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석유화학 재난대응 종합 교육·훈련 프로젝트 개발 연구 / 소방방재청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소방방재청, 2010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 가능함
자료실
전자자료
형태사항
xvii, 503 p. : 삽화, 도표, 사진 ; 27 cm
제어번호
MONO1201108241
주기사항
인적재난사업단
주관연구기관: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책임연구원: 채경석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요약문

SUMMARY

목차

제1장 서론 26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6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0

제2장 석유화학산업의 정의와 특성 및 현황 32

2.1. 석유화학산업의 정의와 특성 32

2.1.1. 석유화학산업의 정의 32

2.1.2. 석유화학산업의 특성 34

2.2. 석유화학산업의 현황 39

2.2.1. 한국 석유화학산업의 발전과정 39

2.2.2. 국내 석유화학산업의 현황 45

제3장 석유화학 관련 국내·외 재난 사례 49

3.1. 재난의 개념 49

3.2. 해외 석유화학 관련 재난 및 사고 사례 51

3.2.1. 室蘭[무로란]항 탱크 화재 : 원유 누출 및 폭발 화재 53

3.2.2. 플릭스보로[Flixborough] 폭발사고 : 증기운폭발(VCE) 54

3.2.3. 雄洋丸[유요말] 충돌 사고 : 선박에서의 화재·폭발 55

3.2.4. 三菱[미츠비시]석유(주) 水島[미즈시마] 제유소 중유 유출 사고 : 유출 및 해상환경오염 56

3.2.5. 세베소 다이옥신 누출사고 : 위험물질 누출 및 환경오염 57

3.2.6. 멕시코시티 LPG 저장탱크 BLEVE 사고 : 비등액체팽창증기폭발(BLEVE) 57

3.2.7. 인도 보팔 MIC 누출 사고 : 위험물 누출 및 확산 59

3.2.8. 필립스 파사디나 HDPE Plant 사고 : 증기운폭발(VCE)후 화재 59

3.2.9. 영국 ConocoPhillips Humber Refinery 사고 : 증기운폭발 후 화재 61

3.2.10. 미국 BP 정유공장 폭발사고 : 증기운폭발(VCE) 62

3.2.11. 영국 Buncefield Oil Storage Depot 사고 : 증기운폭발(VCE) 후 화재 63

3.2.12. 일본 미츠비시 공장화재 사고 : 누출 및 화재 64

3.3. 국내 석유화학 관련 재난 및 사고 사례 65

3.3.1. 중질유 분해공장 폭발사고 67

3.3.2. MEK-PO 폭발사고 68

3.3.3. 헥산 누출 사고 : 증기운폭발(VCE) 후 화재 69

3.3.4. 중질유분해공장(HOU) 공정 반응기 화재사고 : 누출 화재 70

3.3.5. 원료저장탱크 폭발 72

3.3.6. 황제거 반응기 폭발사고 : 자기분해반응 폭발 73

3.3.7. M사 독성물질 누출 사고 74

3.3.8. 가솔린 분리기 하부 급냉오일(Quench Oil) 누출사고 75

3.3.9. 이상반응으로 인한 탱크 폭발사고 77

3.3.10. 원유탱크 화재 78

3.4. 국내 석유화학 관련 재난 및 사고의 통계적 분석 80

제4장 국내 석유화학단지의 재난대응 실태 86

4.1. 석유화학산업의 대형재난 위험성 86

4.2. 재난관리와 재난대응의 중요성 87

4.2.1. 재난관리의 개념과 과정(단계) 87

4.2.2. 재난관리체제의 구조적 속성 89

4.2.3. 재난대응의 개념과 중요성 95

4.2.4. 재난대응체제의 특성 96

4.2.5. 재난대응체제의 구조적 특성 99

4.3. 국내 석유화학단지별 재난대응 실태 102

4.3.1. 울산지역 석유화학단지 102

4.3.2. 여수지역 석유화학단지 107

4.3.3. 대산 석유화학단지 111

제5장 해외 석유화학 재난대응 교육훈련 현황 분석 118

5.1. 미국 118

5.1.1. TEEX[Texas Engineering Extension Service] 118

5.1.2. FSA [Reno Fire Science Academy] 148

5.2. 영국소방대학[The Fire Service College] 163

5.2.1. 일반적인 현황 163

5.2.2. 석유화학 재난대응 관련 시설 및 프로그램 현황 199

5.3. 일본 219

5.3.1. 일본소방대학 219

5.3.2. 해상방재훈련센터 224

5.4. 해외 석유화학 재난대응 교육훈련이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 236

제6장 국내 석유화학 재난대응 교육훈련 현황 241

6.1. 중앙소방학교 241

6.1.1. 일반적인 교육 현황 241

6.1.2. 석유화학 재난대응 관련 교육 현황 285

6.2. 국립환경과학원[국립환경인력개발원] 289

6.2.1. 일반적 현황 289

6.2.2. 석유화학 재난대응 관련 교육훈련 현황 290

6.3. GS칼텍스 295

6.3.1. 일반적 현황 295

6.3.2. 교육시설 현황 296

6.3.3. 석유화학 재난대응 교육훈련 프로그램 301

제7장 석유화학 재난대응 종합 교육훈련 프로젝트 개발을 위한 델파이 조사 및 AHP 분석 343

7.1. 석유화학 재난대응 종합 교육훈련의 필요성과 교육훈련 범위 예측 345

7.1.1. 석유화학 재난대응 종합 교육훈련 시설 및 프로그램의 필요성 345

7.1.2. 석유화학 재난대응 종합 교육훈련의 대상 및 범위 346

7.2. 석유화학 재난대응 종합 교육훈련시설 설치 및 운영체계 개발 350

7.2.1. 석유화학 재난대응 종합 교육훈련시설의 입지 분석 350

7.2.2. 석유화학 재난대응 종합 교육훈련 시설 및 프로그램의 설립주체, 운영주체, 비용부담 방안 연구 364

7.2.3. 교육훈련 이수자에 대한 인증방안 371

7.3. 석유화학 재난대응 교육훈련시설 및 교육과정 374

7.3.1. 석유화학 재난대응 종합 교육훈련 시설 374

7.3.2. 석유화학 재난대응 종합 교육훈련 프로그램 382

제8장 석유화학 재난대응 종합 교육훈련 프로젝트 개발안의 제시 389

8.1. 석유화학 재난대응 종합 교육훈련의 필요성과 범위 389

8.1.1. 석유화학 재난대응 종합 교육훈련 시설 및 프로그램의 필요성 389

8.1.2. 석유화학 재난대응 종합 교육훈련의 대상 및 범위 390

8.2. 석유화학 재난대응 종합 교육훈련시설 설치 및 운영체계 393

8.2.1. 석유화학 재난대응 종합 교육훈련 시설의 종류와 규모 393

8.2.2. 석유화학 재난대응 종합 교육훈련시설의 입지 분석 398

8.3. 석유화학 재난대응 종합 교육훈련 프로그램안 401

8.3.1. 석유화학 재난대응 종합 교육훈련안의 기초 조사 401

8.3.2. 석유화학 재난대응 종합 교육훈련 프로그램안의 제시 405

부록 430

부록 1. 화재진행에 따라 건물의 구조형식과 구조특성 사용재료에 따른 건물붕괴 메카니즘 분석 430

부록 2. 델파이 조사 및 AHP 분석 설문지 507

참고문헌 520

연구성과활용계획서 528

표 2.1. 석유화학산업의 기초 소재 산업적 특성 35

표 2.2. 주요 석유화학단지별 에틸렌 생산 능력 48

표 3.1. 해외 석유화학 관련 주요 재난 및 사고 사례 51

표 3.2. 국내 석유화학 관련 주요 재난 및 사고 사례 65

표 3.3. 석유화학콤비나트 연도별 사고현황 80

표 3.4. 취급별 위험물 사고현황 82

표 3.5. 위험물별 사고 현황 82

표 3.6. 사고유형별 사고 현황 83

표 3.7. 위험물 사고 화재경위별 현황 83

표 3.8. 위험물사고 발생원인별 현황 84

표 3.9. 인적 요인별 현황 84

표 3.10. 물적 요인별 현황 85

표 3.11. 기타 요인별 현황 85

표 4.1. 국가재난관리체제의 구조적 속성과 전략적 효과 90

표 4.2. 울산지역 석유화학단지 현황(가동업체기준) 103

표 4.3. 울산지역 위험물제조소등 허가 현황 104

표 4.4. 울산지역 자체소방대 현황 104

표 4.5. 울산지역 소방장비 현황 105

표 4.6. 울산지역 공설소화전 현황 105

표 4.7. 소방관서와의 거리 106

표 4.8. 여수지역 화재경계지구 관리현황 108

표 4.9. 여수지역 위험물 유별 저장량 108

표 4.10. 위험물 제조소등 현황 109

표 4.11. 대산 석유화학단지 지구별 입주업체 현황 112

표 4.12. 대산 석유화학단지 위험물 총괄현황 112

표 4.13. 대산 석유화학단지의 소방관서와의 거리 113

표 4.14. 부서별 소방장비 현황 114

표 4.15. 대산 석유화학단지 대상별 자체소방대 현황 115

표 5.1. TEEX의 교육훈련 프로그램 126

표 5.2. 액화석유가스 누출 통제 및 화재 진화 교육훈련 프로그램 139

표 5.3. 강의 계획서 140

표 5.4. 육상 및 해상의 기름 누출 대응 훈련 141

표 5.5. 강의 계획서 142

표 5.6. 위험물질 인지, 운영, 기술자 훈련 관련 교과 143

표 5.7. 사고 지휘자 훈련 144

표 5.8. 기름 누출 사고 대비 훈련 144

표 5.9. 위험물질 운송 관련 훈련 145

표 5.10. 선수과목 일람 146

표 5.11. 필수핵심코스 일람 147

표 5.12. 선택코스 : 3개 선택 과목 필수 147

표 5.13. 2010 FSA 프로그램 일정 151

표 5.14. 산업화재진압 개설과목 155

표 5.15. 위험물질 대비 교육훈련 155

표 5.16. 강의계획서: 산업 소방관 초급 레벨 156

표 5.17. 강의계획서: 산업 소방관 상급레벨 157

표 5.18. 강의계획서: 산업화재지원단 리더쉽 158

표 5.19. 강의계획서: 위험물질 초기구조자 운영(24시간) 159

표 5.20. 위험물질 사고 화상 지휘 160

표 5.21. 강의계획서: 위험물질기술자 훈련(40시간) 161

표 5.22. 강의 계획서: 위험화학물질 162

표 5.23. 지난 5년간 운영 내역(Summary of 5 year results) 180

표 5.24. 회계연도 2009년 수입지출 결산 현황 181

표 5.25. 회계연도 2009년 총수입 및 결손 현황 181

표 5.26. 교육훈련서비스 이용 고객별 수입 내역 182

표 5.27. 영국소방대학 운영 수입의 구성 내역 182

표 5.28. Incident Command 과정 184

표 5.29. civil resilience 과정 185

표 5.30. Specialist Operations 과정 187

표 5.31. Hazardous Materials 과정 189

표 5.32. Train the Trainer 과정 190

표 5.33. Fire and Community Safety 과정 192

표 5.34. Rope, Water and Associated Rescue Skills 과정 193

표 5.35. Leadership and Management 과정 195

표 5.36. 영국소방대학 교육훈련 프로그램 관련 공인 인증 자격증 현황 198

표 5.37. 위해물질 및 환경보호 과정 205

표 5.38. 위해물질 및 환경 보호 갱신 과정 206

표 5.39. 위해물질 지도자 과정 208

표 5.40. 위해물질 초기 대응자 과정 209

표 5.41. 위해물질의 추적, 확인 및 감독 과정 210

표 5.42. 위해물질의 추적, 확인 및 감독 갱신 과정 211

표 5.43. 위해물질 지휘관 과정 213

표 5.44. 대규모 제독 교관 과정 214

표 5.45. 위해 물질의 탐색, 확인 및 감독 과정 - Module C: Drager Tubes(이미지참조) 215

표 5.46. 위해 물질의 탐색, 확인 및 감독 과정 - Module D 216

표 5.47. 위해 물질의 탐색, 확인 및 감독 과정 - 시나리오 과정 217

표 5.48. 표준적인 해상방재훈련 코스 225

표 5.49. 소방실습만을 실시하는 훈련 코스 226

표 5.50. 기름 방제 전문훈련 코스 227

표 5.51. 콤비나트 등 소방훈련 코스 228

표 5.52. 유해물질의 취급 등에 관한 훈련 코스 230

표 5.53. 여객선 승무원용 훈련 코스 231

표 5.54. 위탁 코스 231

표 5.55. 2009년도 해상 방재 훈련 실시 계획 233

표 5.56. 2009년도 수강료 등 일람표 234

표 6.1. 중앙소방학교 연혁 243

표 6.2. 중앙소방학교 교육훈련 장비 현황 247

표 6.3. 중앙소방학교 교육 편성 249

표 6.4. 이론과 실무의 적정비율 고려를 통한 교과 전문성 제고 250

표 6.5. 중앙소방학교 교육과정 251

표 6.6. 신임교육 교육훈련 252

표 6.7. 신임교육 교과 편성 252

표 6.8. 기본교육 교육훈련 254

표 6.9. 소방정책관리자 기본교육 교과 편성 255

표 6.10. 소방령 기본교육 교과 편성 257

표 6.11. 소방경 기본교육 교과 편성 258

표 6.12. 소방위 기본교육 교과 편성 259

표 6.13. 전문교육 교육훈련 260

표 6.14. 소방행정전문가 전문교육 교과 편성 262

표 6.15. 소방조직관리자 전문교육 교과 편성 263

표 6.16. 지방현지교관양성 전문교육 교과 편성 264

표 6.17. 현장지휘II 전문교육 교과 편성 265

표 6.18. 현장지휘III 전문교육 교과 편성 266

표 6.19. 긴급대응계획 전문교육 교과 편성 267

표 6.20. 테러대응 전문교육 교과 편성 267

표 6.21. 기후변화재난대응 전문교육 교과 편성 268

표 6.22. 지진재난대응 전문교육 교과 편성 269

표 6.23. 붕괴재난대응 전문교육 교과 편성 270

표 6.24. 산불재난대응 전문교육 교과 편성 271

표 6.25. 대형화재대응 전문교육 교과 편성 272

표 6.26. 화생방재난대응 전문교육 교과 편성 273

표 6.27. 화재조사관자격취득 전문교육 교과 편성 274

표 6.28. 화재폭발조사자격취득 전문교육 교과 편성 276

표 6.29. 안전관리담당관 전문교육 교과 편성 278

표 6.30. 소방통신관리 전문교육 교과 편성 279

표 6.31. 예방행정전문가 전문교육 교과 편성 280

표 6.32. 구조대장 전문교육 교과 편성 281

표 6.33. 특별교육 교육훈련 282

표 6.34. 국제교육 교육훈련 282

표 6.35. 의용소방대교육 교육훈련 283

표 6.36. 의용소방대교육 교과 편성 283

표 6.37. 여성의용소방대교육 교과 편성 284

표 6.38. 의무소방, 사회복무요원교육 교육훈련 284

표 6.39. 민간자원봉사교육 교육훈련 285

표 6.40. 화학사고전문대응과정 290

표 6.41. 화학재난대응기초과정 292

표 6.42. 유해화학물질관리과정 293

표 6.43. 오일 팬 화재(Oil Pan Fire) 303

표 6.44. 펌프 화재(Pump Fire) 304

표 6.45. 핀홀 화재(Pinhole Fire) 305

표 6.46. 오일 팬 화재(Oil Pan Fire) 308

표 6.47. 펌프 화재(Pump Fire) 309

표 6.48. 수직배관 화재(Vertical Flange Fire) 310

표 6.49. 수평배관화재(Overhead Flange Fire) 311

표 6.50. 수평조 화재(Horizontal Vessel Fire) 312

표 6.51. 화재진화 6단계 314

표 6.52. 소화기 316

표 6.53. 호스릴의 구성, 설치지역, 사용 및 관리 317

표 6.54. 모니터의 종류 317

표 6.55. 이동포말발사기 318

표 6.56. 살수장치 318

표 6.57. 화재 진화의 기본기술 319

표 6.58. 포말소화설비의 종류 및 구조 324

표 6.59. 포말주입율 및 주입시간 324

표 6.60. 포말소화설비의 용량 계산방법 324

표 6.61. 포말소요량 계산방법 325

표 6.62. 원추형 지붕탱크 화재진화요령 326

표 6.63. 부상식 지붕탱크 화재진화요령 328

표 6.64. LPG탱크 화재진화요령 330

표 6.65. 생산공정 구역화재 진화요령 333

표 6.66. 압력용기화재 진화요령 335

표 6.67. 송유관화재 진화요령 337

표 6.68. 적재대화재 진화요령 338

표 6.69. 부두화재 진화요령 339

표 6.70. 선박화재 대응교육 340

표 7.1. 응답자 기술통계 요약(제1차) 344

표 7.2. 석유화학 재난대응 종합 교육훈련의 필요성(제1차) 345

표 7.3. 석유화학 재난대응 종합 교육훈련의 필요성(제2차) 345

표 7.4. 종합 교육훈련 대상 집단의 범위(제1차) 346

표 7.5. 종합 교육훈련 대상 집단의 범위(제2차) 346

표 7.6. 가장 우선적으로 실시해야 할 대상 집단(제1차) 348

표 7.7. 가장 우선적으로 실시해야 할 대상 집단(제2차) 348

표 7.8. 입지 평가지표 요인(제1차) 351

표 7.9. 입지 장소(제1차) 352

표 7.10. 입지 평가지표의 중요도 및 우선순위 분석결과(제1차) 353

표 7.11. 지리적 접근성에 따른 입지 후보지역의 중요도 및 우선순위(제1차) 354

표 7.12. 부지확보 가능성에 따른 입지 후보지역의 중요도 및 우선순위(제1차) 355

표 7.13. 주민반발 가능성에 따른 입지 후보지역의 중요도 및 우선순위(제1차) 355

표 7.14. 입지대상 후보지역의 중요도 및 우선순위(제1차) 356

표 7.15. 입지 평가지표 요인(제2차) 358

표 7.16. 입지 장소(제2차) 358

표 7.17. 입지 평가지표의 중요도 및 우선순위 분석결과(제2차) 360

표 7.18. 지리적 접근성에 따른 입지 후보지역의 중요도 및 우선순위(제2차) 361

표 7.19. 부지확보가능성에 따른 입지 후보지역의 중요도 및 우선순위(제2차) 362

표 7.20. 주민반발가능성에 따른 입지 후보지역의 중요도 및 우선순위(제2차) 362

표 7.21. 현장실습훈련 가능성에 따른 입지 후보지역의 중요도 및 우선순위(제2차) 363

표 7.22. 입지대상 후보지역의 중요도 및 우선순위(제2차) 364

표 7.23. BTO 방식과 BTL 방식의 비교 365

표 7.24. 설립 주체(제1차) 367

표 7.25. 운영 주체(제1차) 367

표 7.26. 설립 주체(제2차) 368

표 7.27. 운영 주체(제2차) 368

표 7.28. 비용부담 비율(제1차) 370

표 7.29. 비용부담 비율(제2차) 370

표 7.30. 교육훈련 이수자에 대한 인증방안(제1차) 371

표 7.31. 교육훈련 이수자에 대한 인증방안(제2차) 371

표 7.32. 교육훈련 효과를 높이기 위한 방안(제1차) 372

표 7.33. 교육훈련 효과를 높이기 위한 방안(제2차) 373

표 7.34. 교육훈련시설별 중요도(제1차) 374

표 7.35. 교육훈련시설별 중요도(제2차) 375

표 7.36. 현장실습 교육훈련장별 중요도(제1차) 377

표 7.37. 현장실습 교육훈련장별 중요도(제2차) 377

표 7.38. 교육훈련 시설물별 중요도(제1차) 379

표 7.39. 교육훈련 시설물별 중요도(제2차) 380

표 7.40. 교육훈련시설의 중요도에 대한 판단 기준(제1차) 381

표 7.41. 교육훈련시설의 중요도에 대한 판단 기준(제2차) 382

표 7.42. 프로그램 구성 시 이론과 실무의 비율 382

표 7.43. 석유화학 관련 위험물질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분류체계(제1차) 383

표 7.44. 석유화학 관련 위험물질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분류체계(제2차) 384

표 7.45. 석유화학 재난대응 종합 교육훈련의 수준별 분류(제1차) 387

표 7.46. 석유화학 재난대응 종합 교육훈련의 수준별 분류(제2차) 387

표 8.1. 교육 및 연구시설 면적 산정 394

표 8.2. 석유화학 재난대응 공통 교육과정 405

표 8.3. 석유화학 재난의 이해 교육과정 406

표 8.4. 석유화학 재난대응체제의 이해 교육과정 407

표 8.5. 상황의 접수 및 위험성 평가 교육과정 408

표 8.6. 초등대응활동 교육과정 412

표 8.7. 현장 재난대응활동 교육과정 414

표 8.8. 사후관리활동 교육과정 417

표 8.9. 현장실습 교육과정안 418

표 8.10. 화재·폭발사고 대응 교육훈련과정 419

표 8.11. 누출사고 대응 교육훈련과정 425

표 8.12. 지진등 자연재해로 인한 재난대응 교육훈련과정 426

표 8.13. 수준별·대상자별 표준교육지침(POM) 427

그림 2.1. 석유화학 수요산업의 생산계통도 33

그림 2.2. 석유화학의 부가가치 창출 사례 37

그림 2.3. 국내석유화학산업의 발전과정 44

그림 2.4. 국내 석유화학산업제품 계통도(총괄) 46

그림 3.1. 플릭스보로 폭발사고 55

그림 3.2. 멕시코시티 LPG 저장탱크 BLEVE 사고 58

그림 3.3. 필립스 파사디나 HDPE Plant 사고 60

그림 3.4. 영국 ConocoPhillips Humber Refinery 사고 61

그림 3.5. 미국 BP 정유공장 폭발사고 62

그림 3.6. 영국 Buncefield Oil Storage Depot 사고 63

그림 3.7. 일본 미츠비시 공장화재 사고 64

그림 3.8. MEK-PO 폭발사고 69

그림 3.9. 헥산 누출 사고 70

그림 3.10. HOUrhdwjd 반응기 화재사고 71

그림 3.11. 파열된 LP 원료탱크 상부와 탱크내부의 발화 추정지역 72

그림 3.12. 황제거 반응기 폭발사고 74

그림 3.13. 하부에서 누출 및 화재가 발생한 가솔린 분리탑 75

그림 3.14. 화재 발생부위의 모습 76

그림 3.15. 폭발사고가 발생한 저장탱크와 세척작업을 위해 개방한 맨홀 77

그림 3.16. 원유탱크 화재 79

그림 3.17. 석유화학단지 연도별 사고건수 81

그림 4.1. 통합형 재난대응체제의 모형화 100

그림 4.2. 울산석유화학단지 위치도 102

그림 4.3. 여수석유화학단지 위치도 107

그림 4.4. 소방관서와의 거리 109

그림 4.5. 대산 석유화학단지 조감도 111

그림 5.1. TEEX의 주요 교육훈련시설 121

그림 5.2. 석유화학 사고 대비 Simulation 134

그림 5.3. 모의 화재 대비 훈련 135

그림 5.4. 각종 시설물 모의 화재 진압 훈련 136

그림 5.5. 위험 물질 훈련 시설 137

그림 5.6. FSA 시설 전경 149

그림 5.7. FSA 재난 대비 훈련 154

그림 5.8. 영국소방대학 NTA 수상 자료 164

그림 5.9. 영국 소방 대학 온라인 교육 시스템 166

그림 5.10. Fire Learn 교육과정 운영 실태 167

그림 5.11. 영국 소방학교 사진 168

그림 5.12. 영국 소방학교 시설 169

그림 5.13. 영국소방대학 여가 및 숙박시설현황 172

그림 5.14. 영국소방대학 교습 시설 현황 174

그림 5.15. 영국소방대학 사고 대응 훈련 시설 현황 178

그림 5.16. 영국소방대학 석유화학 관련 훈련 시설 현황 199

그림 6.1. 중앙소방학교 조직체계 244

그림 6.2. GS칼텍스의 소방훈련 모습 295

그림 6.3. 전체적인 소방훈련장 개요도 296

그림 6.4. 소방훈련장(소방교육강의장) 297

그림 6.5. Oily Water Separator 298

그림 6.6. 유류화재진화시설 개요도 298

그림 6.7. 각 훈련시설(장치) 모습 299

그림 6.8. 수평조 화재(Horizontal Vessel Fire) 진화훈련 모습 301

그림 6.7. 강행침입 306

그림 7.1. BTL 방식 366

초록보기 더보기

I. 연구제목

석유화학 재난대응 종합 교육·훈련 프로젝트 개발 연구

II. 연구목적

석유화학, 가스, 유해화학물질 등 재난·안전관리 종사자 및 전문재난관리자의 재난관리 능력 제고를 위한 석유화학 재난대응 종합 교육·훈련 프로젝트 개발연구

III. 연구내용

1. 국제적 브랜드를 갖춘 전문종합교육·훈련 메커니즘 개발

가. 석유화학콤비나트에 대한 국내·외 교육·훈련 실태조사 분석

나. 공무원, 관련업체 종사자, 관련전문가 등에 대한 필요성 수렴

다. 공무원, 관련업체 종사자, 관련전문가별 교육·훈련 범위 예측 등

2. 석유화학 재난대응 종합교육·훈련시설 설치 운영체계 개발

가. 교육·훈련장 설치장소, 입지조사·분석 및 운영주체 연구

나. 석유화학 물질별 현장 교육·훈련시설 모델 연구

다. 교육·훈련시설 설치 및 교육·훈련 등에 따른 비용부담 방안

라. 교육·훈련시설 설치 및 위탁기관 관련 기준 마련

마. 교육·훈련 이수자에 대한 인증 방안 등

3. 석유화학물질 특성에 맞는 단계별 종합교육·훈련모델 개발

가. 교육대상자 및 현장 근무조건에 맞는 맞춤형 교육과정 연구

나. 인근기업과 유관기관 등이 참여하는 종합훈련 프로그램 모델 연구

다. 현장교육이 어려운 분야에 대한 교육·훈련과정 프로그램 모델 연구

4. 화재 진행에 따라 건물의 구조형식과 구조특성 사용재료에 따른 건물붕괴 메커니즘 분석

IV. 주요 연구 성과

1. 석유화학 관련 재난 발생 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대응체제 확립 및 교육훈련

2. 석유화학 재난대응 교육훈련시설의 집적화를 통한 관련 지식의 공유 및 재난 대응 능력 향상

3. 석유화학 관련 위험물질 분야의 선도적 재난 대응 교육훈련 모델 구축

4. 중장기적으로 축적된 석유화학 재난 대응 교육훈련 프로그램 및 재난 대응 노하우의 해외 수출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T000033934 전자형태로만 열람 가능함 전자자료 이용불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