 536

표 2.153. 걸을 때 균형감각과 흔들림 검사 결과 비교 537

표 2.154. 악력 검사 결과 538

표 2.155. 비만도 분포 539

표 2.156. 연령군별 비만도 분포 540

표 2.157. 연령군별 이상지혈증 유병률 541

표 2.158. 직무별 이상지질혈증 유병률 542

표 2.159. 연령군별 사구체 여과율 545

표 2.160. 주요 질환의 추정 유병률 555

표 2.161. 인천서부소방서 3조2교대 근무방식 556

표 2.162. 근무 형태별 일반적 특성 557

표 2.163. 직무별 일반적 특성 558

표 2.164. 출퇴근에 따른 스트레스 호르몬 및 멜라토닌 변화 비교 559

표 2.165. 교대근무 형태별 Stress 호르몬 및 소변 멜라토닌 대사산물 561

표 2.166. 직무에 따른 스트레스 호르몬 및 멜라토닌 변화 비교 565

표 2.167. 연구 대상자별 연령 분포 569

표 2.168. 연구 대상자별 근골격계 증상 유병률 570

표 2.169. 소방업무종사자 건강평가를 위한 자료원 579

표 2.170. 근골격계 증상 구분에 따른 내용 583

표 2.171. 조사 대상 소방공무원의 일반/직무 특성 589

표 2.172. 조사 대상 소방공무원의 성별에 따른 유해요인 노출 591

표 2.173. 남성 소방공무원의 직무에 따른 유해요인 노출 592

표 2.174. 여성 소방공무원의 직무에 따른 유해요인 노출 592

표 2.175. 조사 대상 소방공무원의 건강행태 및 질병력 597

표 2.176. 조사 대상 소방공무원의 성별에 따른 현 증상 598

표 2.177. 남성 소방공무원의 직무에 따른 현 증상 599

표 2.178. 남성 소방공무원의 직무에 따른 현 증상 600

표 2.179. 여성 소방공무원의 직무에 따른 현 증상 601

표 2.180. 여성 소방공무원의 직무에 따른 현 증상 602

표 2.181. 조사 대상자의 신체부위별 근골격계 증상 호소(남) 605

표 2.182. 조사 대상자의 신체부위별 근골격계 증상 호소(여) 606

표 2.183. 조사 대상자(남자)의 일반적/직무 특성에 따른 근골격계 증상 호소(증상 III) 610

표 2.184. 조사 대상자(여자)의 일반적/직무 특성에 따른 근골격계 증상 호소(증상 III) 611

표 2.185. 조사 대상자(남자)의 일반적/직무 특성에 따른 근골격계 증상 호소(증상 V) 612

표 2.186. 조사 대상자(여자)의 일반적/직무 특성에 따른 근골격계 증상 호소(증상) 613

표 2.187.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직무 특성에 따른 허리 근골격계 증상 호소 614

표 2.188.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직무 특성에 따른 허리 근골격계 증상 호소 615

표 2.189.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직무 특성에 따른 상지증상 호소 616

표 2.190.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직무 특성에 따른 상지증상 호소 617

표 2.191. 조사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문제 음주 620

표 2.192. 조사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알코올의존 I 621

표 2.193. 조사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알코올의존 II 622

표 2.194. 조사 대상자의 우울 증상 항목별 분포 624

표 2.195. 조사 대상자의 우울 증상 항목별 평균 625

표 2.196. 조사 대상자의 근무 특성에 따른 우울 증상 626

표 2.197. 조사 대상자의 직무 스트레스 항목별 분포 632

표 2.198. 조사 대상자의 직무 스트레스 항목별 분포 633

표 2.199. 조사 대상자의 직무 스트레스 항목별 분포 634

표 2.200. 조사 대상자의 직무 스트레스 635

표 2.201. 조사 대상자의 근무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위험군 분포 636

표 2.202. 조사 대상자의 근무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위험군 분포 637

표 2.203. 조사 대상자의 근무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위험군 분포 638

표 2.204. 조사 대상자의 근무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위험군 분포 639

표 2.205. 대상자의 근무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위험군 분포 640

표 2.206. 조사 대상자의 근무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위험군 분포 641

표 2.207. 조사 대상자의 근무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위험군 분포 642

표 2.208. 조사 대상자의 근무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위험군 분포 643

표 2.209. 조사 대상자의 근무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위험군 분포 644

표 2.210. 직무스트레스 하부영역의 저/고 위험군의 허리 근골격계 증상 III 647

표 2.211. 직무스트레스 하부영역의 저/고 위험군의 허리 근골격계 증상 V 648

표 2.212. 직무스트레스 하부영역의 저/고 위험군의 상지 근골격계 증상 III 649

표 2.213. 직무스트레스 하부영역의 저/고 위험군의 상지 근골격계 증상 V 650

표 2.214. 직무스트레스 하부영역의 저/고 위험군의 문제음주 651

표 2.215. 직무스트레스 하부영역의 저/고 위험군의 알코올 의존 I 652

표 2.216. 직무스트레스 하부영역의 저/고 위험군의 알코올 의존 II 653

표 2.217. 직무스트레스 하부영역의 저/고 위험군의 우울 증상 654

표 2.218. 조사 대상 소방공무원의 허리 증상(III)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657

표 2.219. 조사 대상 소방공무원의 상지 증상(III)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658

표 2.220. 조사 대상 소방공무원의 문제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658

표 2.221. 조사 대상 소방공무원의 우울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659

표 2.222. 조사 대상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659

표 2.223. 자료수집 양식 661

표 2.224. 소방본부 단위로 파악된 소방공무원 분포(2008.12.31. 기준) 661

표 2.225. 최종 코호트의 특성(2008.12.31 기준) 662

표 2.226. 일반건강진단 분석항목 표 664

표 2.227. 일반건강진단 분석 대상 소방업무종사자와 우리나라 국민 수검현황 666

표 2.228. 소방업무종사자와 우리나라 국민의 평균 BMI 비교 668

표 2.229. 소방업무종사자와 우리나라 국민의 비만단계 비교 669

표 2.230. 평균 수축기혈압 비교 671

표 2.231. 고혈압 비교(수축기혈압, 남성, 연령군내 비율%) 672

표 2.232. 평균 이완기혈압 비교 673

표 2.233. 고혈압 비교(이완기혈압, 남성, 연령군내 비율%) 675

표 2.234. 평균 혈색소 비교 676

표 2.235. 빈혈 비교 (혈색소 수준, 남성, 연령군내 비율%) 677

표 2.236. 평균 공복시혈당 비교 679

표 2.237. 당뇨 비교(공복시 혈당 수준, 남성, 연령군내 비율%) 680

표 2.238. 평균 GOT(AST) 비교 682

표 2.239. 이상 GOT(AST) 비교 (GOT 수준, 남성, 연령군내 비율 %) 683

표 2.240. 평균 GPT(ALT) 비교 685

표 2.241. 이상 GPT(ALT) 비교 (GPT 수준, 남성, 연령군내 비율 %) 686

표 2.242. 평균 r-GTP 비교 687

표 2.243. 이상 r-GTP 비교 (r-GTP 수준, 남성, 연령군내 비율 %) 689

표 2.244. 이상 단백뇨 비교 (단백뇨 수준, 남성, 연령군내 비율%) 691

표 2.245. 평균 총콜레스테롤 비교 693

표 2.246. 고지혈증 비교 (총콜레스테롤 수준, 남성, 연령군내 비율%) 694

표 2.247. 시력 비교 (연령군내 %) 696

표 2.248. 청력 비교 698

표 2.249. 음주습관 비교 700

표 2.250. 음주습관 비교 701

표 2.251. 흡연습관 비교 703

표 2.252. 운동습관 비교(남성, 비율) 705

표 2.253. 운동습관 비교(남성, 비율) 706

표 2.254. 지역(광역시·도), 성, 연령군(5세단위)에 따른 추출자 현황 712

표 2.255. 연구대상 소방업무종사자 특성(2008.12.31 기준) 713

표 2.256. 성별·연도별 입원 건수 714

표 2.257. 소방업무종사자 성별·연도별 평균 및 총입원일수 715

표 2.258. 소방업무종사자 성별·연도별 입원비용 717

표 2.259. 소방업무종사자 성별·연도별 입원비용 718

표 2.260. 대분류 질병군별 입원자 비율 721

표 2.261. 지역별 대분류 질병군별 입원자 수 725

표 2.262. 지역별 입원자 중 대분류 질병군별 비율 726

표 2.263. 대분류 질병군 표준화입원비(남성 259,298인년) 728

표 2.264. 화재진압 경력 유무에 따른 질병군별 표준화입원비 731

표 2.265. 종사형태별 질병군별 표준화입원비 734

표 2.266. 질병군별 표준화비례입원비 736

표 2.267. 대분류 질병군 표준화입원비(여성 10,831인년) 738

표 2.268. 질병군별 표준화비례입원비 740

표 2.269. 특정감염성 및 기생충성질환 표준화입원비(전체 소방업무종사자) 741

표 2.270. 악성신생물 표준화입원비 743

표 2.271. 내분비, 영양 및 대사질환 표준화입원비 744

표 2.272. 정신 및 행동장애 표준화입원비 745

표 2.273. 신경계통의 질환 표준화입원비 746

표 2.274. 눈 및 귀질환 표준화입원비 747

표 2.275. 순환기계통의 질환 표준화입원비 748

표 2.276. 호흡기계통의 질환 표준화입원비 748

표 2.277. 소화기계통의 질환 표준화입원비 749

표 2.278. 피부 및 피부밑조직의 질환 표준화입원비 750

표 2.279. 근육골격계통 및 결합조직의 질환 표준화입원비 751

표 2.280. 비뇨생식기계통의 질환 표준화입원비 752

표 2.281. 손상, 중독 및 외인에 의한 특정 기타 결과 표준화입원비 753

표 2.282. 남성 소방업무종사자 직무별 감염성질환 표준화입원비 755

표 2.283. 남성 소방업무종사자 직무별 악성신생물 표준화입원비 756

표 2.284. 남성 소방업무종사자 직무별 내분비, 영양 및 대사질환 표준화입원비 757

표 2.285. 남성 소방업무종사자 직무별 정신 및 행동장애 표준화입원비 758

표 2.286. 남성 소방업무종사자 직무별 신경계통의 질환 표준화입원비 759

표 2.287. 남성 소방업무종사자 직무별 눈 및 귀질환 표준화입원비 760

표 2.288. 남성 소방업무종사자 직무별 순환기계통의 질환 표준화입원비 761

표 2.289. 남성 소방업무종사자 직무별 호흡기계통의 질환 표준화입원비 762

표 2.290. 남성 소방업무종사자 직무별 소화기계통의 질환 표준화입원비 763

표 2.291. 남성 소방업무종사자 직무별 피부질환 표준화입원비 764

표 2.292. 남성 소방업무종사자 직무별 근육골격계통의 질환 표준화입원비 766

표 2.293. 남성 소방업무종사자 비뇨생식기계통의 질환 표준화입원비 767

표 2.294. 남성 소방업무종사자 직무별 손상, 중독 및 외인에 의한 결과 표준화입원비 769

표 2.295. 남성 재직유무별 감염성질환 표준화입원비 770

표 2.296. 남성 재직유무별 악성신생물 표준화입원비 772

표 2.297. 남성 재직유무별 내분비질환 표준화입원비 773

표 2.298. 남성 재직유무별 정신 및 행동장애 표준화입원비 774

표 2.299. 남성 재직유무멸 신경계질환 표준화입원비 775

표 2.300. 남성 재직유무별 눈 및 귀질환 표준화입원비 776

표 2.301. 남성 재직유무별 순환기계질환 표준화입원비 777

표 2.302. 남성 재직유무별 호흡기계질환 표준화입원비 778

표 2.303. 남성 재직유무별 소화기계질환 표준화입원비 779

표 2.304. 남성 재직유무별 피부질환 표준화입원비 780

표 2.305. 남성 재직유무별 근골격계질환 표준화입원비 781

표 2.306. 남성 재직유무별 비뇨기계질환 표준화입원비 782

표 2.307. 남성 재직유무별 손상, 중독 및 외인에 의한 결과 표준화입원비 783

표 2.308. 여성 특성감염성 및 기생충성질환 표준화입원비 784

표 2.309. 여성 신생물 표준화입원비 785

표 2.310. 여성 정신 및 행동장애 표준화입원비 785

표 2.311. 여성 호흡기계질환 표준화입원비 786

표 2.312. 여성 소화기계통의 질환 표준화입원비 786

표 2.313. 여성 비뇨기계질환 표준화입원비 787

표 2.314. 여성 임신, 출산 및 산후기질환 표준화입원비 788

표 2.315. 여성 근육골격계질환 및 손상, 중독 및 외인 표준화입원비 789

표 2.316. 여성 기타 질환 표준화입원비 790

표 2.317. 소방업무종사자의 일반적 특성(2005년 12월 31일 기준) 793

표 2.318. 소방업무종사자 암종류별 표준화암발생비 795

표 2.319. 남성의 주직무별 암의 표준화발생비 797

표 2.320. 남성 화재진압 직무자의 암의 표준화비차비 (기준집단; 기타직무자) 798

표 2.321. 소방업무종사자의 일반적 특성(2008년 12월 31일 기준) 801

표 2.322. 남성 주요 사망원인 802

표 2.323. 전체 남성 소방업무종사자의 사인별 표준화사망비 803

표 2.324. 남성의 주직무별 표준화사망비 805

표 2.325. 남성 화재진압 직무자의 표준화비차비 (기준집단; 기타직무자) 806

표 2.326. 남성의 사망원인별 표준화비례사망비 807

표 2.327. 남성의 암종류별 표준화비례사망비 및 표준화비례암사망비 808

표 2.328. 전국소방서 대상 설문조사 응답률 812

표 2.329. 소방서별 2009년 1인당 검진비용 813

표 2.330. 현재 실시하고 있는 건강진단 종류 814

표 2.331. 현재 시행하고 있는 건강진단 비용 부담 주체 815

표 2.332. 건강진단 실시 주기 815

표 2.333. 향후 특수건강진단 비용부담 주체 816

표 2.334. 미국예방위원회의 권고내용 826

표 2.335. 미국예방위원회가 이용한 권고 모형 827

표 2.336. 캐나다예방위원회가 제시한 권고수준(Grades of recommendation) 827

표 2.337. 캐나다예방위원회가 제시한 증거의 질 827

표 2.338. 호주 RACGP에서 제시한 증거의 질 828

표 2.339. 국가별 권고기준표 829

표 2.340. 일반건강검진 검사항목별 국내외 권고안 830

표 2.341. 지역사회 건강진단과 근로자 건강진단의 비교 832

표 2.342. 소방공무원임용시행령 시행규칙 제23조 7항, 별표5 채용시험 신체조건 847

표 2.343. 채용후 배치전 건강진단 검사 항목 848

표 2.344. 임상검사 항목의 검사방법 및 참고값 (보건복지부 고시제2010-120호 [별표 5의 별첨](일반) 및 근로자 건강진단 실무지침(실무지침) 인용) 850

표 2.345. NIOSH의 자각증상 기준 852

표 2.346. 건강관리 구분 (근로자건강진단 실무지침 인용) 852

표 2.347. 업무수행 적합 여부 평가 (근로자건강진단 실무지침 인용) 853

표 2.348. 사후관리내용(근로자건강진단 실무지침 인용) 854

표 2.349. 채용후 배치전건강진단 후 보건관리 855

표 2.350. 흉부방사선 소견별 보건 관리 (근로자 건강진단 실무지침 인용) 857

표 2.351. 순음청력검사 보건관리 859

표 2.352. 직무전환시 배치전건강진단 860

표 2.353. 일반건강진단 항목 (보건복지부 고시 제 2009-24호 [별표 2.1] 일부발췌) 862

표 2.354. 화재진압·구급·구조자 정기건강진단 항목 863

표 2.355. 유해인자별 2차 검사 항목 864

표 2.356. 2차 검사가 필요한 유방암 이상소견 866

표 2.357. 특수직무 종사자 건강진단 검진구분 및 검사항목 867

표 2.358. 산업안전보건법시행규칙 [별표 13]의 고기압 및 방사선 검사항목 868

표 2.359. 임상검사 방법 및 참고값 870

표 2.360. 정기건강진단 후 보건관리 871

표 2.361. 수시 건강진단 항목 880

표 2.362. 수시건강진단 후 보건관리 882

표 2.363. 92개 소방관서 건강진단 실시 보건의료기관 887

표 2.364. The Tier 4 Health Assessment 906

표 2.365. 채용시 건강진단 검진구분 및 검사항목 913

표 2.366. 정기건강진단 검사항목 및 실시 주기 914

표 2.367. 특수건강진단 검사항목 및 실시 주기 915

표 2.368. 건강진단결과에 따른 의학적 조치 917

표 2.369. 건강진단결과에 따른 취업상의 조치 918

표 2.370. 경기도 소방본부 서버의 사양 958

그림 1.1. 연구개발의 목표 57

그림 1.2. 연구의 틀 59

그림 2.1. 연구내용 및 진행 FLOW CHART 64

그림 2.2. 개구부 파괴에 의한 백드래프트(Backdraft) 171

그림 2.3. 화재 진압 중 백드래프트(Backdraft) 173

그림 2.4. 화재에 의한 건물 붕괴로 인한 소방대원의 매몰 175

그림 2.5. 소용돌이(맴돌이) 현상의 기본형 그래프 178

그림 2.6. 소용돌이에 빨려 들어가는 모습 179

그림 2.7. 구급차 충돌시 내·외부 충격 모습 180

그림 2.8. 안전사고 유형별 발생빈도와 연구범위 218

그림 2.9. 고속도로에서의 소방대원 보호 주차방법 233

그림 2.10. T자형 교차로에서 충돌 237

그림 2.11. 화재신고에서 귀서까지의 안전사고 주요 대책방안 251

그림 2.12. 화재진압 도중 추락사고 255

그림 2.13. 목조건물의 붕괴 263

그림 2.14. 가스폭발과 조적조건물의 붕괴 263

그림 2.15. 철골구조물의 변형·붕괴 모습 265

그림 2.16. 화재모의 실험 장면(화재 3분 경과 후) 266

그림 2.17. 센드위치 패널(SP)의 화재성상 268

그림 2.18. 주택화재 상황동 및 붕괴 현장 사진 271

그림 2.19. 홍제동 주택 붕괴화재 272

그림 2.20. 씨즈히터에 의한 발화 실험 284

그림 2.21. 수중보 소용돌이 익사 사고 296

그림 2.22. 들것의 종류 312

그림 2.23. 직무별 노출 유해인자 분석연구 틀 335

그림 2.24. 직무별 노출 유해인자 분석연구 내용 335

그림 2.25. 누적소음노출량계(Noise dosimeter) 336

그림 2.26. 조사대상 화재상황 338

그림 2.27. 유기용제 표준물질 크로마토그램 340

그림 2.28. PAH 표준물질 크로마토그램 343

그림 2.29. 심박수 측정기(RS400, Polar사) 346

그림 2.30. 근무시간동안 심박수 변이 347

그림 2.31. 고체상 물질(좌) 및 액체상 물질(우)의 시간에 따른 연소가스 중 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Austin 등, 2001) 363

그림 2.32. 모의화재 현장 및 실시간 측정 장비를 착용한 소방관 (자료원; Mrranda 등, 2010) 364

그림 2.33. BRFRS 및 TFR 소속 소방관의 소변 중 안티몬(좌), 수은(우) 농도(자료원: HETA 2009-0025 및 HETA 2009-0076-3085, NIOSH) 367

그림 2.34. 누적소음 그래프 373

그림 2.35. 화재출동 시 업무현황 377

그림 2.36. 최대 심박수를 적용한 업무별 %MTHR 393

그림 2.37. 소방관 건강장해의 임상의학적 평가 과정 452

그림 2.38. CATSYS 검사 도구 (좌측부터 force plate, datalogger, 반응 손잡이, recording drum, tremor pen) 476

그림 2.39. 떨림검사 476

그림 2.40. 흔들림 검사 477

그림 2.41. 리듬 검사 및 최대주파수 검사 478

그림 2.42. 반응시간 검사 478

그림 2.43. 피부질환에 대한 임상 정밀 검사 대상 선별기준 481

그림 2.44. 심혈관질환에 대한 임상 정밀 검사 대상 선별기준 482

그림 2.45. 천식에 대한 임상 정밀 검사 대상 선별기준 483

그림 2.46. 근골격계 질환에 대한 임상 정밀 검사 대상 선별기준 484

그림 2.47. 두통에 대한 임상 정밀 검사 대상 선별기준 485

그림 2.48. 지역별 일반적 특성 488

그림 2.49. 근무년수 489

그림 2.50. 연령군별 대사증후군 유병률 543

그림 2.51. 직무별 대사증후군 유병률 544

그림 2.52. 직업성 피부질환 의심자 진단 과정 549

그림 2.53. 두통 및 뇌종양 의심자 진단 과정 550

그림 2.54. 심장질환 의심자 진단 과정 551

그림 2.55. 직업성 천식 의심자 진단 과정 552

그림 2.56. 작업관련성 근골격계 질환 의심자 진단 과정 553

그림 2.57. 출근시와 퇴근시 소변 멜라토닌 대사산물 비교 559

그림 2.58. 출근시와 퇴근시 스트레스 호르몬 변화 (ACTH_1: 출근 시 ACTH, ACTH_2 : 퇴근 시 ACTH, Cort_1: 출근 시 cortisol, Cort_2: 퇴근 시 cortisol, Epi_1: 출근 시 epinephrine, Epi_2 : 퇴근시 epinephrine,... 560

그림 2.59. 교대근무 형태에 따른 출근시 ACTH (ACTH_1)과 퇴근시 ACTH (ACTH_2) 비교 562

그림 2.60. 교대근무 형태에 따른 출근시 cortisol (Cort_1)과 퇴근시 cortisol (Cort_2) 비교 562

그림 2.61. 교대근무 형태에 따른 출근시 epinephrine(epinephreine) (Epi_1)과 퇴근시 epinephrine (Epi_2) 비교 563

그림 2.62. 교대근무 형태에 따른 출근시 norepinephrine(norepinephreine) (NE_1)과 퇴근시 norepinephrine (NE_2) 비교 563

그림 2.63. 교대근무 형태에 따른 출근시 6-SMT와 퇴근시 6-SMT 비교 564

그림 2.64. 직무에 따른 출근시 ACTH (ACTH_1)과 퇴근시 ACTH (ACTH_2) 비교 566

그림 2.65. 직무에 따른 출근시 cortisol (Cort_1)과 퇴근시 cortisol (Cort_2) 비교 566

그림 2.66. 직무에 따른 출근시 epinephrine(epinephreine) (Epi_1)과 퇴근시 epinephrine (Epi_2) 비교 567

그림 2.67. 직무에 따른 출근시 norepinephrine(norepinephreine) (NE_1)과 퇴근시 norepinephrine (NE_2) 비교 567

그림 2.68. 직무에 따른 출근시 6-SMT와 퇴근시 6-SMT 비교 568

그림 2.69. 평균 수축기혈압 비교 671

그림 2.70. 고혈압 비교(수축기혈압, 남성, 연령군내 비율%) 673

그림 2.71. 평균 이완기혈압 비교 674

그림 2.72. 고혈압 비교(이완기혈압, 남성, 연령군내 비율%) 674

그림 2.73. 평균 혈색소 비교 676

그림 2.74. 빈혈 비교 (혈색소 수준, 남성, 연령군내 비율%) 678

그림 2.75. 평균 공복시혈당 비교 679

그림 2.76. 당뇨 비교(공복시 혈당 수준, 남성, 연령군내 비율%) 681

그림 2.77. GOT 비교 684

그림 2.78. GOT(AST) 비교 (GOT 수준, 남성, 연령군내 비율 %) 684

그림 2.79. 평균 GPT(ALT) 비교 685

그림 2.80. GPT(ALT) 비교 (GPT 수준, 남성, 연령군내 비율 %) 687

그림 2.81. 평균 r-GTP 비교 688

그림 2.82. r-GTP 비교 (r-GTP 수준, 남성, 연령군내 비율 %) 690

그림 2.83. 이상 단백뇨 비교 (단백뇨 수준, 남성, 연령군내 비율%) 692

그림 2.84. 평균 총콜레스테롤 비교 693

그림 2.85. 고지혈증 비교 (총콜레스테롤 수준, 남성, 연령군내 비율%) 695

그림 2.86. 시력 비교 697

그림 2.87. 청력 비교 698

그림 2.88. 음주습관 비교 702

그림 2.89. 흡연습관 비교 704

그림 2.90. 운동습관 비교(남성, 비율%) 707

그림 2.91. 성별·연도별 입원 건수 714

그림 2.92. 성별·연도별 평균입원일수 715

그림 2.93. 성별·연도별 총입원일수 716

그림 2.94. 소방업무종사자 성별·연도별 평균 입원비용 719

그림 2.95. 소방업무종사자 성별·연도별 총입원비용 719

그림 2.96. 성별. 질병군별 입원자 수 722

그림 2.97. 전체 입원 중 질병군 비율 722

그림 2.98. 향후 건강검진결과 관리방향 817

그림 2.99. 소방업무 종사자 건강진단의 목적 831

그림 2.100. 폐기능 검사 결과의 참고치 (FEV1: 1초 강제호기량, FVC: 강제폐활량) 851

그림 2.101. 소방업무 종사자 건강진단 개요 883

그림 2.102. 대규모 구조사상발생시 참사스트레스케어 체제 921

그림 2.103. 소방공무원 건강진단 운영방안-1 961

그림 2.104. 수시건강진단의 발생 961

그림 2.105. 소방공무원 특수검진 운영방안-2 963

그림 2.106. 수시건강진단 발생-2 963

그림 2.107. 소방방재청 특수건강진단 DFD 964

그림 2.108. 수시건강진단 DFD 965

그림 2.109. 소방공무원 검진 체계도-1안 965

그림 2.110. 소방공무원 검진체계도-2안 966

그림 2.111. 검진기관 CS 프로그램 흐름도-1안 966

그림 2.112. 검진기관 CS 프로그램 흐름도-2안 967

그림 2.113. 검진기관 CS 프로그램 수행 절차-1안 968

그림 2.114. 검진기관 CS 프로그램 수행 절차-2안 968

그림 2.115. 소방본부 수행 절차-1안 969

그림 2.116. 검진기관 결과 파일 송수신 방법 969

그림 2.117. 소방본부 수행 절차-2안 970

그림 2.118. 소방방재청 수행절차 971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T000035310 전자형태로만 열람 가능함 전자자료 이용불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