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초고층ㆍ복합건축물 밀집지역 대규모 피해확산 방지 및 경감 모델 개발. 상, 하 / 소방방재청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소방방재청, 2010
청구기호
363.1172 -10-5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2책 : 삽화 ; 26 cm
총서사항
NEMA 인적 ; 2009-19
제어번호
MONO1201027520
주기사항
연구기관: 경원대학교 초고층방재전략연구소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vol1

표제지 1

목차 2

1. 사고·피해확산 예측 시뮬레이터 적용방안과 사전재난영향성 검토 및 평가기술 개발 3

제출문 4

요약문 6

SUMMARY 9

제1장 서론 21

1.1. 연구의 필요성 21

1.2. 연구의 목표 및 내용 25

1.2.1. 연구의 목표 25

1.2.2. 연구의 내용 26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29

2.1. 피난성능 확보 등 특별법 제도 지원 연구 29

2.1.1. 세계유수의 초고층 건물의 피난 및 방재시설 비교 분석 29

2.1.2. 초고층 건축물의 피난방재시설 비교분석 31

2.1.3. 국내·외 초고층 건축물 방재시설 비교분석 65

2.2. 초고층 건축물의 피난·방재시설에 관한 국내외 설계기준의 비교분석 68

2.2.1. 개요 68

2.2.2. 피난성능별, 구성요소별 각국의 설계기준 현황[내용누락;p. 75-76] 68

2.2.3. 초고층복합건축물과 지하연계복합건축물의 개념정의 및 시사점 146

2.3. 일본의 방재계획 평정제도 153

2.3.1. 개념과 운용기준 154

2.3.2. 방재계획 관련 설계방안의 인·허가 과정 155

2.3.3. 설계 및 평정과정 158

2.3.4. 평정기관-일본건축센터 163

2.3.5. 평정절차 163

2.3.6. 평정의 내용과 대상 165

2.3.7. 평정위원회의 구성 178

2.4. 미국 및 해외국가의 방재성능평가제도 180

2.4.1. 접근방식 비교 180

2.4.2. 성능규정과 사양기준의 관계 183

2.4.3. 재난영향평가 관련 설계방안의 인·허가 과정 185

2.4.4. 재난영향평가 관련 설계절차 및 기준의 비교 187

2.4.5. 재난영향평가 관련 설계결과의 문서화 비교 190

2.4.6. 재난영향평가 관련 방재설계의 전문가 194

2.4.7. 성능규정 및 평가 관련기관 198

2.4.8. 분석결과 및 시사점 199

2.5. 국내 유사 사전재난영향평가제도 202

2.5.1. 국내 영향평가제도의 현황 202

2.5.2. 사전 교통·환경·재해영향성평가제도 비교 분석 205

2.5.3. 사전 교통·환경영향성평가제도 심의기관 비교 분석 208

2.5.4. 사전재해영향성평가제도 분석 214

2.5.5. 분석결과 및 시사점 224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226

3.1. 국내 초고층. 지하건축물의 재난유형 정립 226

3.2. 화재유형별 피해예측시뮬레이션 적용연구 결과 분석 230

3.2.1. 서론 230

3.2.2. 개발 방법 231

3.2.3. Modeling 정보 233

3.2.4. Modeling 방법(Tutorial) 236

3.2.5. 3DSkyViewer 241

3.3. RFID를 이용한 피난정보 시스템 연구 260

3.3.1. 연구 진행 260

3.3.2. 피난실 내부 인원 파악을 위한 RFID 시스템 262

3.3.3. 피난실 출입인원 파악을 위한 RFID 시스템 266

3.3.4. 결과 요약 270

3.4. 신축 및 기존 건축물의 재난영향성에 대한 검토 항목별 평가방법 정립 271

3.4.1. 영향성검토의 기본개념 및 구조 271

3.4.2. 평가 및 협의대상 273

3.5. 사전재난영향성검토 평가분야, 평가항목 및 평가내용 구성 276

3.5.1. 평가분야별 평가방법의 구분 276

3.5.2. 평가분야별 평가항목 및 평가내용의 구성 279

3.5.3. 평가등급 구분과 평가기준 및 평가방법 286

3.6. 사전재난영향성검토협의 절차와 방법 및 건축허가에의 반영 방안 288

3.6.1. 사전재난영향성검토협의 위원회 구성 및 운영 방안 288

3.6.2. 검토협의 검토 절차 및 필요 서류 292

3.6.3. 건축허가에의 반영 및 검토협의의 권한 297

제4장 연구개발 목표 달성도 및 대외기여도 299

4.1. 목표 달성도 299

4.2. 대외기여도 301

4.2.1. 기술적 측면 301

4.2.2. 경제·산업적 측면 301

4.2.3. 사회·문화적 측면 302

제5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303

2. 예방 및 피해확산 경감기술 개발을 위한 기획연구 308

제출문 309

요약문 312

SUMMARY 315

제1장 서론 326

1.1. 연구개발의 필요성 326

1.1.1. 기술적 측면 326

1.1.2. 경제·산업적 측면 329

1.1.3. 사회·문화적 측면 330

1.1.4. 앞으로의 전망 330

1.2.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332

1.2.1. 연구개발의 목표 332

1.2.2.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332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334

2.1. 국내 기술개발 현황 334

2.1.1. 국내 초고층 건축물 현황 및 발전동향 334

2.1.2. 국내 정책 동향 338

2.1.3. 국내 주요 초고층 건축물의 방재 현황 340

2.2. 국외 기술개발 현황 341

2.2.1. 세계 초고층 건축물 현황 및 발전동향 341

2.2.2. 해외 방재관련 현황 345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375

3.1. 연구개발수행 내용 375

3.1.1. 초고층 건축물의 특성 375

3.1.2. 초고층 건축물 관련 고려요소 379

3.1.3. 초고층 건축물 관련 규정 분석 388

3.1.4. 초고층 건축물의 화재특성 396

3.1.5. 초고층 건축물에서의 지진 403

3.1.6. 초고층 건축물의 돌풍, 태풍 등의 재난대비 420

3.1.7. 지역통합형 감지 및 조기경보 설비 430

3.1.8. 초고층 건축물에서의 피난 434

3.1.9. 재난 대응관리체계 441

3.1.10. 초고층 건축물내의 유해물질 453

3.1.11. 건축물 특성에 맞는 강화된 시설안전기준 연구 456

3.2. 연구개발 결과 494

3.2.1. 재난 유형별 피해 방지를 위한 설계기준 방향 제시 494

3.2.2. 재난 징후 감지 및 조기경보 기술 개발기획 연구 503

3.2.3. 지역단위 감지 및 조기경보 네트워크 구축기술 개발 기획 연구 508

3.2.4. 대응장비의 유형 및 비축관리 기술 개발 기획 연구 512

3.2.5. 건물 및 지역의 피난설비 및 유도 기술 개발 기획 연구 521

3.2.6. 소방방재설비의 기술요건과 기준, 설비간 연동기술, 설비간 성능설계 적용기술 등 기획연구(법(안) 제9조제2항 관련기술) 525

3.2.7. 유해위험물질 관리 관련기술 기획 연구 553

3.2.8. 건축물 특성에 맞는 강화된 시설안전기준 개발 기획 연구 567

제4장 연구개발 목표 달성도 및 대외기여도 604

4.1. 연구목표 달성도 604

4.2.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605

4.2.1. 기술적 측면 605

4.2.2. 경제·산업적 측면 606

4.2.3. 법적 측면 607

4.2.4. 사회적 측면 608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609

5.1. 추가연구의 필요성 609

5.2. 실용화 및 추진방안 611

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613

참고문헌 620

제6장 참고문헌 304

3. 사고대응시스템 개발 A Study on the Emergency Action Plan 629

제출문 630

요약문 632

SUMMARY 636

제1장 서론 648

1.1. 연구의 목적 648

1.2. 연구의 목표와 내용 650

1.2.1. 연구의 목표 650

1.2.2. 연구의 내용 650

1.3. 연구의 방법과 구성 653

1.3.1. 연구의 방법 653

1.3.2. 연구의 구성과 흐름도 655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656

2.1. 국내외 종합방재실 구축 모델 사례 조사 656

2.1.1. 미국 656

2.1.2. 일본 659

2.1.3. 두바이 668

2.1.4. 한국 669

2.2. 국내외 비상대응계획 수립 사례 조사 671

2.2.1. RCNY §6-02: 사무실용 건물 응급행동계획 671

2.2.2. Colombus Division of Fire : Safety Program and Emergency Procedures for High-Rise Building 675

2.2.3. 싱가폴 소방국의 비상대응계획 677

2.2.4. Burj 두바이 : 초고층 빌딩에서의 위기 대응계획 682

2.2.5. 일본의 비상대응계획 수립 689

2.2.6. 코엑스의 소방계획 700

2.2.7. 63빌딩의 방재안내 - 63시티 비상대응시스템 702

2.3. 국내외 초기대응조직의 조직 및 운영 706

2.3.1. 일본의 자위소방대 706

2.3.2. 한국의 자위소방대 711

2.4. 국내외 재난대응 협력체계 716

2.4.1. 미국 716

2.4.2. 일본 717

2.4.3. 한국 719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720

3.1. 초고층 건물의 개요와 사고사례 분석 720

3.1.1. 초고층 건물의 정의 720

3.1.2. 초고층 건물의 현황 724

3.1.3. 국내외 초고층 건물의 사고사례 731

3.1.4. 초고층 건물의 사고대응 시스템 문제점 도출 750

3.1.5. 미국 NIST의 WTC 화재폭발사고 조사 제안사항 758

3.2. 종합방재실 구축을 위한 표준모델 개발 760

3.2.1. 종합방재실의 구성과 역할 765

3.2.2. 종합방재실의 주요 설비 시스템 770

3.2.3. 종합방재실의 설치기준 779

3.2.4. 종합방재실의 운영 788

3.2.5. 초고층 및 지하연계 복합건축물의 종합방재실 보유도서 791

3.3. 재난관리종합시스템의 구축 794

3.3.1. 재난관리의 과정과 내용 794

3.3.2. 사고대응시스템 800

3.3.3. 재난대응 구분 단계 표준모델 803

3.4. 비상대응계획수립 및 재난관리자의 표준행동모델 개발 822

3.4.1. 비상대응계획 수립을 위한 조사 822

3.4.2. 비상대응계획 운영인원의 조직 및 운영 829

3.4.3. 비상대응계획 수립을 위한 단계 842

3.4.4. 비상대응계획 수립 일반요건 844

3.4.5. 비상대응계획의 시험 및 유지관리 849

3.4.6. 비상대응계획 운영을 위한 지침 852

3.5. 초기대응조직의 조직 및 운영 874

3.5.1. 초고층 빌딩 및 지하복합건축물의 방재안전관리자의 사례 878

3.5.2. 초기대응조직의 조직 및 운영 방안 885

3.6. 지휘대응체계 확립 및 지원조직 간의 협력체계 구축 연구 903

3.6.1. 재난 대응체계 사례 분석 : 미국 903

3.6.2. 재난 대응체계 사례 분석 : 일본 926

3.6.3. 재난 대응체계 사례 분석 : 한국 936

3.6.4. 정보전달 체계 구축 945

3.6.5. 지휘대응체계와 지원조직과의 협력 체계 955

3.6.6. 초고층 및 지하연계 복합건축물의 재난발생 시 현장대응, 상황파악·운영, 상황관리, 응급구조, 초기대응 등 965

3.6.7. 지역방재 특수조직 구성 968

3.7. 초고층 및 지하연계 복합건축물 재난관리 특별법 시행령·규칙(안) 작성 연구 980

3.7.1. 17조 재난관리종합시스템의 구축 980

3.7.2. 20조 설계도서의 비치 984

3.7.3. 21조 재난대응 및 지원체계 구축 988

3.7.4. 22조 초기대응조직의 운영 997

3.7.5. 23조 재난정보의 공유 및 전파 1004

3.7.6. 24조 피난 및 피난유도 1008

3.8. 결론 및 제언 1012

제4장 연구개발 목표 달성도 및 대외기여도 1016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1020

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1022

제7장 참고문헌 1023

vol2

표제지 1027

목차 1028

4. 초고층 및 복합건축물의 재난관리방안 1029

제출문 1030

요약문 1032

SUMMARY 1034

제1장 서론 1041

1.1. 연구의 필요 1041

1.2. 연구목적 1043

1.3. 연구범위 1043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1046

2.1. 외국의 기술개발 현황 1046

2.1.1. 일본 1046

2.1.2. 미국 1061

2.2. 국내의 기술개발 현황 1082

2.2.1. 서울시 초고층 관련 규정(테러예방 및 안전 관리계획 기준) 1082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1086

3.1. 재난예방 및 피해경감계획서 작성 지침 연구 1086

3.1.1. 재난관리계획 사항과 피해경감을 위한 대책수립 절차 1086

3.1.2. 재난예방 및 피해경감 활동에 관한 실무조직 구성 1106

3.1.3. 재난예방 및 피해경감 계획서 작성 및 제출, 시행 1139

3.1.4. 피해경감지침서 작성 기준 1153

3.1.5. 피해경감계획서(안) 1184

3.2. 교육훈련 및 홍보방안 연구 1184

3.2.1. 초고층 및 복합건축물의 재난관리를 위한 교육·훈련 방안 1184

3.2.2. 교육·훈련 커리큘럼 1213

3.2.3. 재난대응 홍보방안 1221

3.3. 종합방재실 및 재난관리종합시스템 연구 1230

3.3.1. 재난관리종합시스템 사례 조사 및 문제점 도출 1230

3.3.2. 종합방재실 구축에 필요한 요소 도출 1245

3.3.3. 관리 주체에 따른 재난관리 종합시스템 설계방안 마련 1255

3.4. 재난시나리오별 매뉴얼 작성 연구 1273

3.4.1. 재난유형별 매뉴얼 작성 1273

3.4.2. 유형별 시나리오에 따른 대응 매뉴얼 1301

3.5. 특별법 시행령/시행규칙 관련 조항 연구 1302

3.5.1. 유해위험물질 정의 1302

3.5.2. 피해경감계획서 1311

3.5.3. 교육훈련 1320

3.5.4. 유해위험물질 관리 1331

3.5.5. 총괄재난관리자의 자격 1339

제4장 연구개발 목표 달성도 및 대외기여도 1341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1343

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1344

제7장 참고문헌 1345

5. 상황관리시스템 연구 Developing of Emergency Management System 1350

제출문 1351

요약문 1355

SUMMARY 1358

제1장 서론 1365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365

1.2. 연구의 범위 1366

1.3. 연구의 방법 1366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1368

2.1. 상황관리시스템 1368

2.1.1. 국내사례 1368

2.1.2. 해외사례 1384

2.2. 유관기관 정보연계 1403

2.2.1. 국내사례 1403

2.2.2. 해외사례 1408

2.3. 초고층 및 복합건축물의 운영 1409

2.3.1. 국내사례 1409

2.3.2. 해외사례 1412

제3장 연구개발 수행 내용 및 결과 1416

3.1. 초기대응조직의 구성 및 운영 1416

3.1.1. 코엑스의 초기대응조직의 구성 1416

3.1.2. 초기대응조직의 조직 및 운영 방안 1435

3.2. 상황관리시스템 개발방안 1452

3.2.1. 상황관리시스템 도출 1452

3.2.2. 상황관리시스템 개발방향 1465

3.2.3. 상황관리시스템 기술개발방향 1467

3.3. 정보연계시스템 개발방안 1480

3.3.1. 유관기관 정보연계방안 1480

3.3.2. 정보연계시스템 개발방향 1492

3.3.3. 정보연계 기술개발방향 1493

3.4. 상황관리 기획연구 1501

3.4.1. 연구의 개요 1501

3.4.2. 재난상황관리시스템 연구의 접근방법 1502

3.4.3. 인위재난 상황처리절차 분석 1514

3.4.4. 국내외 초고층 건축물 사고사례 분석 1522

3.4.5. 국내외 재난관련 ICT표준화 동향 1525

3.4.6. 재난에 따른 상황관리기술분야 1544

3.4.7. 건물 및 지역상황관리를 위한 기술분야 1555

3.4.8. 건물유형 및 지역정보표현기술개발 방안 1559

3.4.9. Data연계방법 및 활용방안 1565

제4장 연구개발 목표 달성도 및 대외기여도 1569

4.1. 연구목표달성도 1569

4.2. 대외기여도 1573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1574

5.1. 결론 1574

5.2. 정책제언 1575

5.3. 활용방안 1575

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과학기술정보 1578

제7장 참고문헌 1579

6. 비상대응계획 운영을 위한 지침 1582

7. 별첨 1607

별첨 1. 피해경감계획서(안) 1608

별첨 2. 교육커리큘럼(안) 1630

별첨 3. 유형별 시나리오에 따른 대응 매뉴얼(안) 1646

8. 초고층 및 지하연계복합건축물의 사전재난영향성검토 평가지침 1665

초고층 및 지하연계복합건축물의 사전재난영향성검토 평가지침(사무용도) 1666

초고층 및 지하연계복합건축물의 사전재난영향성검토 평가지침(판매용도) 1697

초고층 및 지하연계복합건축물의 사전재난영향성검토 평가지침(호텔용도) 1728

1. 사고·피해확산 예측 시뮬레이터 적용방안과 사전재난영향성 검토 및 평가기술 개발 20

표 2.1. (재)일본건축센터의 평정 위원회 일람표 178

표 2.2. 국가별 성능기준 관련 규정형태 183

표 2.3. 국가별 기존 사양규정과 성능규정과의 관계 184

표 2.4. 국가별 성능위주 항목의 적용방식 184

표 2.5. 미국과 일본의 건축물 방재영향평가체계 비교 200

표 2.6. 국내 사전영향평가 종류별 관련 협의대상 203

표 2.7. 교통·환경·재해 등 사전영향평가의 평가내용 204

표 2.8. 교통·환경·재해영향평가제도 운영기반 비교 206

표 2.9. 교통·환경·재해영향평가제도 협의·심의제도 비교 208

표 2.10. 교통영향평가 위원회의 구성 및 운영제도 현황 209

표 2.11. 환경영향평가 위원회의 구성 및 운영제도 현황 210

표 2.12. 중앙건축위원회의 위원장 및 위원의 자격과 임기 212

표 2.13. 사전재해영향평가 평가대행자의 기술자격 222

표 2.14. 사전재해영향평가 위원회의 구성 및 운영제도 현황 223

표 2.15. 사전 영향성평가제도의 심의·검토체제 비교 225

표 3.1. 건축물 요소별 평가대상과 평가방법 및 기준의 접근방식 273

표 3.2. 일본 고층건축물 방재계획 작성 및 협의·평가대상 275

표 3.3. 한국의 사전재난영향성 검토 및 협의대상(법 제2조) 276

표 3.4. 사전재난영향성검토 평가분야별 평가방법 278

표 3.5. 사전재난영향성검토 평가항목 및 평가내용 구성원칙 280

표 3.6. 사전재난영향성검토 평가등급별 평가기준 및 평가방법 287

표 3.7. 사전재난영향성검토협의 위원회의 전문위원회별 담당평가분야 290

표 3.8. 사전재난영향성검토협의시 평가분야별 필요도서의 종류 296

2. 예방 및 피해확산 경감기술 개발을 위한 기획연구 324

표 2.1. 국내 초고층 건물의 역사 334

표 2.2. 국내 주요 초고층 건축물 현황 335

표 2.3. 국내 주요 초고층 건축물 예정 공정표 336

표 2.4. 세계 초고층 빌딩 건설 동향(400m이상) 344

표 2.5. 일본 내화구조 기준 346

표 2.6. 건축법에 관한 Nordic Committee 제안한 성능위주 법규구조 349

표 2.7. 초고층 건축물 주요 화재 사례 351

표 3.1. 외국의 초고층 건물 관련 기준 389

표 3.2. 화재의 진행에 따른 관련 규정의 구분 390

표 3.3. 각 Code의 비교 393

표 3.4. 국내 초고층 주상복합건축물에서 소방시스템을 자진 설치한 예 394

표 3.5. 막다른 복도에 관한 주요 규정 395

표 3.6. 우리나라 진도 5이상 지진 발생 지역 404

표 3.7. 지진규모에 따른 현상 405

표 3.8. 국토안보부(DHS) 조직의 주요 업무 내용 444

표 3.9. 영국의 재난관리체계 구성도 446

표 3.10. 일본의 재난관리체계 구성도 450

표 3.11. 재난안전실 구성도 452

표 3.12. 소방방재청 구성도 452

표 3.13. 옥내소화전설비의 방수압 및 방수량 458

표 3.14. 스프링클러설비의 방수압 및 방수량 459

표 3.15. 중간 가압송수장치의 방수압 및 방수량 460

표 3.16. 옥외소화전설비의 방수압 및 방수량 460

표 3.17. 가압송수장치(소화펌프) 방식의 효율적 계통 구성 472

표 3.18. 가압송수장치(고가수조방식)의 효율적 계통 구성방안 474

표 3.19. 소화시설 개별 구성 방식 476

표 3.20. 소화시설 통합 구성 방식 477

표 3.21. 국내 소방차의 제원(Specification)과 회전반경 517

표 3.22. 보유 현황별 및 실제 최고도달높이 519

표 3.23. 스프링클러설비 설치장소별 스프링클러헤드의 기준개수 568

표 3.24. 옥내소화전의 용도별 수원확보기준(NFPA13) 569

표 3.25. 스프링클러의 용도별 수원확보기준(NFPA13) 569

표 3.26. NFPA 위험용도의 분류 570

표 3.27. 스프링클러헤드 수별 급수관의 구경(스프링쿨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 NFSC 103) 571

표 3.28. 경급위험용도에서의 헤드 개수에 대한 스프링클러배관구경 설정기준 573

표 3.29. 중급위험용도에서의 헤드 개수에 대한 스프링클러배관구경 설정기준 573

표 3.30. 규약배관방식의 최소 소요급수용량기준 574

표 3.31. 수리배관방식의 최소 소요급수용량기준 575

표 3.32. 용도에 따른 살수반경과 살수밀도 577

표 3.33. 위험용도의 분류 578

표 3.34. 위험용도별 스프링클러헤드간 최대거리 578

표 3.35. 감지기 부착높이별 적용 감지기 581

표 3.36. 차동식스포트형·보상식스포트형 및 정온식스포트형 감지기 582

표 3.37. 열반도체식 차동식분포형감지기 582

표 3.38. 연기감지기 583

표 3.39. 열감지기의 직선 간격 584

표 3.40. 화재 경보음 크기에 대한 권장치 588

표 3.41. 통로길이 및 수직거리에 따른 기준량-바닥면적이 400㎡ 미만 591

표 3.42. 수직거리에 따른 기준량-바닥면적 400㎡ 이상, 직경 40m 안 591

표 3.43. 수직거리에 따른 기준량-바닥면적 400㎡ 이상, 직경 40m 초과 592

표 3.44. 수직거리에 따른 기준량-통로인 경우 592

3. 사고대응시스템 개발 A Study on the Emergency Action Plan 646

표 2.1. 미국과 일본의 방재실 설치 규정 비교 666

표 2.2. 한국 자위소방대원의 임무 715

표 3.1. 국가별 초고층 건축물 기준 723

표 3.2. 세계의 초고층 건축물 현황 725

표 3.3. 세계의 초고층 건축물의 용도 사용 현황 726

표 3.4. 한국의 초고층 건축물 현황 731

표 3.5. 국내·외 초고층 건물의 주요 사고발생 현황 745

표 3.6. 주요 화재사고의 원인 분석 747

표 3.7. 화재사고 분류체계 748

표 3.8. 사고대응에서 발생한 문제 749

표 3.9. 건축법상 피난관련 규정 751

표 3.10. 건축법상 방화구획의 면적 제한(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4조) 752

표 3.11. 초고층 건물에 필요한 소방법상 소방 설비(소방시설 설치 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별표 4) 753

표 3.12. 초고층 건축물의 방재관련 기준 754

표 3.13. 화재의 진행에 따른 관련 규정의 구분 755

표 3.14. 종합방재실 구성 및 운영 760

표 3.15. 시설물 안전관리에 대한 특별법에서의 관련 서류 791

표 3.16. 건축법 시행규칙에서의 관련 서류 792

표 3.17. 재난관리 과정과 활동 내용 798

표 3.18. 재난대응단계의 구분 804

표 3.19. 화재상황에 따른 대응수준 구분 805

표 3.20. 침수상황에 따른 대응수준 구분 806

표 3.21. 테러상황에 따른 대응수준 구분 807

표 3.22. 지진상황에 따른 대응수준 구분 808

표 3.23. 지진 진도표 809

표 3.24. 강풍상황에 따른 대응수준 구분 810

표 3.25. 비상대응계획 조직의 평상시와 비상시 행동요령 818

표 3.26. 비상대응계획 수립 지침 사례 822

표 3.27. 비상대응계획 조직 구성 사례 830

표 3.28. 재난 상황 별 정보 전파 범위 855

표 3.29. 화재발생 대응조직별 절차 863

표 3.30. 침수 상황 발생 대응조직별 절차 864

표 3.31. 테러 상황 발생 대응조직별 절차 865

표 3.32. 지진 상황 발생 대응조직별 절차 866

표 3.33. 붕락 상황 발생 대응조직별 절차 867

표 3.34. 피난시설 표시 지침 사례 비교 868

표 3.35. 초기대응조직 구성 및 자격 사례 874

표 3.36. 방화관리대상물 및 방화관리자 선임자격요건(공공기관 방화관리자 제외) 879

표 3.37. 전기안전관리자의 기술자격 882

표 3.38. 도시가스사업법 상 안전관리자의 자격 883

표 3.39. 재난 유형에 따른 초기대응조직의 대응 판단기준 895

표 3.40. 미국의 비상지원 기능과 범위 907

표 3.41. 초고층에 적용되는 직원의 수 909

표 3.42. 비상시 기관의 역할 분담 910

표 3.43. 건물 화재에 대한 소방 부대 운용 기준 911

표 3.44. 긴급구조통제단 부서별 임무 등(서울특별시의 예) 966

4. 초고층 및 복합건축물의 재난관리방안 1039

표 1.1. 연구개발 범위 1044

표 2.1. 비상행동계획 관리자 현장 테스트 형식 1064

표 2.2. 뉴욕시에서 승인한 교육 기관 교육 내용 1067

표 2.3. Eapdirector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교육 내용 1068

표 3.1. 국내 법령에 따른 안전관리 계획서 항목 1086

표 3.2. 안전관리 계획서 항목 비교(1) 1100

표 3.3. 안전관리 계획서 항목 비교(2) 1102

표 3.4. 국내 법령에서 안전관리계획 등에 관한 규정 내용 1139

표 3.5. 건축물기본현황 정보를 위한 양식 1155

표 3.6. 건물 배치도 및 도면 양식 1156

표 3.7. 방화·소방 시설현황 1157

표 3.8. 위험물 시설현황 1158

표 3.9. 화재발생의 우려가 있는 설비의 현황 1159

표 3.10. 부근 안내도(방위, 부지 경계선, 근처의 소방서 위치와 소방차 루트/거리/소요시간을 명확히 기입 할것) 1160

표 3.11. 재난관리조직별 업무 작성 양식 1163

표 3.12. 재난관리조직별 교육 분석 1172

표 3.13. 재난관리조직별 교육계획 1174

표 3.14. 재난관리조직의 훈련계획 1175

표 3.15. 점검 정비반 편성표 1177

표 3.16. 시설 정비 보완 기록부 1178

표 3.17. 통제구역 운영 기록부 1180

표 3.18. 순찰 일지 1181

표 3.19. 국내외 소방관련 교육훈련 규정 1185

표 3.20. 국내 교육 훈련 관련 규정 1187

표 3.21. 전기안전관리 교육 과정별 교육대상자 1190

표 3.22. 전기안전관리 교육 과목 1190

표 3.23. 지락사고 검출 및 감전예방 접지 교육 1191

표 3.24. 전기설비안전설계 및 공사 교육 1191

표 3.25. 방화관리자 및 위험물안전관리자 교육 내용 1192

표 3.26. 승강기 안전관리자 교육 내용 1193

표 3.27. 재난관리자격 중 입문과정에 관한 교육 내용(45시간) 1195

표 3.28. 재난관리자격 중 기본과정 I에 관한 교육 내용(45시간) 1196

표 3.29. 재난관리자격 중 기본과정II에 관한 교육 내용(45시간) 1197

표 3.30. 재난관리자격 중 실무과정에 관한 교육 내용(24시간) 1200

표 3.31. 재난관리자격 중 전문과정에 관한 교육 내용(12시간) 1201

표 3.32. 중앙소방학교 재난유형별 대응 교육 1202

표 3.33. 방재센터 기술 강습 내용 및 시간 1209

표 3.34. 방재센터 실무 강습 내용 및 시간 1210

표 3.35. 국내외 교육훈련 내용 비교(1) 1214

표 3.36. 국내외 교육훈련 내용 비교(2) 1217

표 3.37. 재난관리자별 교육 과목 1219

표 3.40. 63빌딩 피난시설 보유현황 1223

표 3.41. 63빌딩 대피계획 1225

표 3.42. 코엑스 트레이드타워/아셈타워 피난장소 및 대피로 1226

표 3.43. 코엑스 지하몰/주차장 피난장소 및 대피로 1227

표 3.44. 버즈두바이 주요 방재설비 1242

표 3.45. 유해물질관리 규정비교 1269

표 3.46. 재난경보 수준 1275

표 3.47. 재난조직별 책임 및 역할 1277

5. 상황관리시스템 연구 Developing of Emergency Management System 1364

표 3.1. 방화관리대상물 및 방화관리자 선임자격요건(공공기관 방화관리자 제외) 1417

표 3.2. 전기안전관리자의 기술자격 1420

표 3.3. 도시가스사업법 상 안전관리자의 자격 1423

표 3.4. 고압가스안전관리법 상 안전관리자의 자격 1426

표 3.5. 위험물안전관리자의 자격 1431

표 3.6. 재난 유형에 따른 초기대응조직의 대응 판단기준 1438

표 3.7. 소방활동정보 카드 1486

표 3.8. 소방시설 현황표 1487

표 3.9. 건물개황표 1488

표 3.10. 소방검사결과 조치사항표 1489

표 3.11. 소방활동 계획도 1490

표 3.12. 소방활동계획표 1491

표 3.13. 참여기관별 역할분담 1517

표 3.14. 유해화학물질 사고발생 특성 1518

표 3.15. 참여기관별 주요임무 1519

표 3.16. 국내·외 초고층 건축물 사고사례 현황 1523

표 3.17. 화재사고 분류체계 1524

표 3.18. ITU-T SG별 중점연구내용 1532

표 3.19. 긴급재난 대응을 위한 IT 기반 기술 적용분야 1538

표 3.20. IT 적용이 가능한 긴급재난 대응연구 대상 1542

표 3.21. 대도시 「5분이내 현장도착율」 현황('05년) 1552

표 4.1. 연구 목표 1569

표 4.2. 평가절차 및 방법 1570

표 4.3. 착안점 및 척도 1571

표 4.4. 연구목표 달성도 1572

1. 사고·피해확산 예측 시뮬레이터 적용방안과 사전재난영향성 검토 및 평가기술 개발 16

그림 2.1. 초고층 복합건축물의 물리적 특성 149

그림 2.2. 초고층 복합건물의 사회 심리적 특성 149

그림 2.3. 초고층 복합건물의 기술적 특성 150

그림 2.4. 초고층 건물 높이의 현 추세 150

그림 2.5. 지하공간 사용의 대형화, 대심도의 예 153

그림 2.6. 구 법에 의한 건설성대신 인정(평정) 절차 156

그림 2.7. 일본의 성능설계 규정에서의 건축설계 및 인정 절차 157

그림 2.8. 일본의 건물 내 화재에 의한 주요부 검증순서 158

그림 2.9. 일본의 건물 외부화재에 의한 주요부 검증순서 159

그림 2.10. 일본의 방화구획 검증법의 검증순서 159

그림 2.11. 일본의 층피난안전검증법의 계산순서 160

그림 2.12. 일본의 전건물 피난안전 검증법의 계산순서 160

그림 2.13. 일본의 Route C에 의한 성능설계방법의 계산순서 161

그림 2.14. 일본의 건축방재계획 평정신청절차 164

그림 2.15. 뉴질랜드의 성능위주 방재계획 개념도 181

그림 2.16. 미국의 성능위주 방재계획 개념도(IBC Code 참조) 182

그림 2.17. 뉴질랜드 성능설계 인·허가과정 185

그림 2.18. 싱가포르의 성능설계 요구성능 및 필요항목 188

그림 2.19. 미국의 성능위주의 설계의 구성체계(NFPA Code 참조) 189

그림 2.20. 미국의 성능설계 문서화과정(NFPA Code 참조) 192

그림 2.21. 미국의 성능설계 결과의 문서화 세부과정 193

그림 2.22. 싱가포르의 FSE의 업무영역 195

그림 2.23. 싱가포르의 QP의 업무영역 195

그림 2.24. 싱가포르의 FSE와 QP의 업무영역 196

그림 2.25. 싱가포르의 RI의 업무영역(M&E) 197

그림 2.26. 싱가포르의 RI의 작업범위(Architectural) 197

그림 2.27. 재해영향평가 수행 절차 흐름도 215

그림 3.1. 초고층 건축물의 주요 재난관리유형 개념도 226

그림 3.2. 지하시설물의 주요 재난관리유형 개념도 227

그림 3.3. 초고층 건축물의 사용용도 구성개념도 228

그림 3.4. 화재유형별 피해예측시뮬레이션 개발 블럭도 232

그림 3.5. 무역센터 기본 층 평면도 234

그림 3.6. 무역센터 전체 건물 도면 234

그림 3.7. 무역센터 기준층 AutoCAD 도면 236

그림 3.8. Box Object 생성 237

그림 3.9. 축 위치 이동 237

그림 3.10. 3ds Max 화면 238

그림 3.11. Jasmine 프로그램 Model Builder의 공간생성 과정 239

그림 3.12. 완성된 3DSMAX 화면과 Jasmine Model Builder의 View3D 화면 240

그림 3.13. Jasmine의 RST 파일 Viewer x-y 축의 단면 온도판 241

그림 3.14. 2차원 평면 온도 분포 241

그림 3.15. Jasmine 온도 표시 예 249

그림 3.16. Trade Tower 전체 모습 250

그림 3.17. Trade Tower 52층 내부의 전면 250

그림 3.18. 피난 대피층의 인명 상황(현재 265명 대피 중) 251

그림 3.19. JOS 파일을 Import 했을 경우의 모습 252

그림 3.20. 3DSkyViewer의 최종 화면과 온도 확산 253

그림 3.21. 3DSkyViewer의 색깔별 온도 범례 예 253

그림 3.22. 3DSkyViewer의 시각에 따른 변화 예 254

그림 3.23. 3DSkyViewer에서 문을 통하여 화재가 전파되는 예 254

그림 3.24. 화재발생 후 20초 255

그림 3.25. 화재발생 후 40초 255

그림 3.26. 화재발생 후 1분 00초 255

그림 3.27. 화재발생 후 1분 20초 255

그림 3.28. 화재발생 후 1분 40초 255

그림 3.29. 화재발생 후 2분 00초 255

그림 3.30. 화재발생 후 2분 20초 256

그림 3.31. 화재발생 후 2분 40초 256

그림 3.32. 화재발생 후 3분 00초 256

그림 3.33. 화채발생 후 3분 20초 256

그림 3.34. 화재발생 후 3분 40초 256

그림 3.35. 화재발생 후 4분 00초 256

그림 3.36. 화재발생 후 4분 20초 257

그림 3.37. 화재발생 후 4분 40초 257

그림 3.38. 화재발생 후 5분 00초 257

그림 3.39. 화재발생 후 5분 20초 257

그림 3.40. 화재발생 후 5분 40초 257

그림 3.41. 화재발생 후 6분 00초 257

그림 3.42. 화재발생 후 6분 20초 258

그림 3.43. 화재발생 후 6분 40초 258

그림 3.44. 화재발생 후 7분 00초 258

그림 3.45. 화재발생 후 7분 20초 258

그림 3.46. 화재발생 후 7분 40초 258

그림 3.47. 화재발생 후 8분 00초 258

그림 3.48. 화재발생 후 8분 20초 259

그림 3.49. 화재발생 후 8분 40초 259

그림 3.50. 화재발생 후 9분 00초 259

그림 3.51. 화재발생 후 9분 20초 259

그림 3.52. KOEX 30층(피난층) 건물구조 및 배치도 262

그림 3.53. KOEX 30층 A구역 평면도 263

그림 3.54. KOEX 30층 A구역 RFID리더 안테나 배치도 263

그림 3.55. 피난실 출입인원 파악을 위한 RFID 안테나 배치 267

그림 3.56. A구역 출입인원 파악을 위한 RFID 시스템 구성도 268

그림 3.57. 사전재난영향성검토협의 심의절차 흐름 294

2. 예방 및 피해확산 경감기술 개발을 위한 기획연구 321

그림 1.1. 초고층 건물 높이의 현 추세 327

그림 2.1. 세계 주요 초고층 건축물 시계열적 현황 341

그림 2.2. 제1세대 초고층 빌딩 343

그림 2.3. 제2세대 초고층 빌딩 343

그림 2.4. 제3세대 초고층 빌딩 343

그림 2.5. 일본 고층건축물 화재위험성 평가 Flow Chart 346

그림 2.6. 일본의 성능위주설계 프로세스 348

그림 2.7. IRCC가 제안하는 성능위주 건축법 구조의 8가지 수준 350

그림 2.8. 스페인 윈저타워 화재 353

그림 2.9. 윈저타워의 기본층(17~26층) 평면도 354

그림 2.10. 단면도 354

그림 2.11. 윈저센터의 피해 상황 356

그림 2.12. 건물 외주 Perimeter부의 개요 및 개수공사 계획 358

그림 2.13. T-2층의 손상 상태(개념도) 359

그림 2.14. 상층부의 화재 및 각 부분의 구조체의 손상 현황 360

그림 2.15. 구조체가 붕괴에 이른 프로세스(추정 개념도) 362

그림 2.16. 주변 환경 및 비산된 서류 365

그림 2.17. First Interstate Bank 건물 화재 전후 사진 369

그림 3.1. 초고층 건물의 물리적 특성 377

그림 3.2. 초고층 건물의 사회심리적 특성 377

그림 3.3. 초고층 건물의 기술적 특성 378

그림 3.4. 초고층 건물의 리스크 379

그림 3.5. 초고층 건축물 개념도(1) 381

그림 3.6. 초고층 건축물 개념도(2) 382

그림 3.7. 초고층 건축물 안전.안심공간 실현 383

그림 3.8. 초고층 건축물 화재 시 화재 및 연기성상 분석 398

그림 3.9. 지진 발생 시 진동주기 비교 403

그림 3.10. 배관 관통부 처리 예 415

그림 3.11. 수직배관 지지 예 416

그림 3.12. 중량물 지지 예 416

그림 3.13. 주 배관 지지 예 417

그림 3.14. 전기배선 관로 지지 예 417

그림 3.15. 방화구획 관통부 배관 지지 예 418

그림 3.16. 가압송수장치 가요성 이음 설치 예 418

그림 3.17. 시스템 구성도 431

그림 3.18. 소방방재설비 통합 감시 및 제어시스템 구성도 432

그림 3.19. 초고층 건축물 엘리베이터 피난 보호대책 436

그림 3.20. 테러정보통합센터 주요업무(자료 : 국가정보원(2009)) 451

그림 3.21. 소화시설 개별구성방식 464

그림 3.22. 소화시설 통합구성방식 464

그림 3.23. 단일구성 방식 466

그림 3.24. 저층, 중층 및 고층부로 분할하는 방식 467

그림 3.25. 단일 고가수조에 의한 구성방식 469

그림 3.26. 다수 고가수조에 의한 구성방식 470

그림 3.27. 방화로드 예 479

그림 3.28. 방화코트 설치 예 479

그림 3.29. 방화보드설치 예 481

그림 3.30. 방화실린트 설치 예 482

그림 3.31. 방화퍼터 설치 예 483

그림 3.32. 특별피난계단 및 비상용승강기 승강장 제연설비 설치 예 490

그림 3.33. 방화문의 유지관리 상태 491

그림 3.34. 연돌효과에 따른 겨울철 건물내외 압력분포 492

그림 3.35. 풍진도제어 기술 구성 및 요소 495

그림 3.36. 한국과 일본의 법제화 및 적용의 분류 501

그림 3.37. SVMP시스템 구성도 506

그림 3.38. 초고층 건물내부 및 외부 meshnetwork 구성도 506

그림 3.39. 고가차량의 폭과 아우트리거 514

그림 3.40. 단지 내 좁은 도로 및 회전반경 515

그림 3.41. 회전반경 산출 516

그림 3.42. 고가차량의 종류 518

그림 3.43. 테러리스트가 선호하는 표적들 533

그림 3.44. 센서네트워크 기반 인적재난 U-방재관리 시스템 구성도 550

그림 3.45. 대응작전의 연계 예 559

그림 3.46. 상호 원격감시 프로그램 예 561

그림 3.47. 위험등급별 면적/밀도 그래프 575

그림 3.48. 살수밀도와 작동면적의 결정 580

그림 3.49. 파이어 그리드(Fire Grid)시스템에서 빌딩 네트워크 예 597

그림 3.50. 파이어 그리드(Fire Grid)시스템 구성 597

3. 사고대응시스템 개발 A Study on the Emergency Action Plan 643

그림 2.1. An enclosed security command center. Courtesy of CCTV, 2nd ed. (Burlington, MA, Elsevier Butterworth-Heinemann, 2000, p.201) 658

그림 2.2. 요코하마 랜드마크 빌딩의 종합방재실 구축 664

그림 2.3. 버즈두바이의 통합빌딩관리 구성도 668

그림 2.4. 63시티의 방재센터의 위치 669

그림 2.5. 63시티의 종합방재실 정보 시스템 670

그림 2.6. COEX의 종합방재실 정보 시스템 670

그림 2.7. RCNY §6-02 : 비상대응계획 조직도 672

그림 2.8. 빌딩 정보 카드 양식 673

그림 2.9. EAP 알림판 예시 674

그림 2.10. 비상대응계획 조직도 676

그림 2.11. 63시티의 종합관제실 운영 개요 703

그림 2.12. 63시티의 화재발생시 종합관제실 운영도 703

그림 2.13. 63시티의 피난계획 안내도 704

그림 2.14. 63시티의 총괄 기구 조직도 705

그림 2.15. 비상연락 체계도 705

그림 3.1. 국내외 초고층 건축물 현황 721

그림 3.2. 사고대응에서 발생한 문제 749

그림 3.3. 소방방재설비 통합 감시 및 제어시스템 구성도 770

그림 3.4. 일반적인 건축물의 기기 및 장비구성 771

그림 3.5. P형 수신기 773

그림 3.6. R형 수신기 774

그림 3.7. 종합방재실 상황관리 무선 자동호출 개략도 776

그림 3.8. 종합방재실 구성 시스템 778

그림 3.9. 재난관리의 유형과 단계 799

그림 3.10. 사고대응시스템의 개략도 802

그림 3.11. 경계/심각 수준의 재난대응 체계 811

그림 3.12. 비상대응계획 운영인원 조직도(관리권원이 1인 경우) 830

그림 3.13. 비상대응계획 운영인원 조직도(관리권원이 2인 경우) 830

그림 3.14. 피난유도 경로체계 861

그림 3.15. 화재발생시 사용금지(승강기) 안내 표시 870

그림 3.16. A 비상계단의 지상 10층 식별표시 873

그림 3.17. 초기대응조직의 구성 888

그림 3.18. 초고층 건축물에 적용되는 기구의 명령체계 908

그림 3.19. 현장지휘계통도 917

그림 3.20. 제1지휘체제 932

그림 3.21. 제2지휘체제 932

그림 3.22. 제3지휘체제 933

그림 3.23. 제4지휘체제 933

그림 3.24. 소방총감이 출동한 경우의 지휘체계 934

그림 3.25. 제2지휘체계 : 전진지휘소와 구급지휘소를 개설하는 경우 934

그림 3.26. 제3지휘체계 이상 : 전진지휘소와 구급지휘소를 개설하는 경우 935

그림 3.27. 119 신고접수 처리 흐름도 950

그림 3.28. 119 신고접수 처리 시스템 951

그림 3.29. 초고층 복합건축물 사고 상황 분석 954

그림 3.30. 초고층대응현장 지휘체계 956

그림 3.31. 시군구 초고층 대응본부 조직 958

그림 3.32. 단계별 초고층 대응 통합지휘절차 흐름도 960

그림 3.33. 초고층 대응 응급의료반의 조직 964

그림 3.34. 긴급시설 복구반의 임무수행절차도 965

그림 3.35. 재난대응 체계 표준화 968

그림 3.36. 지역방재 특수대 조직 971

그림 3.37. 지역방재 특수조직 972

그림 3.38. 지역방재 특수조직 개발 975

그림 3.39. 지역방재 특수조직 계통도 976

그림 3.40. 비상대응 절차 979

그림 3.41. 사고 초기 명령 체계 979

4. 초고층 및 복합건축물의 재난관리방안 1038

그림 3.1. 일상의 화재예방과 방화설비·시설의 점검·정비 1108

그림 3.2. 비상시의 대응체계 1109

그림 3.3. 단일 재난 조직 1110

그림 3.4. 복수 재난 조직 1111

그림 3.5. 신규 건축시의 피해경감계획서 수립 제출 절차도 1152

그림 3.6. 기존 건축물의 피해경감계획서 수립 제출 절차도 1153

그림 3.7. 단일 관리권한의 재난대응조직 1161

그림 3.8. 복수 관리권한의 재난대응조직 1162

그림 3.9. 뉴욕시 안전가이드 1221

그림 3.10. 63빌딩 방재 안내서 1222

그림 3.11. 63빌딩 피난유도조직 1224

그림 3.12. 코엑스 피난 매뉴얼 1226

그림 3.13. 단일관리권한 조직도 1276

그림 3.14. 복수 관리권한 조직도 1277

그림 3.15. 화재 주의단계 조치 사항 1281

그림 3.16. 화재 경보단계 조치 사항 1283

그림 3.17. 화재 심각단계 조치 사항 1285

그림 3.18. 침수재난 주의단계 조치 사항 1290

그림 3.19. 침수재난 경계단계 조치 사항 1292

그림 3.20. 침수재난 심각단계 조치 사항 1294

그림 3.21. 테러재난 심각단계 조치 사항 1299

5. 상황관리시스템 연구 Developing of Emergency Management System 1361

그림 1.1. 연구수행 흐름도 1367

그림 2.1. 긴급구조 표준시스템 시스템 구성도 1368

그림 2.2. 구조구급 활동정보시스템 구성도 1369

그림 2.3. 부산소방본부 시스템구성도 1369

그림 2.4. 부산소방본부 종합상황실 1370

그림 2.5. 대구소방본부 시스템 구성도 1371

그림 2.6. 울산소방 종합방재시스템 시스템 구성도 1371

그림 2.7. 광주소방본부 시스템구성도 1372

그림 2.8. 112신고접수시스템의 업무흐름 1373

그림 2.9. 112신고접수시스템 화면 1374

그림 2.10. 해양경찰청 시스템구성도 1375

그림 2.11. 해양경찰청 업무처리 흐름도 1375

그림 2.12. 63빌딩 전경 1376

그림 2.13. 63빌딩 피난대피층 전경 1379

그림 2.14. 63빌딩 설비관리시스템 1380

그림 2.15. COEX 종합상황실 내구 시스템 화면 1381

그림 2.16. COEX 종합상황실의 시스템 화면 1382

그림 2.17. 무역센터 전경 1383

그림 2.18. 대구 삼성금융플라자의 종합관제실 전경 1384

그림 2.19. SEMO사무실 내부전경 1385

그림 2.20. 뉴욕시 주택국과 업무협의 사진 1386

그림 2.21. 뉴욕시 소방국의 종합관제실 전경 1387

그림 2.22. 제작한 소화기 1392

그림 2.23. 소방용 로봇 1392

그림 2.24. 종합방재실 정보시스템 구성 1402

그림 2.25. 소방방재청 NDMS화면(지진재해) 1405

그림 2.26. 타워7의 외벽(테러 방지를 위한 특수 설비) 1413

그림 2.27. 미드랜드 스퀘어 전경 1414

그림 3.1. 상황관리시스템 구성도 1452

그림 3.2. 상황관리시스템 개념도 1452

그림 3.3. 상황관리시스템 메인화면 1456

그림 3.4. 건물정보제공 화면 1457

그림 3.5. 사고대응 시스템 개념도 1458

그림 3.6. 관심 단계의 화재대응 절차 1459

그림 3.7. 주의 단계의 화재대응 절차 1459

그림 3.8. 경계 단계의 화재대응 절차 1460

그림 3.9. 심각 단계의 화재대응 절차 1460

그림 3.10. 정보제공시스템 화면 1463

그림 3.11. 상황관리시스템의 주변정보보기 화면 1464

그림 3.12. Web환경에서 서비스의 관리 및 제공 1466

그림 3.13. 클라이언트/서버 간의 Data처리 과정 1466

그림 3.14. USN을 이용한 Data취득기술 1468

그림 3.15. CDMA통신에 의한 Data취득기술 1469

그림 3.16. ETT 방식에 의한 Data 전송방법 1471

그림 3.17. Parallel방식과 Serial방식의 Data전송 1471

그림 3.18. 암호화된 메시지를 보내는 과정과 받는 과정 1472

그림 3.19. 공개키를 이용한 암호화 방법 1473

그림 3.20. 다양한 소브로부터 정보를 획득하는 Interface과정 1474

그림 3.21. Database에서 Data정의 과정 1475

그림 3.22. 공간정보의 표현방법 1477

그림 3.23. 재난정보의 유관기관 전송방안 1481

그림 3.24. 3차원 국토공간정보 구축과정 1483

그림 3.25. 3차원 국토공간정보의 활용방안 1484

그림 3.26. 상황관리시스템의 주변정보보기 화면 1485

그림 3.27. JDBC를 이용한 이기종 DB의 연계모식도 1495

그림 3.28. 오라클 프로시저와 트리거의 차이점 1496

그림 3.29. DB Link에 의한 시스템간 연계설정화면 1497

그림 3.30. 안전관리위원회 조직체계도 1505

그림 3.31. 재난안전대책본부 조직 체계도 1507

그림 3.32. 통합지휘무선망 운영 개념도 1528

그림 3.33. 국내 재난통신망 주파수 분배현황(TRS) 1529

그림 3.34. 국제 재난주파수 대역 분배 현황 1530

그림 3.35. ITU의 부문별 PPDR 추진체계도 1531

그림 3.36. MASA Structure 1533

그림 3.37. Example of Network Architecture Rural+Urban/Emergency +Disaster/Wide Area 1534

그림 3.38. 국가종합재난관리시스템(NIMS)구축 개념도 1548

그림 3.39. 사고유형별표준작전절차(SOP) 및 정보관리 포털시스템 구성 예시 1549

그림 3.40. 사이버 상황실 운영 개념도 1551

그림 3.41. 최근5년간 소방차량 5분내 현장도착율 감소추이 1552

그림 3.42. 화재사고시 출동소요시간별 피해확산 시나리오 1553

그림 3.43. 119긴급출동로 관제플랫폼 개념도 1554

그림 3.44. 현 긴급구조 표준 시스템 흐름도 1555

그림 3.45. 2D GIS를 이용한 건물정보 확인예시 1561

그림 3.46. 재난종류에 따른 피해지역 표현예시 1563

그림 3.47. 3D GIS를 이용한 건물정보 확인예시 1564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1538592 363.1172 -10-5 v.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1538593 363.1172 -10-5 v.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가상서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