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기후변화로 인한 도시홍수피해실태 분석 및 새로운 방재 패러다임 설정을 위한 연구 / 소방방재청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소방방재청, 2010
형태사항
2책 : 삽화, 도표, 사진 ; 30 cm
제어번호
MONO1201014393
주기사항
v.2는 요약보고서임
[연구기관]: 한국방재협회
책임연구원: 안태진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목차

제1장. 서론 25

제1절. 연구의 필요성 26

1. 연구배경 26

2. 연구 목적 26

제2절. 연구범위 및 내용 28

1. 과업의 범위 28

2. 연구내용 28

2.1. 집중호우 피해지역에 대한 수문해석 28

2.2. 7월 집중호우에 따른 도시지역 반복피해 정밀조사 및 유형분석 28

2.3. 최근 15년간 시설물별 강우설계 적용 조사·분석 등 29

2.4. 도시홍수 방어 우수사례 조사·분석 및 시사점 도출 29

제3절. 추진전략 29

제2장. 집중호우 피해지역에 대한 수문해석 30

제1절. 최근 15년간 집중호우 피해지역에 대한 강우분석 32

1. 2009년 7월 호우규모 분석 32

1.1. 분석 개요 32

1.2. 2009년 7월 강우 현황 및 분석 대상 사상 선정 33

1.3. 지속시간별 최대강우량 산정 34

1.4. 지속시간별 최대강우강도 산정 35

1.5. 빈도 분석 36

1.6. 빈도 분석 비교 40

2. 기후변화를 고려한 강우 경향성 분석 46

2.1. 분석 개요 46

2.2. Trend 분석 52

3. 강우 빈도 경향성 분석 108

3.1. 지속시간별 연최대강우 10년 평균 변동 분석 108

3.2. 지속시간별 연최대강우 10년 표준편차 변동 분석 126

3.3. 기준강우 이상 10년 평균 발생 횟수 변동 분석 133

제2절. 집중호우 등에 의한 강우사상의 추계분석 및 향후 추이 분석 143

1. 분석 대상 자료의 선정 143

1.1. 강우자료 144

1.2. 해수면온도 자료 145

1.3. 우리나라를 내습한 태풍 자료 146

2. 주요 호우 사상의 경년별 변화 특성 분석 150

2.1. 시간최대강우량의 변동성 및 경향성 분석 150

2.2. 자료기간에 따른 확률강우량 산정 162

2.3. 강우강도를 초과하는 호우사상의 발생 횟수 분석 171

3. 호우발생원인별 강우 특성 분석 188

3.1. 분석 대상 자료의 구성 189

3.2. 호우발생원인별 호우 사상의 특성 분석 190

4. 기후변화를 반영한 강우사상의 전망 분석 195

4.1. 기후변화를 반영한 강우사상의 전망 기법 196

4.2. 연최대시간강우량과 해수면온도와의 원격지체상관계수의 산정 197

4.3. 비매개변수적 모의발생과 지역가중 다항식의 적용 200

4.4. 해수면온도 변화에 따른 확률강우량 추정 205

제3절. 고찰 215

1. 최근 15년간 집중호우 피해지역에 대한 강우분석 215

2. 집중호우 등에 의한 강우사상의 추계분석 및 향후 추이분석 216

제3장. 도시지역 반복피해 정밀조사 및 유형 분석 219

제1절. 2009년 7월 집중호우에 따른 침수피해 조사 221

1. 부산 및 경남지역 221

2. 경상남도 223

2.1. 지역별 강우특성 분석 224

2.2. 피해현황조사 224

2.3. 피해원인과 대책분석 226

3. 경기도 231

3.1. 지역별 강우특성 분석 232

3.2. 피해현황조사 234

3.3. 피해원인과 대책분석 235

4. 강원도 242

4.1. 지역별 강우특성 분석 243

4.2. 피해현황조사 245

4.3. 피해원인과 대책분석 246

5. 충청북도 259

5.1. 지역별 강우특성 260

5.2. 피해현황조사 261

5.3. 원인과 대책분석 262

6. 충청남도 268

6.1. 지역별 강우특성 분석 269

6.2. 피해현황조사 270

6.3. 원인과 대책분석 271

7. 전라북도 275

7.1. 지역별 강우특성 분석 276

7.2. 피해현황조사 276

7.3. 피해원인과 대책분석 278

8. 전라남도 279

8.1. 지역별 강우특성 분석 280

8.2. 피해현황조사 280

8.3. 피해원인과 대책분석 281

9. 2009년 피해 사례 정리 285

제2절. 2009년 7월 집중호우에 따른 급경사지 피해조사 288

1. 부산 및 경남지역 288

1.1. 지역별 강우특성 분석 288

1.2. 피해현황 조사 290

1.3. 원인과 대책분석 291

2. 강원지역 304

2.1. 지역별 강우특성 분석 304

2.2. 피해현황 조사 305

2.3. 원인과 대책분석 306

3. 충청 및 전라지역 308

3.1. 지역별 강우특성 분석 308

3.2. 피해현황 조사 310

3.3. 원인과 대책분석 312

제3절. 도시지역 반복피해 유형분석 319

1. 피해유형별 분석 319

1.1. 배수시설물의 홍수처리용량부족으로 내수침수피해 319

1.2. 산지훼손에 의한 절개지의 붕괴 피해 320

1.3. 산사태 및 소규모시설 피해 321

1.4. 하천통수단면부족으로 제방붕괴 범람지역 322

1.5. 실시간 대피체계미흡지역의 피해 322

1.6. 방재시설 유지관리미흡 지역 323

1.7. 새로운 방재패러다임 설정의 필요성 324

2. 도시지역 재해요인에 대한 취약성 및 영향분석 324

2.1. 침수의 취약성 및 영향분석 324

2.2. 하천시설의 취약성 및 영향분석 339

2.3. 급경사 및 절개지의 취약성 및 영향분석 341

3. 도시지역 시설별 재해요인 관련 법규 분석 및 개선사항 348

3.1. 배수시설 348

3.2. 하천시설 350

3.3. 급경사지 352

제4절. 기후변화 대응형 도시방재 관련 제도 개선 사항 도출 358

1. 기후 대응형 설계기준의 제도적 수용방안 검토 358

1.1. 국내 국토·도시계획관련 법·제도상에서의 방재계획 현황 및 문제점 358

1.2. 영국의 도시계획체계와 방재계획 361

1.3. 영국 사례를 통한 국내 도시방재 관련 제도/체계 개선방향 366

2. 관련 법규 및 제도적 개선 부문 도출 및 세부 개선 방향 설정 369

2.1. 풍수해저감종합계획과 도시계획과의 연계 369

2.2. 사전재해영향성검토협의제도와 도시계획과의 연계 371

제5절 기후변화 대응형 방재도시 시범사업 추진전략 제시 375

1. 자연재해위험지구 지정현황 및 기후변화 대응형 방재도시 시범사업의 필요성 375

2. 기후변화 대응형 방재도시 시범사업의 개념 및 구성요소 375

3. 기후변화 대응형 방재도시 시범사업의 기본전략 376

4. 기후변화 대응형 방재도시 시범사업의 유사사례 377

5. 기후변화 대응형 방재도시 시범사업지 선정을 위한 지표 379

6. 시범사업 추진을 위한 단계별 추진내용 및 절차 계획 제시 379

제6절. 과거 15년간 시우량별 피해유형 분석 382

1. 피해지역 자료 382

2. 1시간 최대강우량별 피해현황 384

2.1. 피해유형 384

2.2. 피해원인항목 388

3. 시우량별 피해유형 분석 결과 392

제7절. 고찰 393

1. 2009년 7월 집중호우에 따른 침수피해 조사 393

2. 2009년 7월 집중호우에 따른 급경사지 피해조사 393

3. 도시지역 반복피해 유형분석 394

4. 기후변화 대응형 도시방재 관련제도 개선 사항 도출 및 방재도시 시범사업 추진전략 제시 394

5. 과거 15년간 시우량별 피해유형분석 395

제4장. 최근 15년간 시설물별 강우설계 적용 조사·분석 397

제1절. 지역 유형별 시설물별 강우설계 조사·분석 399

1. 확률강우량 및 확률강우강도식의 산정방법 399

1.1. 확률강우량의 산정방법 399

1.2. 확률강우강도식의 산정방법 401

2. 지역 유형별 시설물별 강우설계 조사 402

2.1. 기존 및 도시 재개발사업 지역 402

2.2. 대규모 신도시 개발사업 지역 407

2.3. 각종 개발사업 시행지역 409

3. 지역 유형별 시설물별 강우설계 비교 분석 413

3.1. 기존 및 도시 재개발사업 지역 413

3.2. 대규모 신도시 개발사업 지역 414

3.3. 각종 개발사업 시행지역 415

제2절. 강우설계 적용 조사·분석 417

1. 적용 강우설계빈도 조사·분석 417

1.1. 강우설계빈도 조사·분석 417

1.2. 적용 강우설계빈도 조사·분석 결과 419

2. 적용 확률강우량 조사·분석 423

2.1. 연도별 적용 확률강우량 변화 조사·분석 423

2.2. 지역 유형별 적용 확률강우량 변화 조사·분석 424

2.3. 주요 도시별 적용 확률강우량 변화 조사·분석 426

2.4. 빈도별 적용 확률강우량 변화 조사·분석 427

2.5. 적용 확률강우량 조사·분석 결과 428

3. 강우설계 적용방법 조사·분석 428

3.1. 강우-유출모형 428

3.2. 강우지속기간 결정 432

3.3. 설계강우의 시간분포방법 434

3.4. 유효우량 산정방법 437

3.5. 적용 설계강우량의 시간분포방법별 비교 검토 440

3.6. 강우설계 및 강우-유출모형 적용방법 조사·분석 결과 442

제3절. 시설물별 유지관리 실태 조사·분석 444

1. 내수배제 시설물별 유지관리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 444

1.1. 하수(우수)관거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 444

1.2. 빗물펌프장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 446

2. 내수배제 시설물별 유지관리지침 조사·분석 447

2.1. 기존 시설물별 유지관리지침 조사 447

2.2. 기존 시설물별 유지관리지침의 보완 및 추가사항 449

3. 내수배제 시설물별 유지관리 실태 조사·분석 450

3.1. 과거 서울시 침수피해 현황 및 내수배제 시설물별 능력검토 조사 450

3.2. 주요 도시 하수관거 준설 및 개보수 현황 조사·분석 456

제4절. 고찰 464

1. 확률강우량 및 확률강우강도식 조사·분석 464

2. 적용 확률강우강도식의 조사·분석 464

3. 설계강우의 빈도 조사·분석 464

4. 강우설계의 적용방법 조사·분석 465

5. 시설물별 유지관리 실태 조사·분석 465

제5장. 국내외 도시홍수 방어 우수사례 조사·분석 및 시사점 도출 467

제1절. 국내 도시홍수 방어 우수사례 효과분석 및 홍수방어능력 평가 469

1. 동두천 내배수시설 재해예방사업 투자 효과 분석 469

1.1. 동두천시 연도별 재해 내역 469

1.2. 동두천 내수배제시설 현황 469

1.3. 강우량 분석 470

1.4. 내수침수저감 효과 분석 471

2. 동두천시 홍수방어능력 평가 474

2.1. 동두천시 내수배제시설 설계강우량 474

2.2. 배수펌프장 지구별 홍수방어능력 분석 475

제2절. 국내 재해예방사업 투자사례 효과 분석 479

1. 재해예방사업 투자 분석을 위한 연구 방법 479

1.1. Do Nothing 방법 479

1.2. 사전·사후 분석 방법 479

1.3. 수해방지시설의 스톡개념을 이용한 방법 480

1.4. 다중회귀분석 480

2. 피해액을 이용한 지역별 재해예방사업 투자사례 효과 분석 480

2.1. 서울지역 480

3.2. 부산지역 486

3.3. 제주지역 490

3.4. 강릉지역 492

3.5. 파주지역 494

3.6. 평창지역 496

제3절. 국외 도시강우 설계기법 조사 분석 499

1. 일본 동경도 도시강우 설계기법 499

1.1. 도시 하천 설계강우 499

1.2. 하수도시설계획·설계지침 504

1.3. 기후 변화의 영향 506

1.4. 우수사례 510

2. 구미 사례 512

2.1. 미국 512

2.2. 영국 514

제4절. 고찰 517

1. 국내 재해예방사업 투자사례 효과 분석 517

2. 국외 도시강우 설계기법 조사 분석 및 시사점 518

제6장. 결론 521

제1절. 요약 및 시사점 523

1. 집중호우 피해지역에 대한 수문 해석 523

1.1. 최근 15년간 집중호우 피해지역에 대한 강우분석 523

1.2. 집중호우 등에 의한 강우사상의 추계분석 및 향후 추이분석 524

2. 도시지역 반복피해 정밀조사 및 유형분석 524

2.1. 2009년 7월 집중호우에 따른 피해조사 524

2.2. 2009년 7월 집중호우에 따른 급경사지 피해조사 525

2.3. 도시지역 반복피해 유형분석 525

2.4. 기후변화 대응형 도시방재 관련 제도 개선 사항 도출 및 방재도시 시범사업 추진전략 제시 525

2.5. 과거 15년간 시우량별 피해유형 분석 526

3. 최근 15년간 시설물별 강우설계 적용 조사·분석 526

3.1. 확률강우량 및 확률강우강도식 조사·분석 526

3.2. 적용 확률강우강도식의 조사·분석 526

3.3. 설계강우의 빈도 조사·분석 527

3.4. 강우설계의 적용방법 조사·분석 527

3.5. 시설물별 유지관리 실태 조사·분석 527

4. 국내외 도시홍수 방어 우수사례 조사·분석 및 시사점 도출 528

4.1. 국내 재해예방사업 투자사례 효과 분석 528

4.2. 국외 도시강우 설계기법 조사 분석 528

제2절. 제언 529

참고문헌 531

[뒷표지] 537

〈표 2.1.1〉 2009년 7월 강우 분석 사상 34

〈표 2.1.2〉 지속시간별 최대강우량 35

〈표 2.1.3〉 지속시간별 최대강우강도 36

〈표 2.1.4〉 기상청 주요 우량관측 지점의 통합 확률강우강도식의 회귀상수값 37

〈표 2.1.5〉 제주, 마산, 진주의 지속시간별 재현기간별 확률강우량 38

〈표 2.1.6〉 사상별 지속시간별 재현기간 39

〈표 2.1.7〉 재현기간 비교 40

〈표 2.1.8〉 기상관측소 17개 지점 및 자료 보유기간 47

〈표 2.1.9〉 평균강우 계절 및 연 Trend 분석 결과 53

〈표 2.1.10〉 평균강우 월 Trend 분석 결과 54

〈표 2.1.11〉 평균강우 계절 및 연 Sen Test Slope 분석결과 56

〈표 2.1.12〉 평균강우 월 Sen Test Slope 분석결과 57

〈표 2.1.13〉 연·계절 평균 강우량 대비 향후 100년 강우 증가 분석 60

〈표 2.1.14〉 월 평균 강우량 대비 향후 100년 강우 증가 분석 62

〈표 2.1.15〉 지속시간별 연최대강우 증가 71

〈표 2.1.16〉 지속시간별 연 최대 강우 Trend 분석 결과 72

〈표 2.1.17〉 지속시간별 연 최대 강우 Sen Test Slope 73

〈표 2.1.18〉 지속시간별 연 최대강우 증가 분석 91

〈표 2.1.19〉 강우강도 30mm 이상 강우강도 Trend 분석 92

〈표 2.1.20〉 강우강도 30mm 이상 강우강도 Sen Test Slope 정리 93

〈표 2.1.21〉 강우강도 30mm 이상 강우일수 Trend 분석 96

〈표 2.1.22〉 강우강도 30mm 이상 강우일수 Sen Test Slope 정리 97

〈표 2.1.23〉 강우강도 70mm 이상 강우강도 Trend 분석 100

〈표 2.1.24〉 강우강도 70mm 이상 강우강도 Sen Test Slope 정리 101

〈표 2.1.25〉 강우강도 70mm 이상 강우일수 Trend 분석 104

〈표 2.1.26〉 강우강도 70mm 이상 강우일수 Sen Test Slope 정리 105

〈표 2.1.27〉 지속시간별 연최대강우 10년 평균 109

〈표 2.1.28〉 지속시간별 연최대강우 10년 평균 변동 회귀분석(회귀계수 a) 116

〈표 2.1.29〉 지속시간별 연최대강우 10년 평균 변동 회귀분석(회귀계수 b) 117

〈표 2.1.30〉 지속시간별 연최대강우 10년 표준편차 127

〈표 2.1.31〉 기준강우 이상 10년 평균 발생 횟수 133

〈표 2.1.32〉 기준강우 이상 10년 평균 발생 횟수 변동 회귀분석(회귀계수 a) 138

〈표 2.1.33〉 기준강우 이상 10년 평균 발생 횟수 변동 회귀분석(회귀계수 b) 139

〈표 2.2 1〉 각 강우관측소에서 관측된 강우자료의 관측연수 144

〈표 2.2.2〉 우리나라에 영향을 준 태풍 147

〈표 2.2.3〉 지속시간 1시간 최대강우량의 평균에 대한 변동성 분석 결과 152

〈표 2.2.4〉 지속시간 3시간 최대강우량의 평균에 대한 변동성 분석 결과 153

〈표 2.2.5〉 지속시간 6시간 최대강우량의 평균에 대한 변동성 분석 결과 153

〈표 2.2.6〉 지속시간 12시간 최대강우량의 평균에 대한 변동성 분석 결과 154

〈표 2.2.7〉 지속시간 24시간 최대강우량의 평균에 대한 변동성 분석 결과 154

〈표 2.2.8〉 지속시간 1시간 최대강우량의 표준편차에 대한 변동성 분석 결과 157

〈표 2.2.9〉 지속시간 3시간 최대강우량의 표준편차에 대한 변동성 분석 결과 157

〈표 2.2.10〉 지속시간 6시간 최대강우량의 표준편차에 대한 변동성 분석 결과 158

〈표 2.2.11〉 지속시간 12시간 최대강우량의 표준편차에 대한 변동성 분석 결과 158

〈표 2.2.12〉 자료기간과 지속시간에 따른 지점별 평균 강우량 162

〈표 2.2.13〉 자료기간과 지속시간에 따른 지점별 표준편차 163

〈표 2.2.14〉 지속시간과 재현기간에 따른 각 지점의 확률강우량 분포 및 특성 170

〈표 2.2.15〉 기준 강우량의 지속시간 1시간에 따른 지점별 재현기간 176

〈표 2.2.16〉 기준 강우량의 지속시간 3시간에 따른 지점별 재현기간 176

〈표 2.2.17〉 기준 강우량의 지속시간 6시간에 따른 지점별 재현기간 177

〈표 2.2.18〉 기준 강우량의 지속시간 12시간에 따른 지점별 재현기간 177

〈표 2.2.19〉 기준 강우량의 지속시간 24시간에 따른 지점별 재현기간 178

〈표 2.2.20〉 지속시간과 재현기간별 강우강도의 초과 기준 178

〈표 2.2.21〉 관측지점에 따른 지속시간별 확률강우량 초과 횟수 179

〈표 2.2.22〉 자료 분할에 따른 초과횟수의 평균 188

〈표 2.2.23〉 분석 대상 우량관측소 189

〈표 2.2.24〉 서울지점의 연최대시간강우량이 발생한 월 198

〈표 2.2.25〉 Mann-Whitney Test에 의한 해수면온도평균의 변동성 분석 결과 206

〈표 2.2.26〉 Sign Test에 의한 해수면온도평균의 변동성 분석 결과 207

〈표 2.2.27〉 T Test에 의한 해수면온도평균의 변동성 분석 결과 207

〈표 2.2.28〉 Modified T Test에 의한 해수면온도평균의 변동성 분석 결과 207

〈표 2.2.29〉 F Test에 의한 해수면온도 표준편차의 변동성 분석 결과 208

〈표 2.2.30〉 Modified F Test에 의한 해수면온도 표준편차의 변동성 분석 결과 208

〈표 2.2.31〉 경향성 분석 결과 208

〈표 2.2.32〉 해수면온도증가에 따른 빈도별 확률강우량의 평균증가율 비교 214

〈표 3.1.1〉 2009년 7월 집중호우 피해 현장조사의 지점 및 일정 222

〈표 3.1.2〉 경상남도 총괄피해액 224

〈표 3.1.3〉 시설물별 피해 원인 분석 225

〈표 3.1.4〉 계획단면의 통수능 검토 228

〈표 3.1.5〉 침수피해원인 229

〈표 3.1.6〉 경기도 총괄피해액 232

〈표 3.1.7〉 시설물별 피해 원인 분석 234

〈표 3.1.8〉 강원도 총괄피해액 243

〈표 3.1.9〉 시·군별 피해현황 243

〈표 3.1.10〉 시설별 피해원인분석(강원도) 247

〈표 3.1.11〉 충청북도 총괄피해액 259

〈표 3.1.12〉 시·군별 피해현황 260

〈표 3.1.13〉 시설별 피해원인분석(충청북도) 263

〈표 3.1.14〉 충청남도 총괄피해액 268

〈표 3.1.15〉 시·군별 피해현황 269

〈표 3.1.16〉 시설별 피해원인분석(충청남도) 272

〈표 3.1.17〉 전라북도 총괄피해액 276

〈표 3.1.18〉 시설물별 피해 원인 분석 277

〈표 3.1.19〉 전라남도 총괄피해액 280

〈표 3.1.20〉 시설물별 피해 원인 분석 281

〈표 3.1.21〉 2009년 7월 호우별 전국 공공시설 피해현황 287

〈표 3.2.1〉 부산광역시의 강우발생 현황(AWS 분석) 288

〈표 3.2.2〉 경상남도의 강우발생 현황(AWS 분석) 289

〈표 3.2.3〉 부산광역시 급경사지 붕괴지역의 주요현황 290

〈표 3.2.4〉 경상남도 동부지역 급경사지 붕괴지역의 주요현황 290

〈표 3.2.5〉 경상남도 서부지역 급경사지 붕괴지역의 주요현황 291

〈표 3.2.6〉 강원도 춘천시의 강우발생 현황(AWS 분석) 304

〈표 3.2.7〉 강원도 급경사지 붕괴지역의 주요현황 305

〈표 3.2.8〉 충청북도의 강우발생 현황(AWS 분석) 309

〈표 3.2.9〉 전라남도의 강우발생 현황(AWS 분석) 310

〈표 3.2.10〉 충청북도 급경사지 붕괴지역의 주요현황 311

〈표 3.2.11〉 현장조사 대상지역 피해현황 311

〈표 3.3.1〉 침수의 취약성 및 영향분석 326

〈표 3.3.2〉 배수문 330

〈표 3.3.3〉 펌프장 330

〈표 3.3.4〉 침수발생현황 331

〈표 3.3.5〉 배수시설물규모와 호우규모 비교 332

〈표 3.3.6〉 계획빈도규모 334

〈표 3.3.7〉 1993년 8월 호우 334

〈표 3.3.8〉 확률강우량 비교 335

〈표 3.3.9〉 강우량 분포(지속시간 : 60분) 336

〈표 3.3.10〉 수리영향검토 결과(배수영향 및 펌프장 고려시) 337

〈표 3.3.11〉 수리영향검토 결과(배수영향 및 펌프장 미고려시) 337

〈표 3.3.12〉 지속시간 60분 강우량 분포 338

〈표 3.3.13〉 침수사항 339

〈표 3.3.14〉 각 지구별 강우발생 현황(AWS 분석) 342

〈표 3.3.15〉 급경사지 붕괴지역의 재해위험도 평가(붕괴전 상황) 345

〈표 3.3.16〉 급경사지 붕괴지역의 주요현황과 붕괴양상 347

〈표 3.3.17〉 소하천 치수계획에 대한 설계지침 351

〈표 3.3.18〉 주요 수공구조물의 설계빈도 351

〈표 3.3.19〉 2009년 7월 6일-16일 광양시 진월면 확률강우량 355

〈표 3.3.20〉 일본의 종합적인 토사재해대책 357

〈표 3.4.1〉 도시계획 지침상의 방재계획의 문제점 359

〈표 3.4.2〉 도시계획의 기초조사 항목 중 방재관련 항목 및 조사내용 360

〈표 3.4.3〉 국내 국토·도시계획관련 법·제도상 방재계획의 문제점 360

〈표 3.4.4〉 영국의 계획체계에서 홍수위험평가의 범위 및 담당기관 362

〈표 3.4.5〉 개별 개발대상지에 대한 홍수위험평가(FRA)의 수준 362

〈표 3.4.6〉 계획체계에서 홍수위험취약도의 분류 363

〈표 3.4.7〉 영국의 계획체계에서 홍수구역(Flood Zone)의 구분과 정책방향 364

〈표 3.4.8〉 기후변화를 고려한 해수면 상승에 대한 비상허용치 권고안 365

〈표 3.4.9〉 기후변화를 고려한 강우 등에 대비한 민감도 범위 권고안 365

〈표 3.4.10〉 영국의 도시방재계획 제도 특징 366

〈표 3.4.11〉 국내 도시방재 관련 제도 및 체계 개선방향 및 추진전략 367

〈표 3.4.12〉 풍수해저감종합계획의 기초조사 항목 중 도시 위계별로 검토할 사항(안) 370

〈표 3.5.1〉 방재도시의 개념 375

〈표 3.5.2〉 방재도시의 구성요소 376

〈표 3.5.3〉 방재도시 시범사업을 위한 기본전략 체계 376

〈표 3.5.4〉 정라재해위험지구정비사업과 정라지구 방재시범마을조성사업 비교 378

〈표 3.5.5〉 정라지구 방재시범마을조성 기본방향 378

〈표 3.5.6〉 기초조사항목 및 활용 380

〈표 3.5.7〉 재해 위험도 분석 내용 및 방법 사례 381

〈표 3.5.8〉 시범사업 주요 절차 381

〈표 3.6.1〉 재해내역대장 382

〈표 3.6.2〉 재해연보 자연재해현황 통계항목 383

〈표 3.6.3〉 1시간 최대강우량별 피해지역개소와 피해액 384

〈표 3.6.4〉 1시간 최대강우량별 피해지역개소와 피해액(행정구역단위별:1994~2008년) 385

〈표 3.6.5〉 행정구역별 면적 386

〈표 3.6.6〉 1시간 최대강우량별 피해원인(피해원인 1순위) 388

〈표 3.6.7〉 1시간 최대강우량별 피해원인 중복도 392

〈표 4.1.1〉 지역 유형별 시설물별 조사수 402

〈표 4.1.2〉 서울시 하수도정비기본계획의 확률강우량 403

〈표 4.1.3〉 서울시 하수도정비기본계획의 확률강우강도식 403

〈표 4.1.4〉 서울시 강남북지역 빗물펌프장계획의 확률강우강도식 404

〈표 4.1.5〉 서울시 빗물펌프장계획의 확률강우강도식 404

〈표 4.1.6〉 부산시 하수도정비기본계획의 확률강우강도식 405

〈표 4.1.7〉 부산시 녹산 배수펌프장계획의 확률강우강도식 405

〈표 4.1.8〉 부산시 감전1 배수펌프장계획의 확률강우량 405

〈표 4.1.9〉 부산시 감전1지구 배수펌프장계획의 확률강우강도식 406

〈표 4.1.10〉 대구시 하수도정비기본계획의 확률강우량 406

〈표 4.1.11〉 대구시 하수도정비기본계획의 확률강우강도식 407

〈표 4.1.12〉 대구시 배수펌프장계획의 확률강우강도식 407

〈표 4.1.13〉 부산시 정관지구 저류지계획의 확률강우량 408

〈표 4.1.14〉 부산시 정관지구 저류지계획의 확률강우강도식 408

〈표 4.1.15〉 대구시 신서지구 저류지계획의 확률강우량 409

〈표 4.1.16〉 대구시 신서지구 저류지계획의 확률강우강도식 409

〈표 4.1.17〉 서울시 우면2지구 저류지계획의 확률강우량 410

〈표 4.1.18〉 서울시 우면2지구 저류지계획의 확률강우강도식 410

〈표 4.1.19〉 부산시 고촌지구 우수관거계획의 확률강우강도식 410

〈표 4.1.20〉 부산시 장안지구 저류지계획의 확률강우량 411

〈표 4.1.21〉 부산시 장안지구 저류지계획의 확률강우강도식 411

〈표 4.1.22〉 대구시 율하지구 우수관거계획의 확률강우강도식 412

〈표 4.1.23〉 대구시 옥포지구 저류지계획의 확률강우량 412

〈표 4.1.24〉 대구시 옥포지구 저류지계획의 확률강우강도식 412

〈표 4.1.25〉 최근 하수도정비기본계획의 확률강우량 분석 여부 및 채택 확률강우강도식 비교 413

〈표 4.2.1〉 하수(우수)관거의 설계빈도 417

〈표 4.2.2〉 주요 수공구조물의 설계빈도 418

〈표 4.2.3〉 최근 서울시 하수관거 및 펌프장 설계빈도 418

〈표 4.2.4〉 국외 확률년수 적용 사례 419

〈표 4.2.5〉 하수(우수)관거 적용 강우설계빈도 조사·분석 결과 420

〈표 4.2.6〉 빗물 및 배수펌프장 적용 강우설계빈도 조사·분석 결과 421

〈표 4.2.7〉 저류지 적용 강우설계빈도 조사·분석 결과 422

〈표 4.2.8〉 주요 도시의 시설물에 대한 연도별 적용 확률강우량의 변화 (강우지속기간:1hr) 423

〈표 4.2.9〉 시설물에 대한 주요 도시의 지역 유형별 적용 확률강우량 비교 (강우지속기간:1hr) 425

〈표 4.2.10〉 설계빈도에 대한 시설물의 주요 도시별 적용 확률강우량 비교 (강우지속기간:1hr) 426

〈표 4.2.11〉 시설물에 대한 주요도시의 빈도별 적용 확률강우량의 비교 427

〈표 4.2.12〉 빗물펌프장 설계를 위한 강우-유출모형 적용 조사 결과 431

〈표 4.2.13〉 저류지 설계를 위한 강우-유출모형 적용 조사 결과 432

〈표 4.2.14〉 유입시간의 표준값 433

〈표 4.2.15〉 자연하천유역에 대한 도달시간 공식 433

〈표 4.2.16〉 빗물펌프장 적용 설계강우의 시간분포 436

〈표 4.2.17〉 토지이용별 기초유출계수 표준치 437

〈표 4.2.18〉 AMC 조건별 선행강수량의 크기 439

〈표 4.2.19〉 빗물펌프장 적용 유효우량 산정방법 439

〈표 4.2.20〉 적용 설계강우량의 시간분포방법별 비교 441

〈표 4.2.21〉 서울시 배수시설물별 강우설계 및 강우-유출모형의 적용방법 비교 443

〈표 4.3.1〉 1984~2001년 서울시 관내 2회이상 침수피해지역 451

〈표 4.3.2〉 서울시 배수분구별 하수관거 통수능력 검토 454

〈표 4.3.3〉 2008년 국내 주요도시의 하수관거 준설 현황 457

〈표 4.3.4〉 2008년 국내 주요도시의 하수관거 개보수 현황 460

〈표 5.1.1〉 동두천시 연도별 강우량 및 재해피해내역 469

〈표 5.1.2〉 동두천시 내수배제 시설 현황 470

〈표 5.1.3〉 동두천시 주요 호우사상별 강우량(mm) 471

〈표 5.1.4〉 동두천시 주요 호우사상별 강우량(mm) 471

〈표 5.1.5〉 동두천시 배수펌프장 운영 실적 및 침수방지효과 분석 472

〈표 5.1.6〉 동두천시 13개 펌프장 가동에 의한 침수 방지 효과 474

〈표 5.1.7〉 의정부 우량관측소 빈도별 시간최대 강우랑(mm) 474

〈표 5.1.8〉 중앙1펌프장 구역 홍수방어능력 477

〈표 5.2.1〉 서울지역의 과거 15년간(1994~2008) 재해유형별 분포 현황 481

〈표 5.2.2〉 서울지역의 과거 15년간(1994~2008) 재해유형별 분포 현황 482

〈표 5.2.3〉 중랑구 기간별 강우량 및 피해현황 483

〈표 5.2.4〉 도봉구 기간별 강우량 및 피해현황 484

〈표 5.2.5〉 관악구 기간별 강우량 및 피해현황 485

〈표 5.2.6〉 중랑구, 도봉구와 관악구의 투자효과 분석 결과 비교 485

〈표 5.2.7〉 부산지역의 과거 15년간(1994~2008) 재해유형별 분포 현황 486

〈표 5.2.3〉 강서구 기간별 강우량 및 피해현황 488

〈표 5.2.9〉 해운대구 기간별 강우량 및 피해현황 489

〈표 5.2.10〉 강서구와 해운대구의 투자효과 분석 결과 비교 489

〈표 5.2.11〉 제주지역의 과거 15년간(1994~2008) 재해유형별 분포 현황 490

〈표 5.2.12〉 제주지역 기간별 강우량 및 피해현황 491

〈표 5.2.13〉 강릉지역의 과거 15년간(1994~2008) 재해유형별 분포 현황 492

〈표 5.2.14〉 강릉지역 기간별 강우량 및 피해현황 493

〈표 5.2.15〉 파주지역의 과거 15년간(1994~2008) 재해유형별 분포 현황 494

〈표 5.2.16〉 파주지역 기간별 강우량 및 피해현황 496

〈표 5.2.17〉 평창지역의 과거 15년간(1994~2008) 재해유형별 분포 현황 497

〈표 5.2.18〉 평창지역 기간별 강우량 및 피해현황 498

〈표 5.3.1〉 하천의 중요도와 계획의 규모 499

〈표 5.3.2〉 재현기간별 시간최대 강우강도 499

〈표 5.3.3〉 확률강우표 (동경기상대 동경관측소, mm) 501

〈표 5.3.4〉 확률년별강우강도곡선일람표 501

〈표 5.3.5〉 확률강우량과 24시간 강우주상도 우량의 차이 503

〈표 5.3.6〉 하수도 치수개념의 변화 504

〈표 5.3.7〉 100년 후 강수량의 변화가 치수안전도에 미치는 영향 507

〈표 5.3.8〉 통합홍수제어 대책 510

〈표 5.3.9〉 첨두유량 및 유출체적 감소효과 (Fukami, 2005) 511

〈표 5.3.10〉 수공구조물의 일반적인 설계 기준 (Chow, 1988) 513

〈표 5.3.11〉 강우강도 계수 결정 상수 (King County, Department of Natural Resources and Parks, 2009) 514

〈표 5.3.12〉 영국 Wales 지역의 하천과 바다로부터의 침수위험도 (Environment Agency Wales, 2010) 515

〈표 5.3.13〉 영국의 설계홍수 빈도 (CPDA, 2010) 515

〈표 5.3.14〉 기후변화를 고려한 안전율 범위 (PPS25, 2006) 516

〈표 5.3.15〉 기후변화로 고려해야하는 해수면 상승 예상치 (PPS25, 2006) 516

〈그림 1.3.1〉 연구 추진전략 29

〈그림 2.1.1〉 분석개요 32

〈그림 2.1.2〉 2009년 7월 호우 분석 개요 33

〈그림 2.1.3〉 재현기간 비교(1 hr, 전체) 41

〈그림 2.1.4〉 재현기간 비교(1 hr, 50년 이상) 41

〈그림 2.1.5〉 재현기간 비교(1 hr, 50년 이하) 41

〈그림 2.1.6〉 재현기간 비교(3 hr, 전체) 42

〈그림 2.1.7〉 재현기간 비교(3 hr, 50년 이상) 42

〈그림 2.1.8〉 재현기간 비교(3 hr, 50년 이하) 42

〈그림 2.1.9〉 재현기간 비교(6 hr, 전체) 43

〈그림 2.1.10〉 재현기간 비교(6 hr, 50년 이상) 43

〈그림 2.1.11〉 재현기간 비교(6 hr, 50년 이하) 43

〈그림 2.1 12〉 재현기간 비교(12 hr, 전체) 44

〈그림 2.1.13〉 재현기간 비교(12 hr, 50년 이상) 44

〈그림 2.1.14〉 재현기간 비교(12 hr, 50년 이하) 44

〈그림 2.1.15〉 재현기간 비교(24 hr, 전체) 45

〈그림 2.1.16〉 재현기간 비교(24 hr, 50년 이상) 45

〈그림 2.1.17〉 재현기간 비교(24 hr, 50년 이하) 45

〈그림 2.1.18〉 기상관측 17개 지점 46

〈그림 2.1.19〉 분석 개요 48

〈그림 2.1.20〉 Trend 분석 개요 48

〈그림 2.1.21〉 지점별 연평균강우량 58

〈그림 2.1.22〉 연 및 계절별 평균강우 증가 분석(증가율) 65

〈그림 2.1.23〉 월별 평균강우 증가 분석(증가율) 67

〈그림 2.1.24〉 지속시간별 연최대강우(춘천) 74

〈그림 2.1.25〉 지속시간별 연최대강우 증가 분석(증가량) 90

〈그림 2.1.26〉 지속시간별 연최대강우 증가 분석(증가율) 90

〈그림 2.1.27〉 강우강도 30mm 이상 강우강도 분석 94

〈그림 2.1.28〉 강우강도 30mm 이상 강우일수 분석 98

〈그림 2.1.29〉 강우강도 70mm 이상 강우강도 분석 102

〈그림 2.1.30〉 강우강도 70mm 이상 강우일수 분석 106

〈그림 2.1.31〉 강우 빈도 경향성 분석 개요 108

〈그림 2.1.32〉 지속시간별 연최대강우 10년 평균 113

〈그림 2.1.33〉 지속시간별 연최대강우 10년 평균 변동 회귀분석의 내륙형 및 해안형 도시지역간 지속시간별 비교(회귀계수 a) 117

〈그림 2.1.34〉 지속시간별 연최대강우 10년 평균 변동 회귀분석의 내륙형 및 해안형 도시지역간 지속시간별 비교(회귀계수 b) 117

〈그림 2.1.35〉 지속시간별 연최대강우 10년 평균 변동 회귀분석(춘천) 118

〈그림 2.1.36〉 지속시간별 연최대강우 10년 표준편차 131

〈그림 2.1.37〉 기준강우 이상 10년 평균 발생 횟수 변동 회귀분석의 내륙형 및 해안형 도시지역간 기준강우별 비교(회귀계수 a) 139

〈그림 2.1.38〉 기준강우 이상 10년 평균 발생 횟수 변동 회귀분석의 내륙형 및 해안형 도시지역간 기준강우별 비교(회귀계수 b) 139

〈그림 2.1.39〉 내륙형 도시지역 기준강우(20mm) 10년 평균 발생 횟수 변동 회귀분석 140

〈그림 2.1.40〉 내륙형 도시지역 기준강우(30mm) 10년 평균 발생 횟수 변동 회귀분석 140

〈그림 2.1.41〉 내륙형 도시지역 기준강우(40mm) 10년 평균 발생 횟수 변동 회귀분석 141

〈그림 2.1.42〉 해안형 도시지역 기준강우(20mm) 10년 평균 발생 횟수 변동 회귀분석 141

〈그림 2.1.43〉 해안형 도시지역 기준강우(30mm) 10년 평균 발생 횟수 변동 회귀분석 142

〈그림 2.1.44〉 해안형 도시지역 기준강우(40mm) 10년 평균 발생 횟수 변동 회귀분석 142

〈그림 2.2.1〉 해수면온도의 관측 범위 145

〈그림 2.2.2〉 서울지점의 24시간 연최대강우량 151

〈그림 2.2.3〉 포항지점 1시간 최대강우량의 도시적 분석 161

〈그림 2.2.4〉 광주지점 1시간 최대강우량의 도시적 분석 161

〈그림 2.2.5〉 지속시간 1시간, 재현기간 10년의 확률강우량 변화 165

〈그림 2.2.6〉 지속시간 3시간, 재현기간 10년의 확률강우량 변화 166

〈그림 2.2.7〉 지속시간 6시간, 재현기간 10년의 확률강우량 변화 167

〈그림 2.2.8〉 지속시간 12시간, 재현기간 10년의 확률강우량 변화 168

〈그림 2.2.9〉 지속시간 1시간, 재현기간에 따른 각 지점의 확률강우량의 분포 범위 169

〈그림 2.2.10〉 지속시간 3시간, 재현기간에 따른 각 지점의 확률강우량의 분포 범위 169

〈그림 2.2.11〉 지속시간 6시간, 재현기간에 따른 각 지점의 확률강우량의 분포 범위 169

〈그림 2.2.12〉 지속시간 12시간, 재현기간에 따른 각 지점의 확률강우량의 분포 범위 169

〈그림 2.2.13〉 강우강도-재현기간-지속시간 곡선(춘천) 173

〈그림 2.2.14〉 강우강도-재현기간-지속시간 곡선(강릉) 173

〈그림 2.2.15〉 강우강도-재현기간-지속시간 곡선(서울) 173

〈그림 2.2.16〉 강우강도-재현기간-지속시간 곡선(인천) 173

〈그림 2.2.17〉 강우강도-재현기간-지속시간 곡선(수원) 174

〈그림 2.2.18〉 강우강도-재현기간-지속시간 곡선(대전) 174

〈그림 2.2.19〉 강우강도-재현기간-지속시간 곡선(포항) 174

〈그림 2.2.20〉 강우강도-재현기간-지속시간 곡선(대구) 174

〈그림 2.2.21〉 강우강도-재현기간-지속시간 곡선(전주) 174

〈그림 2.2.22〉 강우강도-재현기간-지속시간 곡선(울산) 174

〈그림 2.2.23〉 강우강도-재현기간-지속시간 곡선(마산) 175

〈그림 2.2.24〉 강우강도-재현기간-지속시간 곡선(광주) 175

〈그림 2.2.25〉 강우강도-재현기간-지속시간 곡선(부산) 175

〈그림 2.2.26〉 강우강도-재현기간-지속시간 곡선(목포) 175

〈그림 2.2.27〉 강우강도-재현기간-지속시간 곡선(여수) 175

〈그림 2.2.28〉 강우강도-재현기간-지속시간 곡선(제주) 175

〈그림 2.2.29〉 기준 강우강도를 초과하는 지속시간 1시간의 호우사상 발생 횟수(지점별) 180

〈그림 2.2.30〉 기준 강우강도를 초과하는 지속시간 3시간의 호우사상 발생 횟수(지점별) 181

〈그림 2.2.31〉 기준 강우강도를 초과하는 지속시간 6시간의 호우사상 발생 횟수(지점별) 182

〈그림 2.2.32〉 기준 강우강도를 초과하는 지속시간 12시간의 호우사상 발생 횟수(지점별) 183

〈그림 2.2.33〉 기준 강우강도를 초과하는 지속시간 1시간의 호우사상 발생 횟수(연도별) 184

〈그림 2.2.34〉 기준 강우강도를 초과하는 지속시간 3시간의 호우사상 발생 횟수(연도별) 185

〈그림 2.2.35〉 기준 강우강도를 초과하는 지속시간 6시간의 호우사상 발생 횟수(연도별) 186

〈그림 2.2.36〉 기준 강우강도를 초과하는 지속시간 12시간의 호우사상 발생 횟수(연도별) 187

〈그림 2.2.37〉 임의지속시간별 연최대강우량의 기초 통계 분석 190

〈그림 2.2.38〉 수문기상정보를 반영한 극치강우 평가 방법의 흐름도 196

〈그림 2.2.39〉 서울지점의 24시간강우량과 4개월 이전 해수면온도와의 상관성분석 199

〈그림 2.2.40〉 서울지점의 시간강우량과 4개월 이전 해수면온도와의 상관성분석 200

〈그림 2.2.41〉 서울지점(1hr)과 가장 상관계수가 큰 지점의 해수면온도 모의결과 201

〈그림 2.2.42〉 서울지점(3hr)과 가장 상관계수가 큰 지점의 해수면온도 모의결과 201

〈그림 2.2.43〉 서울지점(6hr)과 가장 상관계수가 큰 지점의 해수면온도 모의결과 201

〈그림 2.2.44〉 서울지점(12hr)과 가장 상관계수가 큰 지점의 해수면온도 모의결과 202

〈그림 2.2.45〉 서울지점(24hr)과 가장 상관계수가 큰 지점의 해수면온도 모의결과 202

〈그림 2.2.46〉 춘천의 24시간 CPPM 결과 203

〈그림 2.2.47〉 강릉의 24시간 CPPM 결과 203

〈그림 2.2.48〉 서울의 24시간 CPPM 결과 203

〈그림 2.2.49〉 인천의 24시간 CPPM 결과 203

〈그림 2.2.50〉 수원의 24시간 CPPM 결과 203

〈그림 2.2.51〉 대전의 24시간 CPPM 결과 203

〈그림 2.2.52〉 포항의 24시간 CPPM 결과 204

〈그림 2.2.53〉 대구의 24시간 CPPM 결과 204

〈그림 2.2.54〉 전주의 24시간 CPPM 결과 204

〈그림 2.2.55〉 울산의 24시간 CPPM 결과 204

〈그림 2.2.56〉 마산의 24시간 CPPM 결과 204

〈그림 2.2.57〉 광주의 24시간 CPPM 결과 204

〈그림 2.2.58〉 부산의 24시간 CPPM 결과 205

〈그림 2.2.59〉 목포의 24시간 CPPM 결과 205

〈그림 2.2.60〉 여수의 24시간 CPPM 결과 205

〈그림 2.2.61〉 제주의 24시간 CPPM 결과 205

〈그림 2.2.62〉 진주의 24시간 CPPM 결과 205

〈그림 2.2.63〉 전지구적 연해수면온도의 변동성 및 경향성 분석 결과 209

〈그림 2.2.64〉 상관성이 높은 지역에 해수면온도의 변동성 및 경향성 분석 결과 210

〈그림 2.2.65〉 춘천지점에서 해수면온도증가에 따른 확률강우량의 변화량추정 211

〈그림 2.2.66〉 강릉지점에서 해수면온도증가에 따른 확률강우량의 변화량추정 211

〈그림 2.2.67〉 서울지점에서 해수면온도증가에 따른 확률강우량의 변화량추정 211

〈그림 2.2.68〉 인천지점에서 해수면온도증가에 따른 확률강우량의 변화량추정 211

〈그림 2.2.69〉 수원지점에서 해수면온도증가에 따른 확률강우량의 변화량추정 211

〈그림 2.2.70〉 대전지점에서 해수면온도증가에 따른 확률강우량의 변화량추정 211

〈그림 2.2.71〉 포항지점에서 해수면온도증가에 따른 확률강우량의 변화량추정 212

〈그림 2.2.72〉 대구지점에서 해수면온도증가에 따른 확률강우량의 변화량추정 212

〈그림 2.2.73〉 전주지점에서 해수면온도증가에 따른 확률강우량의 변화량추정 212

〈그림 2.2.74〉 울산지점에서 해수면온도증가에 따른 확률강우량의 변화량추정 212

〈그림 2.2.75〉 마산지점에서 해수면온도증가에 따른 확률강우량의 변화량추정 212

〈그림 2.2.76〉 광주지점에서 해수면온도증가에 따른 확률강우량의 변화량추정 212

〈그림 2.2.77〉 부산지점에서 해수면온도증가에 따른 확률강우량의 변화량추정 213

〈그림 2.2.78〉 목포지점에서 해수면온도증가에 따른 확률강우량의 변화량추정 213

〈그림 2.2.79〉 여수지점에서 해수면온도증가에 따른 확률강우량의 변화량추정 213

〈그림 2.2.80〉 제주지점에서 해수면온도증가에 따른 확률강우량의 변화량추정 213

〈그림 2.2.81〉 진주지점에서 해수면온도증가에 따른 확률강우량의 변화량추정 213

〈그림 3.1.1〉 최근 10년간 부산시 시군별 홍수피해 현황 (개소) 221

〈그림 3.1.2〉 2009년 7월 집중호우 피해 현장조사 Sheet 223

〈그림 3.1.3〉 2009년 7월 호우로 인한 경상남도내 공공시설 피해 현황 225

〈그림 3.1.4〉 경상남도 우심지구내 시군별 피해 금액 및 개소 225

〈그림 3.1.5〉 하동시장 침수피해 사진 226

〈그림 3.1.6〉 하동군 하동시장 지하 하수관 현재 모식도 227

〈그림 3.1.7〉 하동군 하동시장 지하 하수관이 위치한 지상 사진 228

〈그림 3.1.8〉 배수통관 계획단면도 228

〈그림 3.1.9〉 피해상황 (김해시) 229

〈그림 3.1.10〉 외동지구 하수관망도 230

〈그림 3.1.11〉 우수관거 내부사진 231

〈그림 3.1.12〉 전하 2통 침수흔적 분석도 (SWMM) 231

〈그림 3.1.13〉 경기도 기상관측소 관측강우자료 (우심지역) 233

〈그림 3.1.14〉 2009년 7월 호우로 인한 경기도내 공공시설 피해 현황 235

〈그림 3.1.15〉 우심지구내 시군별 피해 금액 및 개소 235

〈그림 3.1.16〉 피해상황 (호박골천) 236

〈그림 3.1.17〉 피해상황 (상촌천) 236

〈그림 3.1.18〉 피해상황 (작촌천) 236

〈그림 3.1.19〉 피해상황 (오전로 사면) 237

〈그림 3.1.20〉 피해상황 (학현천) 237

〈그림 3.1.21〉 피해상황 (여주군) 238

〈그림 3.1.22〉 피해상황 (옥천면도 101호선) 239

〈그림 3.1.23〉 피해상황 (흑천) 239

〈그림 3.1.24〉 피해상황 (다일공동체 앞 농로) 241

〈그림 3.1.25〉 피해상황 (안골천) 241

〈그림 3.1.26〉 사유시설 피해현황 242

〈그림 3.1.27〉 강원도 기상관측소 관측강우자료 244

〈그림 3.1.28〉 2009년 7월 호우로 인한 강원도내 공공시설 피해 금액 246

〈그림 3.1.29〉 우심지구내 시군별 피해 금액 및 개소 246

〈그림 3.1.30〉 피해상황 및 현황(사진①:향호천, 사진②:연곡천) 248

〈그림 3.1.31〉 피해상황 및 현황(사진①:양지천, 사진②:검은동천) 249

〈그림 3.1.32〉 피해상황 및 현황(사진①,②:일리천, 사진③,④:안창천) 251

〈그림 3.1.33〉 피해상황 및 현황(사진①,②:보리골천, 사진③,④:굴지천) 252

〈그림 3.1.34〉 피해상황 및 현황(사진①,②:거슬지천, 사진③,④:금계천) 254

〈그림 3.1.35〉 피해상황 및 현황(사진①,②:광전천, 사진③,④:송한천) 255

〈그림 3.1.36〉 피해상황 및 현황(사진①,②:마지천, 사진③,④:평안천) 257

〈그림 3.1.38〉 충북지역 관측강우자료 260

〈그림 3.1.39〉 2009년 7월 호우로 인한 충청북도내 공공시설 피해 금액 262

〈그림 3.1.40〉 우심지구내 시군별 피해 금액 및 개소 262

〈그림 3.1.41〉 피해상황 및 현황(사진①,②:갈동천, 사진③,④:광동천) 264

〈그림 3.1.42〉 피해상황 및 현황(사진①,②:공전천, 사진③,④:왕당천) 266

〈그림 3.1.43〉 피해상황 및 현황(사진①,②:소정천, 사진③,④:구음천) 267

〈그림 3.1.44〉 충남지역 관측강우자료 269

〈그림 3.1.45〉 2009년 7월 호우로 인한 충청북도내 공공시설 피해 금액 271

〈그림 3.1.46〉 우심지구내 시군별 피해 금액 및 개소 271

〈그림 3.1.47〉 피해상황 및 현황(사진①,②:논산천, 사진③,④:논산천 병암제) 273

〈그림 3.1.48〉 피해상황 및 현황(사진①,②:성당보, 사진③,④:상곡천) 275

〈그림 3.1.49〉 2009년 7월 호우로 인한 전라북도내 공공시설 피해현황 278

〈그림 3.1.50〉 전라북도 우심지구내 시군별 피해 금액 및 개소 278

〈그림 3.1.51〉 완주군 침수피해 사진 279

〈그림 3.1.52〉 광양시 침수피해 282

〈그림 3.1.53〉 섬거1천 282

〈그림 3.1.54〉 수로박스 내부 현황 284

〈그림 3.1.55〉 2009년 7월 11-16일 호우로 인한 공공시설 피해 현황 286

〈그림 3.1.56〉 2009년 7월 11-16일 호우로 인한 시도별 피해현황 286

〈그림 3.1.57〉 2009년 7월 호우별 전국 공공시설 피해현황 287

〈그림 3.2.1〉 부산광역시(해운대구, 연제구, 사하구) AWS 분석 288

〈그림 3.2.2〉 경상남도(창원시, 마산시) AWS 분석 289

〈그림 3.2.3〉 장림동 재해현장 개요도 293

〈그림 3.2.4〉 부산광역시 사하구 AWS 분석 294

〈그림 3.2.5〉 장림동 급경사지붕괴 및 피해현황 295

〈그림 3.2.6〉 귀산동의 지질도(위) 및 기반암 사진 297

〈그림 3.2.7〉 귀산동 급경사지 붕괴현장 개요도 298

〈그림 3.2.8〉 경상남도 창원시 AWS 분석 299

〈그림 3.2.9〉 귀산동 피해 및 급경사지현황 300

〈그림 3.2.10〉 경상남도 하동군 AWS 분석 302

〈그림 3.2.11〉 두곡리 급경사지 붕괴 후 현황 303

〈그림 3.2.12〉 강원도(춘천시 북산면, 사북면) AWS 분석 305

〈그림 3.2.13〉 춘천시 북산면 청평리 지역의 지질도 306

〈그림 3.2.14〉 춘천시 북산면 청평리 일대 조사지역 전경 307

〈그림 3.2.15〉 춘천시 북산면 오향리 AWS 분석 307

〈그림 3.2.16〉 충청북도(제천시, 충주시) AWS 분석 309

〈그림 3.2.17〉 전라남도(광양시 진월면, 다압면) AWS 분석 310

〈그림 3.2.18〉 제천시 봉양읍 팔송리 A지역 전경 313

〈그림 3.2.19〉 제천시 백운면 평동리 AWS분석 314

〈그림 3.2.20〉 급경사지 붕괴 후 현황 316

〈그림 3.2.21〉 광양시 진월면 AWS 분석 317

〈그림 3.2.22〉 망덕리 기존시설 현황 317

〈그림 3.3.1〉 피해유형 1 320

〈그림 3.3.2〉 피해유형 2 321

〈그림 3.3.3〉 피해유형 3 321

〈그림 3.3.4〉 피해유형 4 322

〈그림 3.3.5〉 피해유형 5 323

〈그림 3.3.6〉 침수의 취약성 및 영향분석 327

〈그림 3.3.7〉 위치도 327

〈그림 3.3.8〉 삼산배수구역도 328

〈그림 3.3.9〉 삼산배수구역 주간선하수관시설현황도 329

〈그림 3.3.10〉 주간선하수관을 제외한 D800mm이상 간선하수관현황도 329

〈그림 3.3.11〉 침수발생현황 331

〈그림 3.3.12〉 검토구간(SWMM 이용) 336

〈그림 3.3.13〉 절·성토사면의 표준 경사기준 352

〈그림 3.3.14〉 산마루측구, 도수로 등 배수설계 설계빈도 설정 354

〈그림 3.3.15〉 급경사지 조성시 개별계획에서 인·허가 사항 356

〈그림 3.3.16〉 홍콩의 Dangerous Hillside Order 가이드 357

〈그림 3.4.1〉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상에서의 방재계획 358

〈그림 3.4.2〉 영국과 국내 도시계획 관련 법·제도 체계 위상 361

〈그림 3.4.3〉 영국의 홍수위험도에 따른 개발대상지 입지배분 검증 체계 363

〈그림 3.4.4〉 풍수해저감종합계획과 도시계획간의 연계방안 369

〈그림 3.4.5〉 사전재해영향성검토협의와 도시계획간의 연계방안 371

〈그림 3.5.1〉 살기 좋은 지역 만들기 시범사업 선정 절차 377

〈그림 3.5.2〉 살기 좋은 지역 만들기 시범사업 추진방안 377

〈그림 3.5.3〉 기후변화 대응형 방재도시 시범사업지 선정지표 379

〈그림 3.7.1〉 급경사지 피해저감 녹색기술 개발 393

〈그림 4.1.1〉 강우빈도 해석 절차 400

〈그림 4.2.1〉 주요 도시의 시설물에 대한 연도별 적용 확률강우량의 변화 (강우지속기간:1hr) 424

〈그림 4.2.2〉 시설물에 대한 주요 도시의 지역 유형별 적용 확률강우량 비교 (강우지속기간:1hr) 425

〈그림 4.2.3〉 설계빈도에 대한 시설물의 주요 도시별 적용 확률강우량 비교 (강우지속기간:1hr) 426

〈그림 4.2.4〉 시설물에 대한 주요 도시의 빈도별 적용 확률강우량의 비교 (강우지속기간:1hr) 427

〈그림 4.2.5〉 적용 설계강우량의 시간분포방법별 비교(강우지속기간:24시간) 440

〈그림 4.2.6〉 적용 강우-유출모형에 의한 유출량 산정결과 비교 442

〈그림 4.3.1〉 1984~2001년 서울시 관내 침수피해지역 451

〈그림 4.3.2〉 과거 서울시 수해기간의 강우지속시간별 최대강우량 453

〈그림 4.3.3〉 서울시 빗물펌프장 수방능력 도수분포 455

〈그림 4.3.4〉 서울시 하수관거 확률년수 상향기준 적용 방법 456

〈그림 4.3.5〉 서울시 연도별 총 하수관거 연장대비 관거 준설율 현황 459

〈그림 4.3.6〉 부산시 연도별 총 하수관거 연장대비 관거 준설율 현황 459

〈그림 4.3.7〉 서울시 연도별 총 하수관거 연장대비 관거 개보수율 현황 462

〈그림 4.3.8〉 부산시 연도별 총 하수관거 연장대비 관거 개보수율 현황 463

〈그림 5.3.1〉 모델 강우주상도 작성절차 502

〈그림 5.3.2〉 강우강도곡선 502

〈그림 5.3.3〉 모델 강우주상도 사례 503

〈그림 5.3.4〉 3년 빈도 동경도 설계 강우주상도 504

〈그림 5.3.5〉 15년 빈도 동경도 설계 강우주상도 504

〈그림 5.3.6〉 70년 빈도 동경도 설계 강우주상도 504

〈그림 5.3.7〉 동경도의 50mm/hr를 초과하는 국지성 호우 개수의 기간별 변화 (Fukami, 2005) 506

〈그림 5.3.8〉 동경도 치수정책 507

〈그림 5.3.9〉 강우 침투시설 모식도 (Fujita, 2007) 508

〈그림 5.3.10〉 일본의 치수정책의 변화 (Fujita, 2004) 509

〈그림 5.3.11〉 Comprehensive flood control measures (Fujita, 2004) 510

〈그림 5.3.12〉 동경도의 치수투자비 대비 사상자의 1945-2000기간의 변화경향 (Fukami, 2005) 511

〈그림 5.3.13〉 와타라세 강 저류지 효과 (Fukami, 2005) 511

〈그림 5.3.14〉 Effect of comprehensive flood control (Fujita, 2004) 512

〈그림 5.3.15〉 우수유출 저감을 위한 침투형 저류시설 514

〈그림 5.3.16〉 저류지 514

표제지

제출문

목차

제1장. 서론 545

제1절. 연구의 필요성 546

1. 연구배경 546

2. 연구 목적 546

제2절. 연구범위 및 내용 548

1. 과업의 범위 548

2. 연구내용 548

제3절. 추진전략 549

제2장. 집중호우 피해지역에 대한 수문해석 550

제1절. 최근 15년간 집중호우 피해지역에 대한 강우분석 552

1. 2009년 7월 호우규모 분석 552

2. 기후변화를 고려한 강우 경향성 분석 553

3. 강우 빈도 경향성 분석 555

제2절. 집중호우 등에 의한 강우사상의 추계분석 및 향후 추이분석 558

1. 지속시간별 연최대강우량 자료의 변동성 및 경향성 분석 558

2. 자료기간에 따라 확률강우량을 산정 559

3. 기준 강우강도를 초과하는 강우사상의 발생빈도 분석 560

4. 주요 호우사상의 발생원인에 따른 비교 분석 561

5. 수문기상인자를 이용한 확률강우량을 산정 562

제3절. 고찰 565

1. 최근 15년간 집중호우 피해지역에 대한 강우분석 565

2. 집중호우 등에 의한 강우사상의 추계분석 및 향후 추이분석 566

제3장. 도시지역 반복피해 정밀조사 및 유형 분석 568

제1절. 2009년 7월 집중호우에 따른 피해조사 570

1. 부산 570

2. 경상남도 571

3. 경기도 574

4. 강원도 576

5. 충청북도 579

6. 충청남도 580

7. 전라북도 581

8. 전라남도 582

9. 2009년 피해 사례 정리 583

제2절. 2009년 7월 집중호우에 따른 급경사지 피해조사 586

1. 급경사지 피해지역의 강우특성 586

2. 급경사지의 피해원인 587

3. 급경사지의 붕괴위험과 붕괴양상 587

4. 급경사지 관련 법제도 개선 및 연구 589

제3절. 도시지역 반복피해 유형분석 590

1. 피해유형별 분석 590

2. 도시지역 재해요인에 대한 취약성 및 영향분석. 594

3. 도시지역 시설별 재해요인 관련 법규 분석 및 개선사항 598

제4절. 기후변화 대응형 도시방재 관련 제도 개선 사항 도출 600

1. 기후 대응형 설계기준의 제도적 수용방안 검토 600

2. 관련 법규 및 제도적 개선 부문 도출 및 세부 개선 방향 설정 601

제5절. 기후변화 대응형 방재도시 시범사업 추진전략 제시 601

1. 기후변화 대응형 방재도시 시범사업의 개념 및 구성요소 제시 601

2. 방재도시 구성요소제시 601

3. 자연재해위험지구 지정현황 및 기후변화 대응형 방재도시 시범사업의 필요성 제시 601

4. 기후변화 대응형 방재도시 시범사업의 유사사례 제시 602

5. 기후변화 대응형 방재도시 시범사업지 선정을 위한 지표 602

6. 기후 대응형 방재도시 시범사업 추진을 위한 단계별 추진내용 및 절차 계획 제시 603

제6절. 과거 15년간 시우량별 피해유형 분석 604

1. 1시간 최대강우량별 피해현황 604

2. 시우량별 피해유형 분석 결과 606

제7절. 고찰 606

1. 2009년 7월 집중호우에 따른 피해조사 606

2. 2009년 7월 집중호우에 따른 급경사지 피해조사 606

3. 도시지역 반복피해 유형분석 607

4. 기후변화 대응형 도시방재 관련 제도 개선 사항 도출 및 방재도시 시범사업 추진전략 제시 607

5. 과거 15년간 시우량별 피해유형 분석 607

제4장. 최근 15년간 시설물별 강우설계 적용 조사·분석 608

제1절. 지역 유형별 시설물별 강우설계 조사·분석 610

1. 확률강우량 및 확률강우강도식의 산정방법 610

2. 지역 유형별 시설물별 강우설계 조사 610

3. 지역 유형별 시설물별 강우설계 비교 분석 613

제2절. 강우설계 적용 조사·분석 615

1. 적용 강우설계빈도 조사·분석 615

2. 적용 확률강우량 조사·분석 617

3. 강우설계 적용방법 조사·분석 619

제3절. 시설물별 유지관리 실태 조사·분석 623

1. 내수배제 시설물별 유지관리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 623

2. 내수배제 시설물별 유지관리 실태 조사·분석 625

제4절. 고찰 628

1. 확률강우량 및 확률강우강도식 조사·분석 628

2. 적용 확률강우강도식의 조사·분석 628

3. 설계강우의 빈도 조사·분석 628

4. 강우설계의 적용방법 조사·분석 629

5. 시설물별 유지관리 실태 조사·분석 629

제5장. 국내외 도시홍수 방어 우수사례 조사·분석 및 시사점 도출 630

제1절. 국내 도시홍수 방어 우수사례 효과분석 및 홍수방어능력 평가 632

1. 동두천 내배수시설 재해예방사업 투자 효과 분석 632

2. 동두천시 홍수방어능력 평가 634

제2절. 국내 재해예방사업 투자사례 효과 분석 638

1.재해예방사업 투자 분석을 위한 연구 방법 638

2. 피해액을 이용한 지역별 재해예방사업 투자사례 효과 분석 638

제3절. 국외 도시강우 설계기법 조사 분석 642

1. 일본 동경도 도시강우 설계기법 642

2. 구미 사례 644

제4절. 고찰 645

1. 국내 재해예방사업 투자사례 효과 분석 645

2. 국외 도시강우 설계기법 조사 분석 및 시사점 646

제6장. 결론 650

제1절. 요약 및 시사점 652

1. 집중호우 피해지역에 대한 수문 해석 652

2. 도시지역 반복피해 정밀조사 및 유형분석 653

3. 최근 15년간 시설물별 강우설계 적용 조사·분석 655

4. 국내외 도시홍수 방어 우수사례 조사·분석 및 시사점 도출 657

제2절. 제언 658

[뒷표지] 660

〈표 2.1.1〉 지속시간별 최대강우량 552

〈표 2.2.1〉 지속시간 1시간 최대강우량의 평균에 대한 변동성 분석 결과 558

〈표 2.2.2〉 지속시간과 재현기간별 강우강도의 초과 기준 560

〈표 2.2.3〉 해수면온도증가에 따른 빈도별 확률강우량의 평균증가율 비교 564

〈표 3.1.1〉 2009년 7월 집중호우 피해 현장조사의 지점 및 일정 570

〈표 3.1.2〉 2009년 7월 호우별 전국 공공시설 피해현황 585

〈표 3.2.1〉 각 지구별 강우발생 현황(AWS 분석) 586

〈표 3.2.2〉 급경사지 붕괴지역의 주요현황과 붕괴양상 588

〈표 3.3.1〉 침수의 취약성 및 영향분석 594

〈표 3.3.2〉 침수발생현황 595

〈표 3.3.3〉 배수시설물규모와 호우규모 비교 596

〈표 3.3.4〉 계획빈도규모 597

〈표 3.3.5〉 확률강우량 비교 597

〈표 3.3.6〉 방재가능 강우강도 597

〈표 3.3.7〉 소하천 치수계획에 대한 설계지침 599

〈표 3.3.8〉 주요 수공구조물의 설계빈도 599

〈표 3.6.1〉 1시간 최대강우량별 피해지역개소와 피해액 604

〈표 3.6.2〉 1시간 최대강우량별 피해지역개소와 피해액(행정구역단위별:1994~2008년) 605

〈표 3.6.3〉 1시간 최대강우량별 피해원인 605

〈표 4.1.1〉 지역 유형별 시설물별 조사수 610

〈표 4.1.2〉 서울시 하수도정비기본계획의 확률강우량 611

〈표 4.1.3〉 서울시 하수도정비기본계획의 확률강우강도식 611

〈표 4.1.4〉 서울시 빗물펌프장계획의 확률강우강도식 611

〈표 4.1.5〉 부산시 정관지구 저류지계획의 확률강우량 612

〈표 4.1.6〉 부산시 정관지구 저류지계획의 확률강우강도식 612

〈표 4.1.7〉 서울시 우면2지구 저류지계획의 확률강우량 612

〈표 4.1.8〉 서울시 우면2지구 저류지계획의 확률강우강도식 613

〈표 4.2.1〉 하수(우수)관거의 설계빈도 615

〈표 4.2.2〉 주요 수공구조물의 설계빈도 615

〈표 4.2.3〉 최근 서울시 하수관거 및 펌프장 설계빈도 615

〈표 4.2.4〉 국외 확률년수 적용 사례 616

〈표 4.2.5〉 주요 도시의 시설물에 대한 연도별 적용 확률강우량의 변화(강우지속기간:1hr) 617

〈표 4.2.6〉 시설물에 대한 주요 도시의 지역 유형별 적용 확률강우량 비교 (강우지속기간:1hr) 617

〈표 4.2.7〉 설계빈도에 대한 시설물의 주요 도시별 적용 확률강우량 비교 (강우지속기간:1hr) 618

〈표 4.2.8〉 시설물에 대한 주요도시의 빈도별 적용 확률강우량의 비교 (강우지속기간:1hr) 619

〈표 4.2.9〉 서울시 배수시설물별 강우설계 및 강우-유출모형의 적용방법 비교 623

〈표 5.1.1〉 동두천시 연도별 강우량 및 재해피해내역 632

〈표 5.1.2〉 동두천시 내수배제 시설 현황 633

〈표 5.1.3〉 동두천시 13개 펌프장 가동에 의한 침수 방지 효과 634

〈표 5.1.4〉 의정부 우량관측소 빈도별 시간최대 강우량(mm) 634

〈표 5.1.5〉 중앙1펌프장 구역 홍수방어능력 637

〈표 5.3.1〉 재현기간별 시간최대 강우강도 642

〈표 5.3.2〉 수공구조물의 일반적인 설계 기준 (Chow, 1988) 644

〈표 5.3.3〉 영국의 설계홍수 빈도 (CPDA, 2010) 645

〈그림 1.3.1〉 연구 추진전략 549

〈그림 2.2.1〉 포항지점 1시간 최대강우량의 도시적 분석 558

〈그림 2.2.2〉 지속시간 1시간, 재현기간 10년의 확률강우량 변화 559

〈그림 2.2.3〉 기준 강우강도를 초과하는 지속시간 1시간의 호우사상 발생 횟수(지점별) 560

〈그림 2.2.4〉 임의지속시간별 연최대강우량의 기초 통계 분석 561

〈그림 2.2.5〉 서울지점의 24시간강우량과 4개월 이전 해수면온도와의 상관성분석 562

〈그림 2.2.6〉 춘천의 24시간 CPPM 결과 562

〈그림 2.2.7〉 강릉의 24시간 CPPM 결과 562

〈그림 2.2.8〉 서울의 24시간 CPPM 결과 563

〈그림 2.2.9〉 인천의 24시간 CPPM 결과 563

〈그림 2.2.10〉 전지구적 연해수면온도의 변동성 및 경향성 분석 결과 563

〈그림 2.2.11〉 상관성이 높은 지역에 해수면온도의 변동성 및 경향성 분석 563

〈그림 2.2.12〉 춘천지점에서 해수면온도증가에 따른 확률강우량의 변화량추정 564

〈그림 2.2.13〉 강릉지점에서 해수면온도증가에 따른 확률강우량의 변화량추정 564

〈그림 2.2.14〉 서울지점에서 해수면온도증가에 따른 확률강우량의 변화량추정 564

〈그림 2.2.15〉 인천지점에서 해수면온도증가에 따른 확률강우량의 변화량추정 564

〈그림 3.1.1〉 2009년 7월 집중호우 피해 현장조사 Sheet 571

〈그림 3.1.2〉하동군 하동시장 지하 하수관 현재 모식도 573

〈그림 3.1.3〉하동군 하동시장 지하 하수관이 위치한 지상 사진 573

〈그림 3.1.4〉 2009년 7월 11-16일 호우로 인한 시도별 피해현황 584

〈그림 3.1.5〉 2009년 7월 호우별 전국 공공시설 피해현황 585

〈그림 3.2.1〉 급경사지 피해저감 녹색기술 개발 589

〈그림 3.3.1〉 피해유형 1 590

〈그림 3.3.2〉 피해유형 2 591

〈그림 3.3.3〉 피해유형 3 591

〈그림 3.3.4〉 피해유형 4 592

〈그림 3.3.5〉 피해유형 6 593

〈그림 3.3.6〉 침수의 취약성 및 영향분석 594

〈그림 3.3.7〉 사례검토(울산광역시 남구 삼산동 신시가지 일원) 594

〈그림 3.3.8〉 침수발생현황 596

〈그림 4.2.1〉 주요 도시의 시설물에 대한 연도별 적용 확률강우량의 변화 (강우지속기간:1hr) 617

〈그림 4.2.2〉 시설물에 대한 주요 도시의 지역 유형별 적용 확률강우량 비교(강우지속기간:1hr) 618

〈그림 4.2.3〉 설계빈도에 대한 시설물의 주요 도시별 적용 확률강우량 비교 (강우지속기간:1hr) 618

〈그림 4.2.4〉 시설물에 대한 주요 도시의 빈도별 적용 확률강우량의 비교 (강우지속기간:1hr) 619

〈그림 4.2.5〉 적용 설계강우량의 시간분포방법별 비교(강우지속기간:24시간) 622

〈그림 4.2.6〉 적용 강우-유출모형에 의한 유출량 산정결과 비교 622

〈그림 4.3.1〉 1984~2001년 서울시 관내 침수피해지역 625

〈그림 4.3.2〉 과거 서울시 수해기간의 강우지속시간별 최대강우량 626

〈그림 4.3.3〉 서울시 빗물펌프장 수방능력 도수분포 626

〈그림 4.3.4〉 서울시 연도별 총 하수관거 연장대비 관거 준설율 현황 627

〈그림 4.3.5〉 서울시 연도별 총 하수관거 연장대비 관거 개보수율 현황 627

〈그림 5.3.1〉 와타라세 강 저류지 효과 (Fukami, 2005) 643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T000032773 v.1 이용불가
T000032774 v.2 이용불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